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발언대] 청년층, 경제생활 문제로 매년 사망률 증가…"대책 무엇일까"
【 청년일보 】 청년층의 사망원인 1위는 자살(고의적 자해)로 청년 자살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사망원인 중 자살이 차지하는 구성비(백분율)은 20-29세 56.8%, 30-39세 27.3%로 나타났다.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과 보건복지부가 발간한 2023 '자살예방백서'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청년(19~34세)의 자살률은 2020년 22.4명에서 2021년 24.2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의 2017~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2021년 연령대별 성인 자살계획률은 청년기가 1.9%로 가장 높았고, 실제 자살시도율 현황 또한 청년기가 1.3%로 가장 높았다. 경찰청 2021년 변사자통계의 연령대별 자살 동기 비율을 살펴보면 21~20세는 정신적∙정신과적 문제(54.4%), 경제생활 문제(18.9%), 직장 또는 업무상의 문제(7.7%) 순서로 높았고, 31~40세는 정신적·정신과적 문제(39.3%), 경제생활 문제(37.0%), 가정 문제(7.0%) 순서로 높았다. 이와 같은 조사 결과는 정신적∙정신과적 문제가 가장 큰 자살 동기이지만, 경제생활 문제 또한 청년
- 청년서포터즈 7기 김수정
- 2023-12-09 1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