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AI(인공지능) 서울 정상회의'에 참석해 "안전하고 혁신적이며 포용적인 AI를 만들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동참하겠다"고 밝혔다. 22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 회장은 전날 열린 'AI 서울 정상회의'에서 진행된 화상 연설에서 "AI는 산업 혁신과 경제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넘어서 우리의 삶과 일하는 방식, 세상과 소통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회장은 "AI 기술의 장점을 책임감 있게 활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혁신의 과정에서 AI의 악용을 최소화하고 혜택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이 전 세계적으로 논의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AI 서울 정상회의는 지난해 11월 영국에서 열린 'AI 안전성 정상회의'의 후속 회의다. 윤석열 대통령과 리시 수낵 영국 총리를 포함한 주요 7개국(G7) 국가 정상들과 삼성, 아마존, 메타,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네이버 등 국내외 빅테크 기업 대표들이 화상으로 참여했다. 이 자리에서 이 회장은 "삼성의 핵심 가치 중 하나는 기술을 통한 인류 사회 공헌"이라며 혁신과 포용을 위한 삼성의 노력을 설명하기도 했다. 이어 "삼성은 전 세계 엔지
【 청년일보 】 현대자동차가 국내 500대 기업 경영평가에서 올해의 최우수 기업으로 선정됐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는 매출 상위 500대 기업 가운데 사업보고서를 제출한 비금융기업 273곳을 대상으로 경영평가를 실시한 결과, 현대차는 800점 만점에 662.2점을 받아 종합 1위에 올랐다고 22일 밝혔다. 올해로 8회째를 맞이한 500대 기업 경영평가는 CEO스코어가 매년 국내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투자, 글로벌 경쟁력, 일자리 창출 등 8개 부문을 평가해 발표하는 것으로, 현대차가 종합 1위에 오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해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기록한 현대차는 고속 성장과 투자, 글로벌 경쟁력 등 3개 부문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지난해까지 4년 연속 1위를 차지했던 삼성전자는 투자, 일자리 창출, 양성평등 부문에서 높은 점수를 획득했으나 종합점수 638.1점에 그치며 2위를 기록했다. LG화학은 고속 성장과 투자 부문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으며 종합점수 622.6점으로 3위에 올랐다. 이어 기아(614.4점)와 삼성바이오로직스(612.9점)가 각각 4위와 5위로 뒤를 이었다. 부문별로 보면 고속 성장 부문에서는 매출 10조원 이상 기업의
【 청년일보 】 삼성전자가 올 하반기 중으로 QLC(Quad Level Cell) 기반 낸드플래시(이하 낸드) 제품을 빠르게 개발해 인공지능(AI)용 고용량 스토리지 시장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현재웅 삼성전자 상품기획실 상무는 21일 자사 뉴스룸에 공개된 인터뷰를 통해 "AI용 고용량 스토리지 서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현 상무는 9세대 V낸드 기획과 개발을 담당하고 있다. 인공지능(AI) 시대에는 언어 모델 데이터 학습을 위해 초고속 병렬 연산을 지원하는 고대역폭메모리(HBM) 외에도 다양한 메모리 솔루션이 요구된다. 학습의 재료가 되는 대규모 데이터를 담을 공간이 있어야 하고, 추론 단계에서 알고리즘이 빠르게 동작하기 위한 고성능 스토리지도 필요하다는 것이 현 상무의 설명이다. 현 상무는 "AI용 데이터센터 전력 비용에 제한이 있어 단일 스토리지 서버당 고용량 메모리가 필요하다"며 "체크포인트(모델 학습 과정 중 현재 상태를 저장하는 특정 지점) 유지 중요성과 멀티모달 AI 모델 확산으로 고성능 스토리지 수요도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향후 생성형 AI를 넘어 스스로 학습하는 머신의 데이터를 처리할 더 많은 스토리
【 청년일보 】 LG전자가 올해 1분기 글로벌 올레드 TV 시장에서 과반이 넘는 점유율을 기록하며 프리미엄 TV 시장의 리더 지위를 공고히 했다. 21일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LG 올레드 TV의 출하량은 약 62만 7천 대로 출하량 기준 점유율 약 52%를 기록했다. 70형 이상 초대형 올레드 TV 시장에서 약 53%의 출하량 점유율을 기록하며 초대형∙프리미엄 TV 시장 내 리더십을 이어갔다. 80형 이상 초대형 시장에서도 현존 유일한 세계 최대 97형 올레드 TV를 앞세워 58.4%의 출하량 점유율을 기록하며 독보적 1위를 지켰다. 글로벌 TV 시장 수요 위축에도 LG전자는 수익성 확보를 위한 유통재고 건전화 노력을 지속 기울이는 한편, 프리미엄과 초대형에 집중하는 시장 전략을 펼치고 있다. 1분기 LG전자의 TV 매출 가운데 최상위 라인업인 올레드 TV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28%를 기록했다. LG전자는 올해 ▲한 차원 진화한 공감지능(AI) 화질/음질 칩 '알파 AI 프로세서' ▲웹OS 기반의 맞춤형 고객 경험 ▲무선 올레드 라인업 확대 등을 기반으로 초대형 프리미엄 TV 수요를 적극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옴디아는 지난 3년간
【 청년일보 】 삼성전자가 올해 1분기 글로벌 TV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하며 19년 연속 TV 시장 1위 달성을 위한 서막을 울렸다. 21일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 글로벌 TV 시장에서 매출 기준 29.3% 점유율을 기록하며 2위업체와 10% 이상의 격차를 유지했다. 수량 기준으로는 18.7%의 점유율을 달성하며 전 분기 대비 1.0% 포인트 성장했다. 연초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있었던 CES를 통해 올해를 AI TV 시대의 원년으로 선언한 삼성TV는 1분기 Neo QLED를 앞세운 초대형, 프리미엄 제품과 QLED, OLED의 판매 호조를 통해 점유율 1위를 달성한 것으로 보인다. 2천500달러 이상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삼성은 매출 기준 53.2%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견고한 1위를 유지했다. 1천500달러 이상 기준으로도 55.2% 점유율을 기록하며 범용 제품 가격대에서도 강한 모습을 보였다. 75형 이상 초대형 시장에서도 29.6%의 점유율을 달성하며 독보적 1위를 달성했다. 또한, 98형 제품 등의 판매 호조로 인해 80형 이상에서도 34.4%의 점유율을 달성했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
【 청년일보 】 김병훈 LG전자 CTO(최고기술책임자, 부사장)가 국가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금탑산업훈장을 받았다. LG전자는 21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59회 발명의 날 행사에서 김 CTO가 최고 수상 영예에 해당하는 금탑산업훈장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 훈장은 정부포상 가운데 훈격(勳格)이 가장 높다. 1971년생인 김 CTO는 지난 2008년 LG전자에 합류해 다양한 미래기술의 선행 연구개발을 주도해 왔다. 2021년부터는 최고기술책임자를 맡아 CTO부문을 이끌고 있다. LG전자 관계자는 "이번 수훈은 LG전자의 최고기술책임자로서 차세대 기술표준 개발과 이와 관련된 특허권 확보를 주도하며 세계 최고 수준의 R&D 혁신을 통해 국가 기술 경쟁력 제고에 공헌해 온 공로를 인정받은 결과"라고 밝혔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
【 청년일보 】 삼성전자가 차기 반도체 '총사령관'으로 미래사업기획단장 전영현 부회장을 '깜짝' 발탁했다. 회사 측에선 불확실한 글로벌 경영환경하에서 대내외 분위기 쇄신 및 반도체의 미래경쟁력을 강화 등 '두 마리 토끼'를 모두 포획하기 위해 교체했다는 입장이다. 반면 업계 일각에선 지난해 실적악화에 대한 책임 등 여러가지 복합적 요인이 작용했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21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미래사업기획단장 전영현 부회장을 DS부문장에 위촉했다. 기존 DS부문장이었던 경계현 사장은 미래사업기획단장 겸 SAIT 원장으로 선임됐다. 신임 DS부문장에 위촉된 전 부회장은 1960년생으로 한양대 전자공학부, 카이스트 전자공학 석·박사 출신이다. 2000년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로 입사했으며 ▲2002년 삼성전자 반도체 D램 5팀장 상무 ▲2009년 삼성전자 반도체 D램 개발실 실장을 거쳤다. 2012년엔 메모리사업부 전략마케팅 팀장을 거쳐 2014년 12월부터 DS부문 메모리 사업부장을 역임했다. 2017년에는 삼성SDI로 자리를 옮겨 5년간 SDI대표이사 역할을 수행했으며, 올해 삼성전자 미래사업기획단장으로 위촉돼 삼성전자와 전자관계사의 미래 먹거리 발굴역할을 수
【 청년일보 】 삼성전자가 반도체 사업을 총괄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장을 전격 교체했다. 삼성전자는 21일 미래사업기획단장 전영현 부회장을 DS부문장에 위촉했다고 밝혔다. 기존 DS부문장이었던 경계현 사장은 미래사업기획단장 겸 SAIT 원장으로 선임됐다. 이번 인사배경에 대해 삼성전자는 "불확실한 글로벌 경영 환경하에서 대내외 분위기를 일신해 반도체의 미래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라고 밝혔다. 신임 DS부문장에 위촉된 전영현 부회장은 2000년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로 입사해 D램/Flash개발, 전략 마케팅 업무를 거쳐 2014년부터 메모리 사업부장을 역임했다. 2017년에는 삼성SDI로 자리를 옮겨 5년간 SDI대표이사 역할을 수행했으며 올해 삼성전자 미래사업기획단장으로 위촉돼 삼성전자/전자관계사의 미래먹거리 발굴역할을 수행해왔다. 삼성전자는 "전영현 부회장은 삼성전자 메모리 반도체와 배터리 사업을 글로벌 최고 수준으로 성장시킨 주역으로 그간 축적된 풍부한 경영노하우를 바탕으로 반도체 위기를 극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
【 청년일보 】 삼성전자는 한층 강력해진 갤럭시 AI 기능을 제공하는 '갤럭시 북4 엣지'를 21일 공개했다. '갤럭시 북4 엣지'는 온디바이스 AI와 클라우드 AI를 모두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AI'를 통해 보다 혁신적이고 강력한 AI PC 사용 경험을 제공한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와의 협력을 통해 통합형 클라우드 AI 사용 경험을 제공하는 갤럭시 북 시리즈 최초의 '코파일럿+ PC'로, 클라우드 AI 기반으로만 동작하던 기존 코파일럿의 기능을 온디바이스 AI 기반으로도 누릴 수 있게 진화된 제품이다. 또한, '갤럭시 북4 엣지'에 탑재된 퀄컴의 AI PC 전용 프로세서 '스냅드래곤 X 엘리트'는 최대 45 TOPS(초당 45조회 연산, Trillion Operation Per Second)의 처리속도를 제공하는 NPU를 탑재해, 강력한 AI 프로세싱을 지원한다. 노태문 삼성전자 MX사업부장 사장은 "갤럭시 북4 엣지는 모바일과 PC의 경계를 허물고 AI 기술을 통해 일상 생활을 변화시키는 경험을 대중할 뿐만 아니라, AI 연결성에 대한 시각과 비전을 확장할 것"이라면서 "삼성전자는 갤럭시 AI의 우수한 사용성과 업계 최고의 파트너들과의 개방형 협업을 더
【 청년일보 】 패션∙뷰티 물류가 CJ대한통운 풀필먼트사업의 신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올 1분기 풀필먼트사업 내 패션∙뷰티 카테고리 물량이 전년 동기대비 98.4% 급증했다고 21일 밝혔다. 풀필먼트사업 초기인 지난 2022년부터의 분기 평균 성장률(CQGR)은 무려 23.7%에 달한다. 패션∙뷰티 풀필먼트 성장 효과에 힘입어 올 1분기 CJ대한통운 이커머스사업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3% 성장한 682억원을 기록했다. 풀필먼트(Fullfillment)란 셀러의 상품 입고부터 보관, 피킹, 재고관리, 출고, 배송 등 물류 전 과정을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통합 물류서비스를 말한다. CJ대한통운은 풀필먼트 사업 초기 배송역량에 집중하며 패션∙뷰티 고객사를 확대해 왔다. 먼저 지난 2021년 3월 여성 패션 마켓플레이스 '지그재그'에 'e-풀필먼트 서비스' 제공을 계기로 패션 풀필먼트사업을 본격화했다. 이후 지그재그의 '직진배송(자정 전 주문 시 익일 도착)'과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입점 업체 물량을 맡으며 역량을 입증하고 신규 셀러를 잇달아 유치했다. 풀필먼트를 통한 고객사와의 물류 협업 강화도 눈길을 끌고 있다. CJ대한통운은 기존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