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2 (일)

  • 구름많음동두천 24.2℃
  • 구름많음강릉 18.7℃
  • 구름많음서울 25.2℃
  • 구름많음대전 25.2℃
  • 흐림대구 23.9℃
  • 흐림울산 18.9℃
  • 구름많음광주 24.9℃
  • 구름많음부산 20.5℃
  • 구름많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2℃
  • 구름조금강화 20.7℃
  • 구름조금보은 24.7℃
  • 구름많음금산 24.3℃
  • 구름많음강진군 25.4℃
  • 구름많음경주시 20.7℃
  • 구름많음거제 22.5℃
기상청 제공

[청년발언대] 재난문자는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

 

【 청년일보 】 지난달 31일 수요일 오전 6시 41분 서울시는 '오늘 6시 32분 서울지역에 경계경보 발령'이라며 '국민 여러분께서는 대피할 준비를 하시고, 어린이와 노약자가 우선 대피할 수 있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긴급재난문자를 보냈다.


이에 시민들은 혼란에 빠졌다. 문자에는 왜 경계경보가 내렸는지 알려주지도 않았을 뿐더러 대피 장소에 대한 언급도 없었다. 설상가상으로 네이버 접속자 수의 폭주로 접속 오류가 발생하면서 혼란이 가중됐다.


그러나 행정안전부(행안부)는 20여 분이 지난 7시 3분 경 '서울특별시에서 발령한 경계경보는 오발령 사항임을 알려드림'이라는 재난 문자를 다시 발송했다.

 

 

행안부 관계자는 "위급재난문자는 행안부와 지자체가 모두 발송할 수 있는데, 이번에 서울시 전역에 전송된 문자는 서울시가 오발송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서울시는 오발령이라는 행안부의 주장과 달리 서울시가 자체 판단해 긴급재난문자를 전송했다고 주장한다.


서울시는 "상황이 정확히 파악되기 전에는 우선 경계경보를 발령하고, 상황 확인 후 해제하는 것이 비상 상황 시 당연한 절차"라고 주장했다.


행안부와 서울시의 모순된 주장으로 시민들은 경계 경보가 오발령이라는 문자와 경계경보가 해제됐다는 문자를 동시에 받았다.


행안부에 따르면 긴급재난문자 방송 횟수는 2012년 342건, 2013년 388건 수준이었다가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2020년 5만4천749건과 2021년 3만775건으로 급증했다.


쏟아지는 긴급재난문자 속에서 시민들은 진짜 긴급한 재난인지 아닌지 혼란을 겪는다.


서울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윤수신(여, 20세) 씨는 지난달 31일 경계 경보 오발령 문자에 대해 "평소 반복되는 코로나 관련 재난문자와 실종 신고 등으로 시험 기간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해서 꺼 놓은 적이 많고 무신경 해져 문자 경보가 울렸을 때 신경 쓰지 않았다"라는 답과 함께 "주변 대학생 친구들도 새벽에 깼다가 별일 아니라 생각해 다시 잠든 친구들이 많았다"라며 긴급재난문자의 유효성에 대해 의문을 가졌다.


또한 서울시장의 "오발령이 아니라 과잉 대응이다"라는 주장에 대해 "과잉 대응이라면 경계 경보 문자에 왜 경보가 울렸는지 정확한 경위나 대비 방법, 관련 사이트 등이 간단하게 라도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긴급재난문자에 대한 회의적인 태도를 보였다.


지난해 서울시립대학교의 한 연구팀이 진행한 '긴급재난문자의 경제적 분석'에 따르면 긴급재난문자를 1회 보내면 피해 복구비가 약 1억 원 감소한다. 그러나 과다한 재난문자는 오히려 재난문자에 대한 국민의 경각심을 떨어뜨리고 피로감만 증가한다. 이에 지난달 7일 행정안전부는 이 같은 국민의 피로감과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재난문자 발송을 줄이고 긴급하고 필요한 정보만 송출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 청년서포터즈 6기 조은서 】

관련기사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