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세계식량가격지수 하락세가 멈췄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발표한 지난달 세계식량가격지수가 120.4를 기록하며 전월과 동일하다고 9일 전했다.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올해 7월 124.1에서 10월 120.4까지 지속 하락한 바 있다. FAO는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 가격 동향을 조사해 5개 품목군별로 식량가격지수를 매월 집계해 발표한다. 지수는 2014∼2016년 평균 가격을 100으로 두고 비교해 나타낸 수치다. 품목군별로 보면 유지류, 유제품, 설탕 가격은 상승했고, 곡물과 육류 가격은 내렸다. 지난달 유지류 가격지수는 124.1로, 전월 대비 3.4% 상승했다. 팜유는 주요 수입국의 구매량 증가와 주요 생산국의 생산량 저조로 인해 가격이 올랐다. 해바라기씨유도 수입 수요가 유지돼 가격이 올랐다. 반면 대두유는 국제 수요가 둔화하며 가격이 하락했고, 유채씨유도 국제 공급량이 충분해 가격이 내렸다. 유제품 가격지수는 114.2로, 전월과 비교해 2.2% 상승했다. 버터와 탈지분유는 동북아시아, 서유럽 등의 수요 증가로 가격이 올랐다. 전지분유도 수요 증가로 가격이 올랐으나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생산이 계속돼 상승 폭은 제한적
【 청년일보 】 국제 유가 하락과 함께 국내 주유소의 휘발유와 경유 판매 가격이 9주 연속 내림세를 기록했다. 9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12월 첫째 주(3∼7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와 경유 판매가격이 9주 연속 하락했다. 먼저 휘발유 판매가는 직전 주보다 14.7원 내린 L당 평균 1천626.6원을 기록했다. 전국 최고가 지역인 서울은 16.3원 하락한 1천710.3원으로 집계됐다. 가격이 가장 낮은 대구는 12.8원 내린 1천573.6원으로 나타났다. 경유 판매가격도 내림세를 보이며 직전 주보다 21.2원 하락한 1천563.8원으로 집계됐다. 수입 원유가격 기준인 두바이유는 배럴당 77.3달러로 직전 주 대비 5.4달러 내렸다.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
【 청년일보 】 수출이 14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하고, 수입이 소폭 줄면서 10월 경상수지가 흑자를 기록했다. 경상수지는 올해 들어 6개월 연속 흑자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올해 10월 경상수지는 68억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수출은 570억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월 대비 7.6% 증가했다. 수출은 지난해 9월 이후 13개월 연속 감소하다 14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품목별로는 승용차(21%)와 석유제품(17.7%) 등이 증가했고, 반도체(-4.8%)와 화공품(-5.1%) 등의 감소세는 둔화했다. 지역별로는 EU(-10.7%) 및 중국(-9.6%)으로의 수출은 감소했으나, 미국(17.3%)·동남아(12.7%)·일본(10.3%) 등의로의 수출은 증가했다. 수입은 516억5천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3% 감소했다. 원자재 수입은 작년 같은 달보다 13.4% 감소했다. 가스(-54.3%), 석탄(-26.0%), 화공품(-12.5%) 등의 수입이 크게 줄었다. 반도체 제조장비(-18.4%), 반도체(-14.3%) 등 자본재 수입도 6.3% 감소했으며, 곡물(-18.0%)·승용차(-11.9%) 등 소비재 수입
【 청년일보 】 지난해 소득 1억원을 웃도는 가구 비중이 사상 최초로 20%선까지 높아졌다. 사실상 우리나라 5가구당 1가구의 소득이 억대를 기록한 셈이다. 아울러 지난해 가구당 평균 소득이 증가한 데 이어 소득양극화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들 역시 개선되는 흐름을 나타냈다. 한국은행과 통계청, 금융감독원은 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소득-지출 지표는 2022년 연간 기준으로, 2021년과 비교·작성됐다. 2022년 한해 '가구소득'은 평균 6천762만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 6천470만원과 비교해 4.5% 늘어난 규모다. 중앙값에 해당하는 중위소득 역시 전년 대비 5.2% 증가한 5천362만원으로 나타났다. 가구소득 중 근로소득이 4천390만원으로 전년대비 6.4% 증가했다. 사업소득의 경우 4.0% 늘어난 1천206만원이었으며, 재산소득은 2.5% 증가한 436만원으로 각각 조사됐다. 가구의 '비소비지출'은 평균 1천280만원으로 8.1% 증가했다. 항목 별로는 공적연금·사회보험료로 433만원, 세금으로 416만원, 이자비용으로 247만원. 가구 간 이전으로 141만원을 각각 지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 청년일보 】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시장의 부실 우려가 국내 금융시장 최대 '뇌관'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금융당국이 5대 금융지주를 비롯해 건설사, 2금융권 등 시장참가자들과 릴레이 회의를 이어가면서 대응방안 찾기에 나섰다. 금융당국과 금융권은 올해 부동산PF 대출만기를 연장하는 방식 등으로 이른바 '시간 벌기'를 해왔다. 하지만 금융권에서는 내년부터 본격적인 부실 정리 및 재구조화 작업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7일 금융당국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지난 5일 5대 금융지주에서 부동산PF 업무 총괄 부사장들을 불러 시장현황 및 향후 대응방안 등을 논의했다. 한 지주사 관계자는 "부동산PF 시장의 내년 전망과 대주단 협약 진행상황 등에 관한 의견을 교환했다"며 "지방 사업장이나 아주 수익성이 떨어지는 사업장은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논의도 있었다"고 전했다. 앞서 금융위는 지난 4일에는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의 'PF 정상화 펀드' 운용사 5곳을 만나 집행상황 등을 점검했다. 해당 펀드는 PF 사업장의 정상화와 재구조화를 지원하기 위해 조성됐지만, 지난 9월 첫 투자에 나선 이후 추가대상을 좀처럼 정하지 못하고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 청년일보 】 한국 경제가 반도체 업황이 개선과 수출 재개로 인해 올해 3분기(7∼9월) 0.6% 성장했다. 한국은행은 올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잠정치·전분기대비)이 0.6%로 집계됐다고 5일 발표했다. 이는 지난 10월 26일 발표한 속보치와 같은 수준이다. 분기별 성장률은 올해 1분기 0.3%, 2분기 0.6%에 이어 세 분기 연속으로 0%대 성장을 유지했다. 3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나눠보면, 설비투자를 제외한 대부분 항목에서 증가세가 나타났다. 민간소비는 음식숙박과 오락문화 등 서비스를 중심으로 0.3% 늘었다. 정부소비는 건강보험 급여비 등 사회보장 현물 수혜가 늘어 0.2% 증가했다. 건설투자는 건물건설과 토목건설이 늘어 2.1% 증가했다. 다만 설비투자는 기계류가 줄어 2.2% 감소했다. 3분기 수출은 반도체, 기계 및 장비를 중심으로 3.4% 증가했다. 수입의 경우 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2.3% 늘었다. 속보 치와 비교하면 건설투자가 0.2%포인트(p), 수출과 수입이 각 0.1%p와 0.3%p씩 하향 조정됐다. 반면 정부소비(0.2%p)와 설비투자(0.5%p)는 다소 높아졌다. 업종별로는 농림어업이 축산업과 수산어획 등
【 청년일보 】 소비자물가가 지난 8월부터 11월까지 4개월간 3%대 오름세를 이어갔으나, 상승폭은 둔화세를 보였다. 5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1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2.74로, 전년 동월 대비 3.3% 상승했다. 올해 6~7월 2%대로 떨어졌던 물가상승률은 8월(3.4%), 9월(3.7%), 10월(3.8%) 오름세를 보였으나, 11월 들어 제동이 걸린 모습이다. 전월 대비로는 0.6% 감소하면서 지난해 11월 이후 1년 만에 하락 반전했다. 석유류가 전년 동월 대비 5.1% 감소하면서 전체 물가의 0.25%포인트(p)를 떨어트렸다. 유종별로는 휘발유는 2.4% 오르고 경유와 등유는 각각 13.1%, 10.4% 하락했다. 반면 농산물은 13.6% 오르며 0.57%p의 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는 지난 2021년 5월(14.9%) 이후 30개월 만의 최고 상승폭이다. 이 밖에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3.3% 올랐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3.0% 상승했다. 또,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
【 청년일보 】중국이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0년만에 처음으로 줄어들었다. 3일 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미국이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28.4%를 차지, 1위를 기록하는 한편 중국이 20%를 기록해 전년 대비 비중이 줄었다고 보도했다. 이는 JP모건 체이스가 지난해 지표 기준 세계경제에서 각국이 차지하는 비중을 업데이트한 결과로, 중국의 비중이 줄어든 건 지난 1994년 중국이 새 환율제도를 도입하면서 생산물의 달처화 환산가치가 하락한 이후 처음이다. 이와 함께 블룸버그통신은 국제통화기금(IMF) 등 여렷 기관들이 '실질 GDP'를 기준으로 중국이 세계경제 성장에 가장 크게 기여한 국가로 언급하고 있으나, 잘못된 평가라고도 했다. 올해 역시 미국의 비중이 중국보다 클 것으로 전망됐다. 위안화 가치가 하락하고, 미 내수시장이 코로나 사태 종식 이후 소비가 살아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지난해의 경우는 신흥국들의 비중이 확대됐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공격적인 긴축 정책을 추진하면 개발도상국의 통화가치가 크게 절하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도상국가(이하 개도국)들도 금리를 인상해 성장률이 하락하게 된다. 다만 브라질 등 주요 개
【청년일보】 최근 초저출산과 급속한 고령화로 인구 감소 '시계추'가 빨라지는 가운데 출산율을 끌어올리지 못할 경우, 오는 2050년께 성장률이 0% 이하로 추락할 것이란 경고가 나왔다.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이 3일 발표한 '초저출산 및 초고령사회:극단적 인구구조의 원인·영향·대책'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여성 1명당 15∼49세 사이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0.81 명으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낮고 217개 국가·지역 가운데 홍콩(0.77명)을 빼고 꼴찌다. 출산율 하락 속도도 가팔라 한국의 1960∼2021년 합계출산율 감소율은 217개 국가·지역을 통틀어 1위다. 이 같은 추세대로라면, 우리나라의 2025년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20.3%인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뿐 아니라, 2046년 일본을 넘어 OECD 회원국 중 고령인구 비중이 가장 큰 나라가 된다. 아울러 출산율 모형 분석 결과, 정책 대응이 없는 시나리오에서 2070년에는 90%의 확률로 연 1% 이상의 인구 감소가 나타나고, 같은 확률로 총인구도 4천만명 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급격한 고령화는 성장률 하락뿐 아니라 노인 빈곤 문제와 함께 전체 사회의
【청년일보】 내년도 경기 전망으로 경기 저점 형성 이후 그 속도가 느린 경기 회복 국면으로의 진입(U자형·상저하고) 가능성이 높을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현경연)은 '최근 경제 동향과 경기 판단'(2023년 4분기) 보고서를 통해 3일 이같이 밝혔다. 현경연에 따르면 올 4분기 현재 한국 경제는 수출이 미약한 반등세를 보이나 내수가 부진세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경기 침체 국면에 빠졌다. 수출 부문은 대중국 수출이 부진한 가운데, 반도체 등의 수출이 반등세를 보이면서 미약한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내수 부문은 고물가·고금리에 따른 실질 구매력 약화로 소비와 투자가 부진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10월 전산업 생산은 건설업이 소폭 증가했으나, 광공업과 서비스업이 침체되면서 9월의 증가세에서 감소세로 전환됐다. 특히 제조업의 경우 생산 회복 속도가 약화되면서 가동률이 하락하고 있다. 최근 반등하던 출하가 다시 감소세로 전환되면서 시장 수요 여건도 부정적인 모습이다. 보고서는 향후 한국 경제가 ▲세계 경제 전반의 성장력 약화에 따른 회복 탄력 미약 ▲미·중 경제의 동시 불황 가능성 ▲고금리·고물가 및 경기 불확실성에 따른 소비 심리 위축
【 청년일보 】 국제 유가가 약보합세를 보이는 가운데 국내 주유소 휘발유·경유 판매가격이 8주 연속 내림세를 보였다. 2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11월 다섯째 주(26∼30일) 전국 주유소의 휘발유와 경유 판매가가 8주째 하락했다. 먼저 휘발유 판매가는 직전 주 대비 18.9원 내린 L당 평균 1천641.2원을 기록했다. 전국에서 가장 가격이 높은 서울은 19.6원 하락한 1천726.6원으로 집계됐다. 최저가 지역인 대구는 18.8원 내린 1천586.5원으로 나타났다. 경유 판매가격도 내려 직전 주보다 22.8원 하락한 평균 1천585.0원으로 집계됐다. 수입 원유가격 기준이 되는 두바이유는 배럴당 83.0달러로 직전 주 대비 0.2달러 내렸다. 국제유가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 기대가 확산하며 약보합세를 보였다.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
【청년일보】 11월 수출이 전년 동기와 비교해 7.8% 증가하며 10월에 이어 두 달 연속 '수출 플러스' 기조가 이어졌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이 같은 내용의 11월 수출입 동향을 발표했다. 먼저 11월 수출액은 558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했다. 우리나라의 월간 수출은 반도체와 대(對)중국 수출 부진 영향으로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9월까지 12개월 연속 감소했는데, 10월 수출이 증가세로 돌아선 데 이어 11월 들어 회복세가 한층 뚜렷해지는 모습이다. 지난 1월 463억달러까지 떨어졌던 수출액은 추세적으로 상승해 11월에는 연중 최고치를 나타냈다. 품목별로는 15대 주력 수출품 중 12개 품목의 수출이 증가해 올해 들어 증가 품목이 가장 많았다. 우리나라의 전체 수출 부진의 핵심 요인이던 반도체 수출도 회복세로 돌아서기 시작했다. 11월 반도체 수출액은 12.9% 증가한 95억달러를 기록했다. 자동차(21.5%), 일반기계(14.1%), 가전(14.1%), 선박(38.5%)의 수출 호조세가 계속됐고, 11월에는 최근 수출이 부진했던 석유화학(5.9%), 바이오헬스(18.8%), 이차전지(23.4%)의 수출도 늘어났다. 지역별로는 주요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