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AI가 물류 판 바꾼다"…대한상의, 물류위원회 개최

등록 2025.09.30 09:36:26 수정 2025.09.30 09:36:33
이창현 기자 chlee3166@youthdaily.co.kr

"물류산업은 AI 도입 효과가 매우 큰 분야"

 

【 청년일보 】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는 30일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AI 전환과 물류산업 발전방향'이라는 주제로 제53차 물류위원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신영수 대한상의 물류위원장과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을 비롯해 이용호 LX판토스 대표이사, 이준환 KCTC 부회장, 심충식 선광 부회장, 이상근 삼영물류 대표이사, 양재훈 아신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

 

김승환 LG AI연구원 Applied AI 연구그룹장은 "차세대 AI의 핵심은 스스로 문제를  정의하고 계획과 실행까지 이어가는 에이전틱 AI(Agentic AI·변화에 자율 대응하는 자율진화형 AI)"라면서 "특히 물류산업은 수요 예측,  재고 관리, 배송 경로 최적화 등 복잡한 변수가 얽혀 있어 AI의 도입 효과가 매우 큰  분야"라고 진단했다.

 

그는 "불량제품 검출, 고객 상담, 플랜트 운영 최적화 등 제조·유통 현장에서 성과가 입증된 만큼, 물류에서도 에이전틱 AI가 단순 효율화를 넘어 실시간 의사결정과 운영 혁신을 이끌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민영 인하대 교수(한국로지스틱스학회장)는 "AI는 단순한 효율성 도구를 넘어 물류 운영 방식 자체를 바꾸고 있다"면서 "AI 기반 실시간 모니터링, 자동 상하역 시스템, 차량 기반 공유물류망 같은 기술들은 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뿐 아니라, 신선물류·O2O(Online to offline)·라스트마일 배송처럼 새로운 수요에 대응하는 핵심 인프라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사회적 차원에서는 AI 확산이 수도권과 지방, 대기업과 중소기업, 정규직과 비정규직 등 다양한 격차를 더 키울 수 있는 만큼, 정부는 공공부문이 선도적으로 AI 물류 실증과 확산에 투자하고, 소상공인이 저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동물류센터 등 포용적 물류 인프라를 확산시켜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자율주행, 데이터 활용, 노동환경 변화에 따른 안전·책임·보안 문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법·제도적 로드맵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신영수 대한상의 물류위원장(CJ대한통운 대표)은 "CJ대한통운 역시 자체 개발한 에이전틱 AI를 기반으로 한 물류 혁신을 추진중이며, 물류 전 과정을 스스로 판단하고 실행하는 완전 자율 운영 체계 구축을 목표로 삼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물류 기업들도 AI 대전환에 수동적으로 대처할 것이 아니라 선제적으로 전략을 세우고 대응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AI 전환(AX)은 물류기업을 포함한 모든 기업의 생존과 성장의 필수 전략"이라면서 "정부와 업계가 협력해 AI 기반 물류 인프라, 법·제도 정비, R&D 등을 통해 물류업계에 AI기술이 빠르고 폭넓게 확산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35길 4-8, 5층(당산동4가, 청년일보빌딩)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편집국장 : 성기환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