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뜨겁게 내리쬐던 태양과 반팔 차림의 사람들로 거리가 가득했던 날은 지나고 어느새 거리의 색이 바뀌며 설렘보다는 고요함과 약간의 외로움이 느껴지는 계절인 가을이 왔다.
'가을을 탄다'는 말이 있듯이 이유 없이 기분이 가라앉고 쓸쓸함을 느낄 때가 있다. 흔히들 기분 탓이라고 느껴질 수 있는데 단순히 '가을 타는 기분'이 아닐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계절성 우울증이라고 할 수 있다.
◆ 왜 가을만 되면 우울할까?
계절성 우울증은 가을이나 겨울에 나타나는 일시적 우울증의 한 형태이다. 여름보다는 짧아진 햇살로 인해 우리 몸이 적응하는 과정에서 변화가 생기는 것이다.
행복 호르몬이라 하는 세로토닌은 우리의 기분과 활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데 햇빛을 충분히 받아야 형성된다. 햇빛의 양이 줄어들면 세로토닌 분비도 줄어들게 돼 무력감과 우울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또한 햇빛이 줄어들게 되면 수면 호르몬인 멜라토닌이 불균형해진다. 멜라토닌은 보통 밤에 분비되지만 햇빛이 부족하게 되면 분비량이 늘어나거나 분비되는 시간이 불규칙해진다. 이 때문에 낮에도 졸리며 무기력함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 지금 나도 계절성 우울증을 겪고 있는 건가?
주요 증상으로는 피로감과 의욕 저하가 있다. 하루 종일 몸이 무겁게 느껴지고 사람을 만나고 싶기보다는 혼자 있고 싶은 마음이 커진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식욕의 변화이다. 햇빛 부족으로 생체 리듬이 느려져 에너지를 보충하려는 몸 반응 때문에 단 음식이나 탄수화물을 자주 찾게 된다. 이 외에도 사소한 일에 자신을 탓하는 자존감 저하 증상이 생긴다.
◆ 계절성 우울증 어떻게 예방해야 할까?
추워진다고 신체활동을 줄이기보다는 밖에 나가서 여유롭게 산책을 하는 것이다. 꾸준히 몸을 움직이기만 해도 엔도르핀이 분비돼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몸에 활력을 넣어준다.
우울함을 느끼게 되면 단 음식을 찾게 되는데 단 음식은 급격한 혈당 변화를 일으켜 감정 기복을 더 심하게 만들 수 있다. 단 음식보다는 세로토닌 생성에 도움 되는 음식인 바나나, 견과류, 치즈 등을 섭취해 기분을 전환시키는 것이 좋다.
계절성 우울증 해결에 가장 중요한 것은 스스로를 탓하지 않는 마음가짐이다. 가을이 주는 우울감은 자연스러운 신체 변화의 일부일 뿐이며, 결국은 지나간다. 적절한 관리가 이어지면 계절이 바뀌듯 마음의 상태도 다시 안정될 것이다.
【 청년서포터즈 9기 이승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