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우리나라는 아직 병원 간 진료정보가 자동으로 연결되고 공유되는 시스템을 완전히 갖추지 못했다.
예를 들어 병원 A에서의 진료기록이 병원 B로 자동 전달되지 않아 환자가 직접 과거 검사 결과를 들고 이동해야 한다.
이로 인해 환자의 전체 진료 기록을 신속하게 파악하기 어렵고, 중복 검사나 진료 누락이 발생해 환자 안전에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특히 만성질환자나 취약계층이 여러 기관을 오가며 돌봄 서비스를 받아야 하는 경우 불편이 가중된다. 국내 의료기관이 각기 다른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점도 병원 간 정보 공유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다.
이러한 격차는 의료 수준의 불균형을 심화시키고 대형병원 쏠림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 정부, 진료정보교류 플랫폼 구축...연계 확대 추진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2017년 12월 '진료정보교류포털'을 오픈했다. 환자는 포털을 통해 직접 진료정보교류 참여에 동의하거나 이를 직접 확인·수정·철회할 수 있다.
보건복지부는 2025년 '건강정보 고속도로'플랫폼과 전국 모든 상급종합병원 47개소의 연계를 완료했다.
또한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 제22조에는 통합지원정보시스템 구축·운영 방안이 명시돼 있다.
케어툴(Care Tool)을 활용하면 의료진뿐만 아니라 간호사, 사회복지사, 영양사 등 다양한 전문가가 환자의 진료 및 생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협업할 수 있어 다학제적 팀 기반 관리가 가능해진다.
◆ 나아갈 방향성
병원 간 정보가 자동으로 연결되고 공유되는 시스템은 단순한 기술적 과제가 아니라 환자 안전과 의료 질 향상에 직결되는 핵심 요소다.
이를 위해서는 기술 인프라의 확충뿐 아니라 법·제도적 정비, 의료인과 국민의 인식 변화가 함께 이뤄져야 한다.
의료정보의 효율적 연계는 의료 불균형 해소와 환자 중심의 통합 돌봄 체계 구축에도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청년서포터즈 9기 박영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