삼성전자, 14년 연속 '동반성장지수' 최우수 획득…국내 기업 최초

등록 2025.10.31 11:09:11 수정 2025.10.31 11:09:18
이창현 기자 chlee3166@youthdaily.co.kr

협력회사 혁신, 인력 양성 등 전방위 상생협력 활동 우수 평가

 

【 청년일보 】 삼성전자는 31일 동반성장위원회가 선정하는 '2024년도 동반성장지수' 평가에서 국내 기업 최초로 14년 연속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고 밝혔다.

 

동반성장지수는 2011년부터 매년 동반성장위원회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상생을 촉진하기 위해 기업별 동반성장 수준을 평가하는 지표로 최우수, 우수, 양호, 보통, 미흡 등 5개 등급으로 구성돼 있다.

 

삼성전자는 2009년부터 국내 대학·연구기관·기업이 보유한 우수기술을 소개하는 '우수기술 설명회'를 개최하며 협력회사의 미래 성장동력 발굴과 신기술 확보를 지원하고 있다.

 

2013년에는 중소벤처기업부와 함께 '공동투자형 기술개발사업' 기금을 조성하며 200억원을 지원했으며, 2022년에는 신규 펀드 300억원을 추가로 마련해 내년까지 차세대 기술 개발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한, 삼성전자는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2천300여 건의 특허를 거래가 없는 중소기업까지 무상 양도한 바 있다.

 

삼성전자는 ▲기술 ▲제조·품질 ▲원가 경쟁력 등 협력회사의 혁신 활동도 지원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2013년 기술·제조·품질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상생협력아카데미 컨설팅센터'를 설립해, 협력 회사의 현안을 발굴하고 원가경쟁력을 개선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실제 상생협력아카데미 컨설팅센터는 그동안 축적한 혁신 사례 2천여 개를 협력회사에 무상으로 전수했다.

 

삼성전자는 협력회사를 위해 맞춤형 인력 양성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현재까지 협력회사 임직원 약 23만명을 대상으로 ▲신입사원 입문교육 ▲제조·품질·구매·영업 직무교육 등 삼성전자 임직원 교육과정에 준하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또한 협력회사의 우수인력 확보를 위해 ▲삼성 협력회사 채용박람회 ▲협력회사 온라인 채용관 등을 운영하며 약 8천600명의 인재 채용을 지원했다.

 

이밖에 삼성전자는 2015년부터 중소기업의 제조 혁신을 위해 맞춤형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수십여 년간의 제조·품질 노하우를 보유한 삼성전자의 전문가 160여 명으로 구성된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사업은 현장에 직접 상주하며 ▲시스템 구축 ▲제조현장 혁신 ▲인력 양성 ▲판로 개척 ▲지속가능경영 지원 ▲사후 관리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한다.

 

2018년부터는 중기부·중기중앙회와 협력해 삼성전자와의 거래 여부와 상관없이 지원이 필요한 모든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지원을 확대 운영하고 있다.

 

2023년에는 '스마트공장 3.0' 사업을 추진하며 ▲제조 현장의 지능형 공장 고도화 ▲인구감소 지역 우선 지원 대상 선정 ▲지속가능경영(ESG) 경쟁력 강화 등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이 데이터 기반의 제조 혁신을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를 통해 삼성전자는 지금까지 전국 중소기업 약 3천600곳에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했다.

 

동반성장위원회는 "삼성전자는 상생추구와 정도경영에 기반한 다양한 상생협력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1차 협력회사뿐 아니라 2·3차, 미거래 중소기업으로까지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35길 4-8, 5층(당산동4가, 청년일보빌딩)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회장 : 김희태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