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발언대] "기능보다 경험"…잘파세대 소비행태가 던지는 UX 재설계 과제
【 청년일보 】 잘파세대는 물건을 '소유'하는 것보다 '경험'과 '사용 과정의 만족'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 단순한 가격 경쟁력이 아니라, 사용하는 과정에서 스트레스가 적고 심리적 부담이 덜한 UX가 핵심 가치가 된 것이다. ◆ 갈수록 낮아지는 인내심… UX 속도는 곧 브랜드 신뢰 잘파세대는 앱을 실행하였을 때 2~3초만 불편해도 바로 이탈하곤 한다. 선택에 시간을 많이 쓰는 것을 '낭비'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많은 플랫폼은 여전히 '기능 추가'를 중심으로만 개선점을 찾고 있다. 기능은 늘어나지만 실제 사용자 경험은 더욱 복잡해지고, 결정 과정은 더 피로해진다. ◆ 여러 플랫폼을 쓰는 시대, 하지만 피로는 더 커졌다 SNS, 쇼핑, OTT 서비스 전부 플랫폼이 다르고, 그 안의 UI도 다르다. 잘파세대는 이 환경 속에서 매일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학습하고 비교해야 한다. 이 과정이 누적되면 결국 '사용 피로도'는 높아지고, UX 자체가 소비의 장벽으로 작동하기도 한다. 25세 최모씨는 "여러 플랫폼에서의 활동을 선호하나요, 한 플랫폼 내에서 여러 계정 활동을 선호하나요?"라는 질문에 "한 플랫폼이요. 시간 낭비라는 생각이 들어서 보통 하나만 사용합니다
- 청년서포터즈 9기 최정윤
- 2025-11-08 0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