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와 체험의 확장"…'지스타 2025', 4일간 관람객 20만여명 역대급 콘텐츠 축제 '완주'

등록 2025.11.17 08:00:04 수정 2025.11.17 09:57:22
조성현 기자 j7001q0821@youthdaily.co.kr

"이야기가 있는 전시"…지난 13일부터 16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
엔씨소프트·넷마블·크래프톤·웹젠 등 국내 주요 게임사 참여…신작 공개
세가·아틀러스 및 플레이온·워호스 등 유명 해외 개발사 전시 참여 확대
G-CON, 호리이 유지 등 라인업 구성…'내러티브' 중심 컨퍼런스로 호평
스팀덱·유니티·디스코드 함께한 '인디 쇼케이스', 글로벌 인디 허브 도약

 

【 청년일보 】 국제게임전시회 '지스타(G-STAR) 2025'가 4일간의 여정을 마무리했다. 한국게임산업협회(K-GAMES)가 주최하고 지스타 조직위원회와 부산정보산업진흥원이 공동 주관한 이번 행사는 지난 13일부터 16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됐으며, BTC 및 BTB 합계 총 3천269부스가 마련됐다.

 

특히 올해는 '서사(Narrative)'를 중심으로 한 기획과 글로벌 개발사의 대규모 참여가 돋보였다. 이에 향후 지스타에 대한 기대도 자연스럽게 높아졌다.

 

현장에서는 '이야기가 있는 전시'라는 올해의 테마에 맞춰 전시 구성 전반에 새로운 시도를 적용한 가운데 총 방문객은 20만2천여명에 달했다.

 

 

17일 지스타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먼저 BTC 전시로 구성된 벡스코 제1전시장에서는 다이아몬드(메인) 스폰서로 참여한 엔씨소프트가 '아이온2', '신더시티', '호라이즌 스틸 프론티어스', '리밋 제로 브레이커스', '타임 테이커즈' 등 총 5종의 신작을 공개했다.

 

이 가운데 '호라이즌 스틸 프론티어스'는 지스타 현장에서 최초 공개했으며, '아이온2'는 오는 19일 출시를 앞두고 있다.

 

엔씨소프트는 게임 시연 외에도 압도적 규모의 돔형 파노라마 상영관 'NC시네마'를 통해 다양한 신규 트레일러를 선보이며 참관객들에게 특별한 몰입 경험을 제공했다.

 

 

넷마블 역시 '프로젝트 이블베인', '나 혼자만 레벨업: 카르마(KARMA)', '일곱 개의 대죄: Origin(오리진)', '몬길: 스타다이브(STAR DIVE)' 등 다양한 신작을 선보이고, 전시장 안팎에서 인플루언서 프로그램을 운영해 관람객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특히 야외부스를 통해 선보인 'SOL: enchant(솔: 인챈트)'는 대형 LED 스크린으로 구성된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를 통해 게임의 핵심 콘텐츠인 '신권(神權)'을 체험할 수 있게 했으며, 또한 부스 내에서 'SOL: enchant'의 압도적인 세계관을 보여주는 티저 영상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신선한 경험을 제공했다.

 

 

크래프톤은 그동안 베일에 가려져 있던 '팰월드 모바일'을 테마로 한 전시 공간을 조성해 실제 게임 속 세계관을 구현했고, 현장에서 첫 시연을 진행해 큰 호응을 얻었다. 해당 게임은 모바일로 구현한 만큼 실제 시연 버전에서는 원작보다 개선된 편의성을 체험할 수 있었다.

 

아울러 'PUBG: 배틀그라운드(PUBG: BATTLEGROUNDS, 배틀그라운드)' IP를 활용한 체험형 휴게공간 '카페 펍지(CAFÉ PUBG)'를 운영해 관람객들의 관심을 모았다.

 

 

웹젠은 '게이트 오브 게이츠', '테르비스' 두 작품을 출품하며 체험 중심의 부스를 꾸몄고, 자사 IP '웹젠 프렌즈'를 활용한 테마파크형 이벤트존으로 색다른 즐길 거리를 제공했다.

 

또, 구글코리아는 신작 '쿠키런: 오븐스매시' PC버전 체험존을 중심으로, 2025 LOL 월드 챔피언십 우승자 '케리아(류민석)' 등 인기 인플루언서들과 함께하는 현장 이벤트를 펼쳤다.

 

 

70부스 규모로 참여한 그라비티는 무려 18종의 타이틀을 공개하며 전시 전반을 '시연 중심'으로 구성했다. 이와 함께 경품존과 라그나로크 굿즈샵을 운영해 다양한 경험 요소를 더했으며, 배틀스테이트 게임즈는 '이스케이프 프롬 타르코프'의 분위기를 살린 밀리터리 콘셉트 체험존을 선보여 현장을 찾은 팬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이 밖에도 플레이샵(오진상사)은 '그란투리스모 7', '스플릿 픽션' 등 인기 플레이스테이션 타이틀을 전시, 위메이드커넥트는 '노아(N.O.A.H)', Nuverse는 '블리치: 소울 레조넌스'를 선보였다. 네오위즈는 '산나비: 귀신 씌인 날'체험존을 조성해 구름 인파를 모으는 등 다양한 장르와 플랫폼의 게임들이 참관객을 맞이했다.

 

 

제2전시장 BTC관에는 글로벌 개발사들이 대거 참여했다. 반다이남코 엔터테인먼트는 '에이스 컴뱃' 시리즈 30주년을 기념한 특별 공간을 마련했고,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는 '오버워치 2' 테마의 체험존을 구성했다. 세가·아틀러스는 '페르소나' 시리즈 및 '메타포 리판타지오'의 아트워크 전시와 체험 이벤트를 진행했으며, 워호스 스튜디오는 '킹덤 컴: 딜리버런스 2'의 마지막 DLC 출시와 함께 지스타를 찾아 관람객들과 소통했다.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 전시장 내부의 혼잡도 관리와 최근 몇 년간 크게 증가한 야외 광장 방문객 흐름 통제에 중점을 두고 운영한 결과, 이번 지스타에는 4일간 총 약20만2천 명이 방문한 것으로 파악됐다.

 

벡스코 제2전시장 3층에 마련된 BTB관은 13일부터 15일까지 3일간 오프라인과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BTB 참가자의 이용 빈도가 가장 높은 네트워킹 라운지를 대폭 확대하는 한편, 소형 부스가 라운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해 전시 참가 규모와 상관없이 누구나 다양하고 많은 비즈니스 상담 기회를 모색할 수 있도록 했다. 3일간 비즈니스 상담을 위해 지스타 BTB 전시장에 직접 방문한 유료 바이어는 2천190명으로 집계됐다.

 

 

게임 전시 외에 다양한 포럼과 컨퍼런스도 눈길을 끌었다. 이 가운데 스마일게이트 희망스튜디오는 14일 오후 3시 부산 벡스코 컨벤션홀 104호·105호에서 한국게임산업협회와 '2025 플레이 펀앤굿'(PLAY FUN&GOOD) 포럼을 공동 개최했다. 

 

올해로 4회째를 맞는 플레이 펀앤굿 포럼은 '팬(Fan)'과 '컨트리뷰션(Contribtion)'의 합성어인 '팬트리뷰션'을 주제로, 게임 IP와 이벤트, 스타, 인플루언서 등 다양한 주체가 팬덤과 함께 만들어가는 선한 영향력 확산의 대표적 사례를 조명했다.

 

 

지스타의 핵심 콘텐츠로 자리 잡은 'G-CON'은 올해도 수준 높은 세션 구성으로 관람객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 G-CON 2025는 '내러티브(Narrative)'를 주제로 총 16개 세션을 단일 트랙으로 진행하며, 게임 스토리텔링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는 글로벌 창작자들의 통찰을 한데 모았다. 그 결과, 지난해보다 두 배 이상 확대된 공간에서 열렸음에도 대부분의 세션에서 빈자리를 찾기 어려울 만큼 뜨거운 열기가 이어졌다.

 

일본을 대표하는 창작자들도 대거 참여했다. JRPG의 상징 '드래곤 퀘스트'의 호리이 유지, '페르소나 3·4·5' 및 '메타포: 리판타지오'의 카츠라 하시노 & 시게노리 소에지마, '니어: 오토마타'의 요코 타로, '오오카미'의 카미야 히데키가 합류해 일본 RPG와 스토리 기반 게임 창작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선보였다. 또한 '사일런트 힐'의 야마오카 아키라, '이노센트'의 사카모토 신이치가 참여하며 음악, 비주얼, 서사 예술로 확장된 창작 담론을 이끌었다.

 

서구권에서도 '클레르 옵스퀴르: 33원정대'의 제니퍼 스베드버그-옌, '디스코 엘리시움'의 로버트 쿠르비츠, '킹덤 컴: 딜리버런스 2'의 마틴 클리마, '폴아웃: 뉴 베가스'의 조쉬 소이어, '마블 스파이더맨 2'의 제신다 츄, '언차티드 4'의 테이트 모세시안 등이 참여해 시각예술, 연출, 내러티브 전반에 걸친 글로벌 인사이트를 제시했다.

 

국내에서는 네오위즈 라운드8의 이상균·진승호·최지원 디렉터 그리고 권병수 내러티브 디렉터가 각자의 창작 방법론을 공유하고 관람객들과의 뜻깊은 만남을 이어갔다. 또한 넷플릭스 '굿뉴스'의 변성현 감독은 '창의성'을 주제로 메시지를 전했고, '킹 오브 킹스'의 장성호 감독은 한국 게임 개발자의 글로벌 진출을 위한 현실적 조언을 전달하며 업계 종사자들의 큰 호응을 이끌어냈다.

 

 

올해 지스타 인디 쇼케이스 2.0: Galaxy는 총 400부스 규모로 운영됐으며, 스팀덱(유통사: 코모도), 유니티, 디스코드 등 글로벌 파트너와 함께 20개국 80개 인디 개발사가 참여했다. 이 가운데 독일, 스페인, 미국, 중국, 일본 등 41개의 해외 개발사가 참가해 다국적 인디 창작 생태계를 형성했다.

 

이번 인디 쇼케이스에서는 참가작 외에도 '퍼스트 버서커: 카잔', '리틀 나이트메어 3' 등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타이틀을 고유 콘셉트의 스팀덱 체험존에서 시연할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을 제공했으며, 전시 기간 동안 일반 관람객과 BTB 바이어들이 현장을 찾아 다양한 인디 게임을 직접 체험하며 풍성한 교류의 장이 마련됐다.

 

이 밖에도 지스타 TV 온라인 방송은 행사 프리뷰 프로그램인 '지스타 레디플레이'를 통해 주요 신작을 소개하며 시작됐다. 이후 '인디쇼케이스 2.0: Galaxy' 온라인 방송과 인디 어워즈, 코스프레 어워즈 생중계를 진행하며 다양한 콘텐츠를 온라인으로 제공했다. 특히 3일간 진행된 '지스타컵' e스포츠 대회 생방송을 통해 현장의 열기와 분위기를 온라인에서도 생생하게 전달했다.

 

 

조영기 지스타 조직위원회 위원장은 "올해 지스타가 다양한 서사와 이야기를 담은 전시 구성, 그리고 시연은 물론 관람객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몰입형 콘텐츠를 강화한 만큼 더욱 깊이 있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었다"며 "참가사와 유관 기관, 그리고 지스타를 찾아주신 모든 분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성원이 있었기에 이번 행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도 새로운 체험 방식과 전시 형태를 지속적으로 모색해 한 단계씩 꾸준히 발전하는 지스타를 만들어가겠다"고 덧붙였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35길 4-8, 5층(당산동4가, 청년일보빌딩)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회장 : 김희태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