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발언대] 도로 위 잔혹사 '응급실 뺑뺑이'…"왜 반복되나"

등록 2023.07.16 08:00:00 수정 2023.07.16 08:00:06
청년서포터즈 6기 장세영 jangse0408@naver.com

 

【 청년일보 】 지난해 구급차가 환자를 태우고 응급실에 갔지만 받아주지 않아 되돌아간 '재이송'사례 즉 응급실 뺑뺑이는 전국적으로 7천634건에 달했다.


국립중앙의료원에 따르면 최근 5년 동안 생사에 기로에 선 중증환자 중 절반이 골든타임 안에 응급실에 도착하지 못 했다. 중증 응급환자가 골든타임 안에 도착하지 못 했던 비율은 ▲2018년 47.2% ▲2019년 47.3% ▲2020년 48.4% ▲2021년 50.8% ▲2022년 52.1%로 나타났다.


의료강국이라고 자부하는 대한민국에서 이런 응급실 뺑뺑이는 왜 생기는 걸까? 이에 대해 병원과 병원 사이에서 전원을 시켜줄 수 있는 중간 매개체가 없다는 점이 지적된다.


부산대병원 응급의학과 조석주 교수는 "병원 간 전원을 주선하는 업무를 담당할 중간 매개체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 매개체가 바로 '1339'라고 강조하며, 병원에서 1339에 전원을 의뢰하면 1339에서 환자를 수용할 수 있는 병원을 찾아 연결하면 전원이 훨씬 쉬워진다는 것이다.


의사,구급대원 등이 병원에 하나하나 연락해 전원이 가능한지 묻는 것보다는 모든 병원의 현황을 파악하고 있는 중간 매개체가 환자의 상태를 듣고 재빠르게 알맞은 병원으로 연결시키는 것이 훨씬 좋은 방법이라고 설명한다.


응급실을 찾아오는 환자 10명 가운데 7명은 직접 걸어올 정도로 경증이 대다수다. 이렇게, 급한 환자를 위해 비워져 있어야 할 병상이 경증 환자들로 포화상태인 점도 문제다.


이 모든 문제는 결국 응급실의 인력 부족 문제로 귀결된다. 실제 응급환자가 거부당한 이유를 모아보니 전문의가 없다는 게 3분의 1가까이 차지했다.

 

 

응급실을 지켜야할 신경외과나 흉부외과 의사들이 점점 줄어들고 있어 적은 인력으로 응급실이 운영되게 되는 것이다.


대책만 남발할 게 아니라 경증환자는 지역의료기관이 맡고 중증 응급환자는 대형병원에서 제때 치료받도록 관련법 정비에 당장 나서야 한다. 또한 구급대가 중앙응급의료센터에 연락하면 수용 가능한 응급실을 실시간으로 연결해 주는 시스템도 시급히 구축해야 한다.
 


【 청년서포터즈 6기 장세영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49길 23, 415호 (양평동4가, 아이에스비즈타워2차)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편집국장 : 성기환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