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부산 신선대부두에서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30311/art_16791005106959_1e1a48.jpg)
【 청년일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우리나라의 성장 눈높이를 낮췄다. 미국과 중국을 비롯한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상향 조정됐지만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1%대 중반까지 다시 낮춰 잡았다.
17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OECD는 이날 발표한 '중간 경제전망'을 통해 우리나라의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1.8%에서 1.6%로 0.2%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우리 정부와 한국은행이 제시한 올해 성장률 전망치와 동일한 수치로, 국제통화기금(IMF·1.7%)보다는 낮지만, 아시아개발은행(ADB·1.5%), 피치(1.2%) 등보다는 높다.
글로벌 성장 둔화와 주요국 통화 긴축, 에너지 가격 안정세를 반영한 올해 우리나라의 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종전 3.9%에서 3.6%로 0.3%포인트 하향 조정됐다.
주요 20개국(G20) 가운데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내려간 것은 우리나라와 튀르키예(3.0%→2.8%), 아르헨티나(0.5%→0.1%), 일본(1.8%→1.4%) 등 8개국에 그쳤다.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미국(0.5%→1.5%), 중국(4.6%→5.3%), 스페인(1.3%→1.7%), 독일(-0.3%→0.3%) 등의 성장률 전망치가 일제히 올라간 영향으로 직전 전망보다 0.4%포인트 상향 조정된 2.6%로 전망됐다.
다만 OECD의 내년 세계 성장률 전망치 2.9%가 종전 수치(2.7%)에서 0.2%포인트 올라간 데 비해 한국은 종전 1.9%에서 2.3%로 0.4%포인트 높아졌다.
OECD는 한국이 2년 연속 1%대 저성장 늪에 빠질 위기를 모면할 것으로 내다봤다.
세계 성장률이 2.6%에서 2.9%로 0.3%포인트 상승할 때 한국은 1.6%에서 2.3%로 0.7%포인트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OECD는 "기업·소비 심리 개선과 에너지·식량 가격 하락, 중국의 완전한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등 긍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며 "특히 한국과 호주는 중국 성장 반등에 따른 수혜로 타이트(tight)한 금융 여건에 따른 영향을 상쇄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