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8 (화)

  • 맑음동두천 31.7℃
  • 맑음강릉 29.2℃
  • 맑음서울 32.4℃
  • 맑음대전 33.6℃
  • 맑음대구 34.8℃
  • 맑음울산 29.5℃
  • 맑음광주 32.4℃
  • 맑음부산 27.6℃
  • 맑음고창 29.1℃
  • 구름조금제주 30.1℃
  • 맑음강화 24.3℃
  • 맑음보은 31.7℃
  • 맑음금산 32.3℃
  • 맑음강진군 32.6℃
  • 맑음경주시 34.1℃
  • 맑음거제 27.8℃
기상청 제공

[증권 리포트] 지난주 리포트 모아보기..."글로벌 선두주자" 하이투證, 하이브 목표주가 상향 外

 

【 청년일보 】 상반된 투자 의견에도 나름의 타당성이 존재한다. 판단은 항상 투자자의 몫, 화수분처럼 쏟아져 나오는 정보의 홍수 속에 이번주 증권가의 주요 브리핑 소식을 살펴보았다 .

 

◆ 글로벌 선두주자...하이투자증권, 하이브 목표주가 상향

 

하이투자증권은 하이브에 대해 글로벌 음악 산업의 최전방에서 BTS라는 히트 IP를 레버리지 삼아 NFT(대체불가능한토큰)·게임·플랫폼 등 이전에 음악과 연결되기 어려웠던 영역들에서 경계를 허물고 있다고 평가.

 

박다겸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하이브의 올 3분기 매출액 3,410억원, 영업이익 656억원으로 분기 최대실적을 달성했다며 영업이익은 컨센서스(시장 추정치) 705억원에 소폭 미달했으나, 당사 추정치에는 부합했다고 설명.

 

박 연구원은 아티스트와 팬덤간 만남의 장이자 수익화 창구인 위버스는 8월 블랙핑크 입점 효과에 힘입어 MAU(월 활성 이용자 수)가 640만명 전분기 대비 20% 증가했으며, 온라인 콘서트 부재에도 메모리즈·달마중 등에 힘입어 ARPPU(인당 결제액)도 전분기 대비 14% 역성장에 그쳤다고 분석.

 

박 연구원은 글로벌 1,2위 음악시장인 미국,일본에서 탑티어 아티스트IP 및 신인모멘텀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국내 3대 기획사와의 멀티플 차별화가 필요다고 설명.

 

그는 NFT, 오리지널 스토리 사업, 개방형 게임 론칭, 북미 커머스 사업 등과 함께 UMG와 협업하는 미국 여자 그룹, 일본에서 아이랜드 출신 멤버들과 함께 데뷔시킬 남자 그룹을 추진 중이라고 부연.

 

따라서 그는 하이브가 발표한 '경계 없는 성장'은 상장 전부터 이야기해온 레이블·솔루션·플랫폼 부문을 축으로 하는 사업 확장 전략의 실행 방안들인 셈이라며 이번에 추가로 조달한 6,000억 원의 현금이 여기에 또 얼마나 가속도를 붙일지 기대된다고 평가.

 

박 연구원은 하이브에 대해 2022년 상반기 이들 사업의 성공 여부에 따라 이익과 멀티플의 추가적인 상향 가능성도 열려 있다면서 동사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 목표주가를 416,500원으로 상향 조정.

 

◆ 가시성 높은 미디어 성장세...한화투자증권, CJ ENM 목표주가 상향

 

한화투자증권은 CJ ENM에 대해 미디어와 음악 사업은 콘텐츠와 채널 경쟁력의 시너지를 바탕으로 4분기에도 외형 확대 및 이익 성장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

 

김소혜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CJ ENM의 올 3분기 실적은 매출액 8,575억 원, 영업이익 878억 원을 기록하며 시장 기대치를 상회했다고 설명.

 

그는 특히 미디어 부문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119% 증가한 642억 원으로 사상 최대 이익을 기록했다고 부연.

 

김 연구원에 따르면 시청률 및 화제성 강화로 인해 TV광고가 전년동기 대비 23% 증가했고, 콘텐츠 판매 매출이 33% 고성장하며 수익성을 견인.

 

음악 부문 영업이익은 자체 아티스트들의 앨범 판매와 프로그램 매출 등 글로벌 성과가 확대되며 211%나 증가한 반면, 커머스 영업이익은 비수기 영향 및 고마진 상품 취급고 둔화로 인해 전년동기 대비 36% 감소.

 

김 연구원은 미디어 영업이익은 사상최대 실적을 재차 경신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콘텐츠 확장을 통한 채널 영향력 확대로 인해 TV광고와 디지털 매출 모두 증가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고. 그는 CJ ENM의 올 4분기 실적으로 매출액 1.02조 원, 영업이익 967억원으로 추정.

 

그는 3분기 티빙 유료가입자는 전분기 대비 38% 증가한 180만 명 수준으로 파악된다며 오리지널 콘텐츠 뿐만 아니라 예능, 스포츠 등 장르 다변화로 인한 라이브러리 확대 전략이 실적 성장으로 나타날 것으로 판단.

 

따라서 김 연구원은 CJ ENM에 대해 디지털 플랫폼과 TV의 채널 믹스 경쟁력을 보유한 국내 유일 사업자로 평가한다면서 동사에 대한 투자의견을 BUY로 유지하는 한편, 목표주가를 230,000원으로 상향.

 

◆ ESL 시장은 순항...하이투자증권, 솔루엠 투자의견 BUY

 

하이투자증권이 솔루엠에 대해 아쉬운 대외환경이나 ESL(전자가격표시기) 시장은 순항하고 있다고 평가.

 

하이투자증권 고의영 연구원은 솔루엠의 올 3분기 연결기준 실적은 매출 3,521억원, 영업이익 50억원으로 하이투자증권 추정치 대비 매출은 7% 상회했으나, 영업이익은 51.4% 하회했다고 설명.

 

고 연구원은 추정 대비 매출이 잘 나온 이유는 스마트 태그 덕분으로 삼성전자의 플래그십 제품 출시에 따라 이와 연계된 액세서리류의 출하량도 확대됐다며 전사 수익성이 부진했던 이유는 원재료비 상승, 예상보다 더딘 신규 공장 정상화 때문이라고 분석.

 

이어 그는 반도체 가격 상승이 원가율에 미친 영향이 컸다며 원가에서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40% 내외인 것으로 추정되는데, 전분기 대비 반도체 가격이 10% 인상된 것으로 파악되고 이는 전분기 대비 약 4%p의 마진 하락을 의미한다고 부연.

 

아울러 고 연구원은 향후 솔루엠의 업사이드 요인은 원가 상승을 뛰어넘는 ESL의 영업 레버리지의 확인, 신규 생산 법인의 수율 안정화, 북미 고객사향 슬림 파워 모듈 공급을 통한 제품 믹스 개선으로 정리할 수 있다고 진단.

 

또한 그는 솔루엠의 ESL 매출도 견고하다면서 올해 매출은 전년 대비 61% 성장한 2,140억원으로 전망되며 EPD 모듈, 반도체 등 자재 수급 차질에도 불구하고 산업 내 가장 빠른 외형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판단.

 

따라서 고 연구원은 내년까지 바라봤을때 ESL의 이익 레버리지 확인이 주가의 트리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면서 솔루엠에 대한 투자의견을 BUY, 목표주가 38,000원을 유지.

 

◆ 중장기 성장 전망은 이상무...한화투자증권, DL건설 투자의견 매수

 

한화투자증권이 DL건설에 대해 이미 사업권과 시공권을 확보해 둔 수주 대기물량이 많아 중장기적으로 실적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

 

송유림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DL건설의 올 3분기 매출액은 4,648억원, 영업이익은 531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각각 1.0%, 0.0%의 증감률을 기록했다며 3분기 실적 부진은 건축부문 매출액 성장이 기대에 못 미친 영향이 컸다고 분석.

 

송 연구원은 신규 수주 프로젝트의 착공 및 매출 본격화로 하반기 이후 가파른 매출 회복이 예상됐으나 자재 수급 이슈 등으로 이에 차질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

 

그는 대체로 공정률이 높아지는 4분기에는 이에 대한 만회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하나 연간 매출액 가이던스 2.2조원 달성은 무리인 상황으로 풀이.

 

반면 그는 영업이익률의 경우 11%대의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며 이를 바탕으로 영업이익 가이던스 2,460억 원의 달성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판단.

 

아울러 송 연구원은 2022년 실적 성장은 다소 제한적이겠으나 2023년 이후에는 분양 증가, 대규모 도시정비 현장 매출화 등에 힘입어 다시 성장의 구간으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

 

그는 DL건설에 대해 내년 실적 에 대한 눈높이는 낮출 필요가 있겠으나 중장기 성장에는 문제가 없다면서 동사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 목표주가 46,000원을 유지.

 

 

◆ 실적으로 확인되는 원형전지 가치...하나금융투자, 삼성SDI 목표주가 상향

 

하나금융투자는 삼성SDI에 대해 원형전지 부문의 매출 성장이 빨라 마진 상승이 기대된다고 진단.

 

김현수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삼성SDI의 올 3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1%, 40% 증가한 3조4,000억원, 3,735억원을 기록했다며 이는 전망치를 웃도는 수준이라고 설명.

 

김 연구원은 이같은 실적에 대해 매출 비중의 40%를 차지하는 중대형전지 부문이 전기차·ESS(에너지저장장치)의 배터리 수요 증가 지속으로 매출이 증가했다며 소형전지 역시 전동 공구·e-bike(전기자전거) 향 원형 전지 수요 강세와 전기차향 원형전지 신규 매출 증가로 수익성이 향상됐다고 설명.

 

아울러 그는 내년은 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고객사의 생산 차질이 점차 완화되는 국면에서 BEV(배터리 전기차)로 재편된 포트폴리오로 매출 증가가 본격화될 것이라며 원형전지의 가파른 성장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고.

 

따라서 김 연구원은 삼성SDI의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각각 전년 동기 대비 28%, 73% 증가한 4조2,000억원, 4,265억원으로 예상.

 

그는 중대형전지는 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인한 전기차 배터리 매출 성장 정체는 불가피하나 연말 ESS 프로젝트 매출 반영으로 부문 매출 증가할 것으로 추정.

 

김 연구원은 일반적으로 4분기는 원형전지 매출 성장 정체되는 분기임에도 지난 분기 대비 20% 매출 성장 가능할 정도로 전기차, e-bike 등 신규 모빌리티향 매출 증가세 가파르다면서 삼성SDI에 대한 투자의견을 BUY, 목표주가 1,200,000으로 상향.

 

◆ 플랫폼·광고 매출 고성장에...DB금융투자, 아프리카TV 목표주가 상향

 

DB금융투자는 아프리카TV에 대해 플랫폼·광고 매출 등으로 수익성이 지속될 것이라 진단.

 

신은정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올해 3분기 아프리카TV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711억원, 23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9%, 64.3% 증가했다면서 플랫폼 서비스 매출과 광고 부문이 전년 대비 각각 33.2%, 105.6% 고성장 했다고 진단.

 

이어 신 연구원은 4분기에는 라이브 스트리밍 중간광고 런칭, 콘텐츠형 광고 성수기 효과가 이어지며 광고 부문 매출 고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

 

그는 연말 행사 및 실적에서 확인한 안정적인 ARPPU(한달간 유저가 결제하는 평균 금액)가 이어질 것이라며 플랫폼과 광고 모두 고려한 4분기 전체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34.3% 증가한 810억원, 영업이익은 44.3% 증가한 248억원을 예상.

 

아울러 신 연구원은 아프리카 TV의 내년 영업이익 전망치를 기존보다 13.1% 상향했다면서 지속되는 실적 고성장으로 멀티플을 기존 23배에서 27배로 조정했다고 설명.

 

신 연구원은 조만간 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대체불가능한토큰(NFT)거래가 가능하고, 아프리카샵 개편으로 라이브커머스가 구체화되는 등 투자포인트는 아직도 많다면서 아프리카TV에 대한 투자의견을 BUY로 유지하는 한편, 목표주가를 245,000원으로 상향.

 

◆ 매출처 다변화 성과 매력적...하이투자증권, 만도 목표주가 상향

 

하이투자증권은 만도에 대해 차량용 반도체 부족사태 지속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생산량 증가 추세의 고객사를 확보했다는 점이 매력적이라고 평가.

 

신윤철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만도의 올 3분기 실적은 매출액 1조4,400억원, 영업이익 532억원을 기록하며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다고 진단.

 

신 연구원은 이같은 실적에 대해 에이치엘클레무브(구 만도체헬라일렉트로닉스) 증익 효과는 3분기 국내 공장 가동률 하락으로 인해 16억원을 기록했다고 설명.

 

이어 그는 국내에서 현대차, 기아 가동률이 하락하면서 손익분기점(BEP) 레벨의 영업이익률을 시현했다고 부연.

 

다만 신 연구원은 만도 매출 비중 2위를 차지하는 중국 사업에서는 북미 전기차 OEM, 니오 등 전기차(BEV) 생산량 증가세 수혜로 3분기 누계 매출액 1조300억원을 기록했다면서 매출처 다변화 노력의 성과가 드러났다고 분석.

 

그는 또 상반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기저효과에도 불구하고 동일기간 5.3%의 매출 성장률을 기록한 국내 사업과는 차별화된 회복 흐름을 보였다고 진단.

 

아울러 신 연구원은 최근 북미 전기픽업트럭 OEM(주문자 상표부착생산)을 신규 고객사로 확보하며 전장 제품군 중심의 프로젝트 수주에 성공했다면서 이에 따른 상승 모멘텀을 기대해 볼 수 있다고 평가.

 

따라서 그는 만도에 대해 내년 EPS(주당순이익)에 대한 기대치를 높여봐도 좋은 타이밍일 것으로 판단한다며 동사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 목표주가를 85,000원으로 상향.

 

◆ 정유의 강세, 커지는 배터리...SK증권, SK이노베이션 투자의견 BUY

 

SK증권은 SK이노베이션에 대해 정유 본업의 상승과 배터리 확대의 성장추세가 유효하다며 물적 분할로 할인을 반영하여도 성장하는 SK온의 가치가 매력적이라고 평가.

 

박한샘 SK증권 연구원은 SK이노베이션의 올해 3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2.3조원, 6,185 억원을 기록해 컨센서스(4,520 억원)를 상회했다고 설명.

 

박 연구원은 복합정제마진은 6월 배럴당 3달러 수준을 보이다가 9월에는 6달러까지 오르고 최근 8달러 수준까지 상승했다면서 빠듯한 석유제품 수요와 높아진 유가 수준을 고려하면 정제마진이 더 오를 수 있다고 전망.

 

아울러 그는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사업부(SK온)의 수주잔고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며 올 3분기 SK온(배터리) 매출은 8,168 억원을 기록해 지난 분기 대비 +30% 상승을 이뤘다고 분석.

 

또한 박 연구원은 SK온의 배터리 수주금액은 220조원을 제시해다며 지난 발표(130 조원) 대비 가파른 상승이 발생 중이라고 부연.

 

이어 그는 25년 CAPA(생산능력) 가이던스는 기존 200+Gwh에서 220+Gwh로 상승해 몸집은 커지는 추이라고 진단.

 

따라서 박 연구원은 SK이노베이션에 대해 정유 본업은 등·경유의 마진 회복에 펀더멘털 우호적이고, 배터리는 중국 공장 가동률 상승으로 매출 개선되고 있다면서 동사에 대한 투자의견을 BUY, 목표주가 310,000원을 유지.

 

◆ 위드코로나 수혜주...SK증권, 제주항공 투자의견 상향

 

SK증권은 제주항공에 대해 저비용항공사(LCC)들은 화물이 없어 대형항공사(FSC) 대비 위드 코로나 수혜 폭이 클 것이라고 전망.

 

유승우 SK증권 연구원은 국내 FSC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로 여객기 미운항을 통한 항공 화물 운임과 해상 운임을 항공 화물로 화루를 이동시켜 글로벌 항공 화물 용량의 약 40% 차지해 흑자 기조를 유지시켰다고 설명.

 

그러나 유 연구원은 반대로 위드코로나 국면에서 FSC는 항공 화물 운임 하락이 뚜렷해지며 여객 매출 회복이 화물 매출 하락을 상쇄할 것이라고 분석. 그러나 LCC 는 화물이 적어 여객 회복 수혜 다 받을 전망이라고 부연.

 

아울러 그는 제주항공은 자본 확충 리스크도 소멸됐다면서 상반기 자본잠식 우려를 탈피해 최근 유상증자를 통해 2066억원 가량의 현금을 확보하며 디폴트 리스크 불식시켰다고 평가.

 

또한 그는 이미 위드 코로나로 해외여행 수요가 가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차입금 롤오버나 회사채, ABS 발행으로 추가 현금 조달도 무리 없이 가능할 것이라고 진단.

 

따라서 유 연구원은 제주항공의 주가 상승 여력이 15%를 상회한다면서 동사에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BUY로 상향, 목표주가 26,000원을 유지.

 

【 청년일보=이나라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