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가 임시청사 위치를 부산 동구로 확정한 가운데, HMM 본사 부산 이전도 가팔라질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사진=HMM]](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728/art_17522211613295_67ab48.png)
【 청년일보 】 정부세종청사에 위치한 해양수산부(이하 해수부)가 임시청사 위치를 부산 동구로 확정한 가운데 HMM(옛 현대상선)의 본사 이전 작업도 속도를 낼 것이란 분석이 제기돼 주목된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후보시절부터 국토 균형발전이란 명목으로 해수부와 함께 HMM 부산 이전을 공약을 내걸었다. 이에 일각에선 정부의 이 대통령 공약 실천을 위한 이전 작업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만 HMM의 육상 노조측이 정부의 본사의 부산 이전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노조 설득 여부가 가장 큰 쟁점이 될 것이란 분석이다.
14일 정치권과 재계 등에 따르면 해수부는 이전 청사로 부산시 동구 소재 IM빌딩과 협성타워 두 곳을 임차해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해수부는 부산 동구 IM빌딩 19개 층 전체(전용면적 1만2천208㎡)를 본관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협성타워는 15개 층 중 6개 층(전용면적 3천275㎡)을 별관으로 쓰기로 했다. 두 건물 모두 부산 1호선 부산진역 인근에 위치해 있다.
청사 이전을 위해 해수부는 청사수급관리계획 반영 및 이전에 필요한 예산의 예비비 확보 등 행정 절차를거쳐 사무공간 조성을 위한 설계 및 공사를 신속히 추진해 연내 일괄 이전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해수부 부산 이전은 이재명 대통령의 대표적인 국토 균형발전 공약이다. 부산을 북극항로 시대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해 해수부와 더불어 국내 최대 해운사인 HMM 본사를 부산으로 옮기겠다는 구상이다.
이 대통령은 지난 5월 대선 후보 신분으로 부산 서면 유세 현장에서 "북극항로가 열릴 때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해운회사들이 (부산에) 들어와야 한다"면서 "대한민국의 가장 큰 해운사가 HMM이라고 한다. 그 HMM이 부산으로 옮겨올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지역 경제계는 HMM 부산 이전에 대해 적극 지지하며 조속한 이전을 촉구하고 있다.
부산상공회의소(이하 부산상의)는 지난 8일 정부의 해수부 부산 이전 추진에 대해 적극적인 환영의 뜻을 담은 대형 현수막을 부산상의 외벽에 게시했다.
대형 현수막에는 해수부 부산이전에 대한 환영과 함께 해수부 기능 강화와 조직 확대, HMM 본사 부산이전을 요청하는 내용도 같이 담았다.
양재생 부산상의 회장은 "해수부 이전은 해양수도 부산으로 나아가는 첫 걸음인 만큼 각 부처에 흩어져있는 조선과 해양플랜트, 국제물류와 해양관광에 이르는 해양 연관 업무를 해수부로 반드시 통합해 조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면서 "HMM과 같은 해운 대기업은 물론이고 해사법원을 비롯한 관련 공공기관의 부산 이전까지 병행된다면 부산이 글로벌 해양수도에 한층 가까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서울에 기반을 두고 있는 육상직 노조의 경우, HMM 부산 이전 공약을 공개적으로 반대하는 입장이다.
해운업계에 따르면 HMM에는 '육상직 노조'와 '해원연합노조'가 있다. 육상직 노조에 가입된 사무직 등 대부분 인력은 서울 본사에서 근무 중이며, 약 900여명에 달한다. 해원연합노조에는 약 700여명의 선원이 가입돼 있으며, 이들은 주로 부산에서 근무하고 있다.
선원 중심의 해원연합노조의 경우 HMM 부산 이전에 찬성하는 기류를 보이는 반면, 육상직 노조는 반대 입장을 밝히며 신중한 접근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지난달 초 육상직 노조는 입장문을 통해 "기업 지방 이전은 경영 효율성과 경쟁력 확보 측면에서 검토돼야 할 사안"이라면서 "대주주가 정부 기관(산업은행·해양진흥공사)이라는 이유로 민간 기업을 강제로 이전시키려 하는 것은 수도권에 삶의 터전을 잡은 임직원과 그 가족 공동체의 안정성을 훼손하는 문제"라고 지적한 바 있다.
육상직 노조는 본사 부산 이전에 여전히 반대의 입장을 피력하고 있는 가운데, 결국 HMM 본사 이전의 핵심 과제로 노조를 설득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민주당 부산시당 관계자는 "오늘(14일) 전재수 해수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예정돼 있다"면서 "이후 후보자가 장관으로 취임한다면 일정을 조율한 뒤 육상직·해상직 노조 측과 공식적으로 만날 예정"이라고 밝혔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