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서포터즈 8기 김여진 [인천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4학년]](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936/art_1756906532392_5e8372.jpg)
【 청년일보 】 디지털 혁신의 중심에 선 빅데이터는 우리 생활을 더 스마트하고 편리하게 바꾸고 있다. 기업들은 위치정보, 검색 기록, 결제 내역 등 방대한 개인정보를 활용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데이터가 넘쳐나면서, 이를 바라보는 이용자들의 불안과 반발도 커지고 있다.
최근 빅테크 기업들의 광범위한 데이터 수집 정책에 저항하는 젊은 세대가 늘고 있다. ‘내 정보는 내 권리’라는 인식 아래, 서비스 이용 중단과 탈퇴까지 이어지는 ‘데이터 거부권’ 운동이 확산되는 모습이다. 전문가들은 과거와 달리,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모르거나 과도하게 수집된다고 느낄 때 강한 저항을 보인다고 설명한다.
국내외 사례에서도 개인정보 남용에 대한 사회적 경계가 강화되고 있다. 작년 구글과 메타는 온라인 광고 목적의 무단 데이터 수집으로 국내에서 수천억 원대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유럽에서는 GDPR을 통해 무분별한 개인정보 수집을 막고 엄격한 동의 절차를 규제하고 있어, 글로벌 기업들도 이에 대응하는 중이다.
빅데이터의 잠재력은 막대하지만, 동의 없는 개인정보 남용은 이용자의 위협감과 불신을 키우며 저항으로 이어진다. 서비스 탈퇴, 대체 플랫폼 이용, 개인정보 제공 최소화 등 다양한 거부 형태가 나타난다. 실제 설문을 통해서도 개인정보 과잉 경험자는 프라이버시 위험과 불신을 크게 느껴 서비스 불편 및 중단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인 청년들은 개인정보 자기결정권 행사에 앞장서고 있다. 이들은 이용약관을 꼼꼼히 확인하고, 추적 차단·익명화 도구를 적극 활용하며 자신의 데이터를 보호한다. 이들은 단순히 ‘빅데이터 혁신 = 국가 경쟁력’ 논리로 모든 것을 용인하지 않는다. 신뢰받는 미래 사회를 위해선 개인정보 보호와 혁신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는 현실적 인식을 가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데이터 최소화, 투명성 확보, 그리고 이용자 선택권 보장”이 빅데이터 산업 생태계의 기본 원칙이 되어야 한다고 조언한다.
청년 세대의 ‘데이터 거부권’ 외침에 귀 기울일 때, 지속 가능하고 신뢰받는 디지털 사회가 가능해질 것이다.
【 청년서포터즈 8기 김여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