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정부가 주택 공급 부족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조직을 비상 체계로 전환하고 현장 중심의 총력전에 나선다.
국토교통부와 LH는 20일 오전 서울 용산구 HJ중공업 건설부문 본사에서 '국토부-LH 합동 주택공급 TF' 및 'LH 주택공급특별추진본부' 현판식을 갖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지난 9·7 주택 공급 대책 발표 이후 두 달이 지났음에도 서울과 수도권의 집값 상승세가 진정되지 않자, 정부가 가용한 모든 카드를 꺼내 들며 정면 돌파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과거 무산됐던 유휴부지 개발과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 해제 등을 포함한 대규모 공급 시그널을 통해 시장 심리를 조기에 안정시키겠다는 복안이다.
이번에 출범한 합동 TF는 김윤덕 장관의 특별 지시에 따라 구성됐다.
국토부와 LH의 공급 담당 인력이 한 공간에서 근무하며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힌 도심 공급 사업의 의사결정 과정을 단축하고, 현장의 애로사항을 실시간으로 해결하는 역할을 맡는다.
특히 김 장관은 양 기관의 조직 구조를 공급 중심으로 대대적으로 개편할 것을 지시했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현재 분산된 공급 전담 기능을 통합·강화하는 방안을 관계 부처와 협의 중이다.
LH는 이상욱 사장 직무대행이 본부장을 겸임하는 '주택공급특별대책본부'를 즉시 신설했다.
산하에는 공급총괄, 매입공급, 공공택지, 도심권공급, 공공주택 등 5개 전담팀을 배치해 핵심 과제를 집중 관리한다.
각 팀은 신축 매입약정 후 착공 관리, 서울 서리풀 지구 등 신규 택지 보상 조기화, 노후 신도시 재정비 및 성대야구장 부지 개발 등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전담하게 된다.
아울러 수도권에 산재한 정비사업을 전문적으로 수행할 '수도권정비사업특별본부'도 별도로 신설해 전문성을 높였다.
정부는 또한 청년과 신혼부부 등 실수요자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별도의 정책자문단을 구성해 운영할 계획이다.
김윤덕 장관은 이날 현판식에서 LH 경영진에게 비상한 각오로 임해줄 것을 주문하며 "부지 발굴부터 준공까지 현장을 밀착 관리해 국민이 원하는 도심 선호 입지에 주택을 공급하고 시기를 획기적으로 단축하겠다"고 강조했다.
【 청년일보=김재두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