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환율 불안 여파…한경협 "내년도 수출 증가율 0.9% 둔화"

등록 2025.11.11 11:00:01 수정 2025.11.11 11:00:10
이창현 기자 chlee3166@youthdaily.co.kr

자동차, 철강 등 4개 업종, 내년 수출 감소 전망

 

【 청년일보 】 올해 수출이 전년 대비 2% 내외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2026년 수출 증가율은 0.9%로 증가세가 둔화될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1일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가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10대 수출 주력 업종을 영위하는 매출액 1000대 기업들을 대상(150개사 응답)으로 '2026년 수출 전망 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 기업들은 2026년 수출이 올해 대비 0.9%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선박(5.0%), 전기전자(3.1%) 등 6개 업종의 내년도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 반면, 자동차(-3.5%), 철강(-2.3%) 등 4개 업종은 내년 수출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6년 수출이 증가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들은 '글로벌 업황 개선에 따른 수요 증가'(33.7%)와 '수출시장 다변화를 통한 판로개척'(22.8%) 등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반면, 수출 감소를 전망한 기업들은 '관세 등 통상환경 불확실성 증가'(67.3%)를 가장 큰 이유로 지목했다. 그 외에 '주요 수출 대상국 경기 부진'(8.6%), '중국발 세계시장 공급과잉'(8.6%), '미·중 무역갈등 심화'(8.6%)도 수출 감소 전망의 원인으로 조사됐다.

 

응답 기업의 대부분(95.3%)은 2026년 수출 채산성이 올해와 비슷(77.3%)하거나, 악화(18.0%)될 것으로 봤다. 내년 수출 채산성이 개선될 것이라 답한 기업은 4.7%에 그쳤다.

 

업종별로는 10개 조사대상 업종 중 8개 업종(석유제품·철강·자동차부품·자동차 등)에서 채산성 '악화' 응답 비중이 '개선' 응답 비중보다 높게 조사됐다. 

 

기업들은 채산성 악화 원인으로 '관세로 인한 비용 부담 증가'(63.0%), '수출 경쟁 심화로 인한 수출단가 인하'(14.8%), '환율 상승에 따른 수입비용 증가'(11.1%), '미·중 무역 갈등 심화'(11.1%) 등을 꼽았다.

 

기업들이 2026년 채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적정환율은 평균 1천375원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올해(1월 2일~11월 5일 기준) 원달러 평균 환율은 1천414원(매매기준율 기준, 한국은행)으로 적정환율에 비해 39원 높았다. 기업들의 내년 원달러 환율 전망치는 평균 1천456원으로 집계됐다.

 

기업들은 내년 수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리스크로 '트럼프 행정부 관세정책'(53.3%)을 꼽았다. 이어 '원화 약세로 인한 환율 불안정'(17.3%), '미·중 무역 갈등 심화'(16.7%) 등도 2026년 주요 수출 리스크로 조사됐다.

 

올해 4월 미국의 관세 인상 후, 수출 기업들의 매출액(-1.1%)과 영업이익(-1.3%)이 모두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관세 부과로 손해를 입은 업종(매출액, 영업이익)은 총 8개로, ▲자동차(-9.5%, -8.5%) ▲철강(-3.4%, -4.0%) ▲석유화학(-1.5%, -0.7%)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관세 인상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수출단가 조정'(28.0%), '생산 원가 절감을 통한 비용 흡수'(25.8%), '수출시장 다변화를 통한 판로 개척'(16.5%) 등을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또한 기업들은 ▲법인세 감세·투자 공제 등 세제지원 확대(23.1%) ▲통상협정을 통한 관세 부담 완화(21.7%) ▲외환시장 안정성 강화 조치(18.5%) 등을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주요 정책과제로 제시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기업들의 최대 현안이었던 한미 관세 협상이 타결됐으나, 기업들은 여전히 통상 불확실성을 체감하는 상황"이라면서 "정부는 통상환경 개선을 위한 외교적 노력과 함께 세제지원 및 외환시장 안정 등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35길 4-8, 5층(당산동4가, 청년일보빌딩)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회장 : 김희태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