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1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KAC한국예술원, 영화영상예술계열 졸업영화제 성료···올해 24회째 이어져

 

【 청년일보 】 서울 충정로에 위치한 교육부 2년제 예술전문학사, 4년제 예술학사 교육기관 KAC한국예술원(이하 한국예술원)은 영화영상예술계열에서 개최한 ‘제24회 KAC한국예술원 졸업영화제’가 막을 내렸다고 18일 밝혔다.

 

‘제24회 KAC한국예술원 졸업영화제’는 지난 13일부터 14일까지 신사동에 위치한 “이봄씨어터”에서 열렸으며, 학생들의 다수의 졸업 작품들이 상영됐다.

 

13일에는 학생들이 한 학기 동안 제작한 워크샵 단편영화를 소개하며, 상영이 끝난 뒤에는 GV(관객과의 대화)시간을 가졌다. 14일에는 졸업영화제의 정식 출품작으로 유지원 학생의 ‘오픈 토’, 임은수 학생의 ‘공간전’, 김율희 학생의 ‘우리가 꽃들이라면’, 박성미 학생의 ‘빨래방’, 유형래 학생의 ‘당신에게’, 한승주 학생의 ‘DONGHWA’가 출품되었다.

 

폐막식과 함께 진행된 시상식에서는 김율희 학생의 ‘우리가 꽃들이라면’ 작품이 ‘작품상’을 받았다. 이밖에 ‘인기상’에는 유지원 학생의 ‘오픈 토’, ‘미련도 후회도 없다’ 상에는 유형래 학생의 ‘당신에게’로 시상이 진행됐다.

 

영화영상예술계열 윤부희 교수는 “올해로 24회째를 맞이한 한국예술원 졸업영화제는 전통과 역사를 갖고 있는 국내 최고의 졸업영화제로 손꼽히고 있다. 올해 역시 다수의 작품들이 출품되는 가운데 영화제 응모작 중 엄정한 심사를 통해 선정된 6편의 우수 입선작이 상영됐다”며 “앞으로도 미래의 영화감독을 꿈꾸는 학생들을 위해 영화제 운영과 함께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KAC한국예술원 영화영상예술계열은 2019년 한정아 학생의 작품 ‘덫’을 비롯하여 김율희 학생의 작품 ‘생일’이 미장센 영화제 ‘4만번의 구타’ 및 ‘비정성시’ 부문에 진출하였다. 2018년에는 이성만의 ‘수혈’ 부천국제판타스틱 영화제, 2017년 임승현 ‘역귀’ 부산국제단편영화제 본선 진출 등 국내 영화제 본선 진출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최근에는 졸업생 김상혁 연출작 영화 '요람에서 무덤까지' 작품이 '제13회 상록수 다문화 국제단편영화제'에서 ‘연출상‘을 수상하였다. 김율희 학생은 CJ문화재단으로부터 스토리업 단편영화제작지원부문 제작지원금을 지원 받아 ’우리가 꽃들이라면‘은 작품을 선보였다.

 

한국예술원 영화영상예술계열은 영화 ‘럭키’, ‘힘을 내요, 미스터리‘를 연출하고 ‘올드보이’ 에 참여한 이계벽 교수를 비롯하여 부산국제영화제 와이드 앵글 경쟁부문 진출 및 모스크바 영화제 단편경쟁 최우수상을 받은 윤부희 교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화 ‘파주’와 ‘질투는 나의 힘’으로 유명한 박찬옥 교수가 영화제작실습 수업을 지도하고 있다.

 

영화영상예술계열은 1996년 사립영화학교 네오필름 아카데미에서 시작해 영화연출부터 편집까지 전문 설비를 갖추고 실무중심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매년 재학생들의 시나리오를 공모한 후 심사를 거쳐 재학생들의 단편영화 제작비를 지원하는 ‘사전제작지원’ 프로그램과 신입생들과 선배들의 참여로 이루어지는 신입생 영화제 ‘뒹굴필름’, ‘KAC 졸업영화제’, KAC 융합프로젝트 등 다양한 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서울 충정로에 위치한 한국예술원은 현재 2020학년도 신편입생 모집에서 학생들의 적성을 고려해 수능성적과 내신성적 반영을 하지 않고 실기와 면접을 통해 선발하고 있으며 합격자 전원에게는 장학금이 지급된다.

 

한국예술원 영화영상예술계열은 2년제(유튜브/미디어 플랫폼 전공)와 4년제(영화영상연출, 영화영상시나리오, 영화영상촬영·조명, 영화영상편집, 영화영상기획·마케팅, 영화·드라마사운드 전공)과정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졸업 시 교육부 영화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 청년일보=김두환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