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경기 둔화 속에서도 낮은 실업률이 이어지는 배경에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탈이 자리하고 있다는 국책연구기관의 진단이 나왔다. 구직을 포기한 20대 '쉬었음' 계층 확대가 통계상 실업자 감소로 이어지며 실업률 하락을 초래했다는 분석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6일 발표한 현안 분석 보고서 '최근 낮은 실업률의 원인과 시사점'에서 "최근 실업률 하락에는 일자리 매칭효율 개선이라는 긍정 요인과 함께 청년층의 구직 의향 감소라는 부정 요인이 동시에 작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KDI에 따르면 실업률은 2015년 3.6%에서 올해(7월 기준) 2.7%로 떨어졌다. 그러나 '쉬었음' 인구 증가가 없었다고 간주하면 상황은 달라진다. 20대 쉬었음 비중이 2015년 수준(4.4%)에 머물렀을 경우 올해 실업률은 3.4%로 0.7%포인트(p) 높아졌을 것으로 추정됐다. 또한 쉬었음 인구가 장기 추세대로 완만하게 증가했다고 가정해도 실업률은 3.1%로 0.4%p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쉬었음'은 취업 의사나 구직활동이 없는 비경제활동인구를 의미한다. 이들은 구직활동을 하지 않기 때문에 통계상 실업자로 분류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경기 악화로 구직 포기자가
【 청년일보 】 일자리 탐색조차 하지 않는 비경제활동 청년층, 이른바 '쉬었음' 인구가 1년 새 7만명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5∼29세 청년층에서 '원하는 일자리 부족'이 원인으로 꼽히며 고용 시장의 미스매치(mismatch) 문제가 더 심화하고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국가데이터처가 5일 발표한 '경제활동인구조사 비경제활동인구 및 비임금근로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22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천명 증가했다. 만 15세 이상 인구 대비 비경제활동인구 비중은 35.4%로 0.2%포인트(p) 낮아졌지만, 절대 규모는 늘어난 셈이다. 해당 비중은 8월 기준으로 2007년 통계 작성 이래 최저 수준이다. 비경제활동인구를 활동 사유별로 보면 '가사'가 36.9%로 가장 많았고, 이어 '재학·수강 등'(20.2%), '쉬었음'(16.3%) 순이었다. 특히 '쉬었음' 인구는 264만1천명으로 전년 대비 7만3천명 많아졌다. 성별로는 남성(210만5천명)이 7만9천명 증가한 반면 여성(53만6천명)은 6천명 감소했다. '쉬었음' 인구는 2022년 223만9천명, 2023년 232만2천명, 2024년 256만7천
【 청년일보 】 한국서부발전이 ‘KOWEPO 청년자립플러스+’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년들의 정서적 회복과 사회적 유대 강화를 위해 토크콘서트를 마련하고, 자립준비청년들의 건강한 자립에 힘을 보탰다. 서부발전은 지난달 30일 서울 중구에서 ‘KOWEPO 청년자립플러스+ 토크콘서트’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자립준비청년이 사회 진출 과정에서 겪는 심리적 어려움을 함께 나누고, 실질적인 조언과 지지를 통해 건강하게 자립할 수 있도록 돕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서부발전은 ‘KOWEPO 청년자립플러스+’ 프로그램을 통해 자립준비청년의 취업과 창업 등 사회 정착을 지원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는 서규석 서부발전 미래사업부사장과 조인호 서부발전 노동조합 위원장, 이재열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를 포함한 자문위원단, 협력 중소기업 대표, 청년 등 60여 명이 참석하여 소통의 장을 열었다. 토크콘서트는 ‘나의 자립 이야기’를 주제로 한 라이브 토크로 시작됐다. 자립준비청년 출신인 김성민 브라더스키퍼 대표가 연사로 나서 본인의 어려움 극복 경험을 진솔하게 공유하며 청년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했다. 이어진 2부에서는 청년들이 팀별로 ‘자립 다짐 토크’를 진행하며 프로그램 참여 중 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