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최근 3년간 서울에 등록된 임대사업자에 대한 재산세와 취득세 등 지방세 감면 혜택이 총 17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별로는 송파구에서 가장 많은 감면 혜택을 받았다. 17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안호영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주택 임대사업자 재산세·취득세 감면 현황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 9월까지 주택임대사업자에 대해 재산세와 취득세 감면 규모가 총 126만6000건, 1691억4000만원에 달했다. 현재 신축 또는 최초로 분양받은 전용면적 60㎡ 이하 공동주택이나 주거용 오피스텔을 임대주택으로 등록할 경우 취득세 100%가 면제되고, 임대 기간과 주택 규모(전용 85㎡ 이하)에 따라 차등해서 재산세 감면 헤택이 주어진다. 이 가운데 재산세 감면이 124만3000건에 677억5000만원이며 취득세 감면은 2만3000건, 1014억원으로 집계됐다. 감면 건수는 재산세가 많지만 감면 액수는 취득세가 압도적으로 많은 것이다. 연도별로는 지난 2017년 재산·취득세 통합 감면 건수가 36만2687건에서 2017년 말 정부의 '임대주택 등록 활성화 방안' 발표 영향으로 2018년 422만2477건으로 16.5% 증가했다. 취득·
【 청년일보 】 미성년자의 부동산 임대소득 현황이 공개됐다.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의 미성년자 880명이 228억원의 부동산 임대소득을 벌어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연평균 2천600만원의 소득을 벌어들인 것이다. 1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심기준 의원이 국세청의 '시·도별 미성년자 부동산 임대소득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7년 강남 3구 미성년자 880명이 부동산 임대소득으로 228억2천100만원을 번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같은 해 서울시 미성년자 1천403명이 벌어들인 임대소득 335억100만원의 68.1%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또한, 전국 미성년자 2천415명이 벌어들인 임대소득 504억1천900만원의 45.3%에 해당한다. 2017년 미성년자 부동산 임대소득 규모를 시·도별로 보면, 서울(335억100만원)이 전체 미성년자 임대소득의 66.4%를 차지했다. 이어 경기 85억1천900만원(16.9%), 부산 17억8천900만원(3.5%), 인천 15억400만원(3.0%), 대구 12억7천100만원(2.5%) 등의 순이었다. 부동산 임대소득이 있는 미성년자는 서울이 1천403명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4
【 청년일보 】 한국예탁결제원 등 금융 공공기관의 여성 임원 비율이 매우 낮다는 지적이 나왔다. 정의당 추혜선 의원은 15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신용보증기금·자산관리공사·주택금융공사·예탁결제원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 공공기관의 임원 78명 중 여성은 6명으로 6.5%밖에 되지 않는다"며 "특히 예탁결제원은 여성 임원이 1명도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병래 예탁결제원 사장에게 "부서장급 이상 8명 가운데 여성이 있느냐"고 질의했다. 이에 이 사장은 "1명이 있다"고 답했다. 추 의원은 "2017년부터 정부가 공공부문의 여성 진출 확대를 위한 5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유리천장을 깨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금융 공공기관이 이런 노력에 제대로 부응하지 않아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이라며 "채용과 관리직 선임에서 여성할당제 도입을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사장은 "직원 평가 등에서 여성에게 불리하게 하는 부분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혹시 차별적인 요소가 있는지 검토해 보겠다"고 답했다. 이어 "채용에서는 여성할당제를 운영하고 있어 과거 5개년간 평균 45%로 여성이 입사했다"며 "관리자 선임에 관해서는 비율을 확
【 청년일보 】 은행 예·적금이나 보험을 해지하는 건수가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15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태규 바른미래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시중은행 18곳의 정기 예·적금 해지 건수는 2016년 7월∼2017년 6월 556만9284건에서 2018년 7월∼올해 6월 964만4251건으로 73.2% 늘었다. 2018년 7월∼올해 6월 예·적금 해지 금액은 2년 전 같은 기간(48조790억원)보다 19% 불어난 57조2381억원이었다. 저축은행에서 만기 전 해지된 예·적금도 꾸준히 증가했다. 지난해 저축은행 정기 예·적금의 중도해지 건수와 금액은 각각 43만3748건, 7조2453억원으로, 2017년(34만7천46건·5조4624억원)보다 25%, 32.6% 늘었다. 올해 들어 8월까지는 29만8900건, 5조2832억원으로 집계됐다. 신협·농협·수협 등 상호금융권도 지난해 예·적금 해지 건수(270만1000건)가 한 해 전(259만8000건)보다 4%가량 늘었고, 해지 금액도 비슷한 수준으로 불었다. 예·적금뿐만 아니라 보험계약도 해지하는 사례가 늘었다. 생명·손해보험 해약 건수는 2016년 7월∼2017년 6월 71
【 청년일보 】 문창용 자산관리공사(캠코) 사장은 15일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일가가 운영해온 학교법인 웅동학원으로부터 캠코가 돌려받지 못한 돈이 128억원이라고 밝혔다. 문 사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웅동학원에 한해 그에(기술보증기금에) 관한 전체 채무가 44억원이다. 동남은행 84억원까지 하면 128억원이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캠코는 기보에서 인수한 웅동학원 채권이 44억원(원금 9억원, 이자 35억원)이고, 동남은행이 갖고 있다가 넘겨받은 채권이 84억원(원금 35억원 중 부동산 경매로 21억원 회수, 이자 70억원)이라고 설명했다. 문사장은 애초 의원들의 질문에 "현재 (웅동학원에 대해) 남아있는 채권이 17억원 정도"라고 했다가 "원금 기준이고, 이자 포함하면 44억원"이라고 했지만, "동남은행 84억원까지 하면 128억원"이라고 재차 정정했다. 문 사장은 캠코가 왜 웅동학원 채권을 회수하지 않느냐는 지적에 "관할 교육청에서 학교기본재산(부동산 25개 필지)에 대해선 처분 제한이 되기 때문에 경매를 할 수 없었던 건"이라고 답변했다. 그는 "웅동학원이 기본재산 외에는 재산이 전혀 없어서 지속적으로 변제 독촉을 하고
【 청년일보 】 지난 1차 안심전환대출 수혜자들의 주택 상당수가 경매로 넘어간 것으로 드러났다. 15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유의동 바른미래당 의원이 한국주택금융공사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년 실시된 주택담보대출 저금리전환 '안심전환대출' 지원대상자로 선정된 수혜자들 주택 226건(235억5200만원 상당)이 경매로 넘어갔다. 대출원금과 이자를 함께 갚아야 하는 부담이 영향을 미친것으로 풀이된다. 연도별 안심전환대출 경매신청 건수를 보면, 안심전환대출이 시행된 2015년 19건(19억4200만원), 2016년 38건(43억1800만원), 2017년 45건(50억6400만원), 지난해 94건(104억7200만원)으로 매년 규모가 증가했다. 이와 함께 안심전환대출 연체율도 늘어나고 있다. 2015년 0.03%에 불과하던 연체율이 2017년 0.1%를 보였고 지난 8월 기준으로 0.15%까지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유 의원은 "저금리 주택 담보대출 지원에도 금융부채 상환능력이 부족한 주택 소유자들이 적지 않다"며 "금융당국은 금융부채 상환능력이 부족한 주택 소유자에 대한 가계부채 관리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길나영 기자 】
【 청년일보 】 김명준 서울지방국세청장이 15일 글로벌 IT 기업이 서버를 해외에 두고 있어도 실제로 국내에서 사업이 이뤄지고 있다면 과세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김 청장은 이날 서울 종로구 서울지방국세청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자유한국당 추경호 의원의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추 의원은 "구글과 같은 글로벌 IT기업의 조세회피에 대해 엄정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다"며 "고정사업장이 국내에 없으면 과세가 어려운데 IT기업의 경우 고정사업장인 서버가 해외에 있어 과세가 어려운 것 아니냐"고 질의했다. 이에 김 청장은 "국내 자회사가 계약 체결권을 상시적으로 행사하는 등 상황이 있으면 (과세가) 가능하다"며 "글로벌 디지털 기업에 대해 고정사업장 성립 여부를 엄정히 보겠다"라고 답했다. 추 의원이 "현재 법령하에서 글로벌 IT기업의 서버가 외국에 있어도 과세할 수 있다는 뜻이냐"고 재차 묻자 김 청장은 "과세 요건 입증이 쉽지는 않지만 근거가 충분히 있다면 가능하다"고 말했다. 추 의원이 이른바 '구글세' 도입에 대한 입장을 묻자 김 청장은 "세법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곤란하지만, 현재 조세 체계와 대치된다는 얘기가 있어 신중히 검토해야 할 것 같다"
【 청년일보 】9억원 넘는고액 전세거래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 동안 전국의 무려 4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15일 국토교통부와 한국감정원이 자유한국당 김상훈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의 9억원 이상 전세 거래 건수가 2014년 1천497건에서 2018년에는 6천361건으로 4.2배 늘었다. 고액 전세가 몰려 있는 서울의 경우 2014년 1천477건이던 9억원 이상 전세 거래 건수가 2018년에는 5천894건으로 급증했다. 이는 지난해 서울지역 전체 전세 거래건수(17만4천44건)의 3.4%에 달하는 수치다. 또 과천·분당 등의 영향으로 경기도의 고액 전세가 2014년 20건에서 2018년에는 418건으로 증가했다. 지방에서는 대구가 지난해 기준 32건으로 가장 많은 고액 전세가 거래됐다. 부산은 2017년 처음 6건이 신고됐고 지난해 12건으로 2배 증가했다. 인천은 2017년 8건에서 2018년에는 5건으로 감소했다. 서울 고액 전세는 주로 강남3구(5천건)에 몰렸다. 강남구는 지난해 신고된 전세거래(1만2천658건)의 19.4%인 2천455건이, 서초구는 전체의 18.28%인 1천933건이 9억원 이상 고액 전세였다
【 청년일보 】 지난해 말 기준 서울 강남 3구의 체납액이 서울 지역 전체 체납액의 3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두관 의원이 서울지방국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서울청의 체납 발생 총액은 전년 대비 684억원이 늘어난 8조232억원이었다. 이중 강남 3구의 체납액은 3조1209억원으로 전체의 39%를 차지했다. 나머지 22개 구의 체납액은 4조9023억원이었다. 서울시의 2억원 이상 고액·상습 체납자도 강남 3구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이 국세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서울시 전체 고액·상습 체납자 1486명, 체납액 1조2537억원 중 강남 3구의 체납자는 443명(30.1%), 체납액은 4245억원(34.2%)이었다. 나머지 22개 구의 고액·상습 체납자는 1043명(69.9%), 체납액은 8292억원(65.8%)이었다. 지방세 체납액 역시 강남 3구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김 의원이 서울시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서울시에서 지방세 1천만원 이상 체납자는 총 1만6천71명으로 체납액은 7천170억5천만원이었다. 이중 강남 3구의 체납자는 6933명(43.1
【 청년일보 】 지난해 기업 본사가 많은 서울을 관할하는 서울지방국세청이 매출 5000억원을 초과하는 기업 4곳 중 1곳꼴로 세무조사를 벌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세청은 법인에 대한 세무조사 건수를 줄이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하지만 매출이 많은 대기업은 조사 건수와 조사 비율이 높아지는 상황이다. 15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박명재 의원이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서울청의 매출 5000억원 초과 기업에 대한 세무조사는 2016년 69건, 2017년 74건에서지난해 111건으로 급증했다. 매출 5000억원 초과 기업에 대한 세무조사 비율은 2016년 16.0%(430곳 중 69곳)에서 2017년 16.9%(437곳 중 74곳)로 소폭 높아진 데 이어 지난해에는 24.1%(461곳 중 111곳)로 전년 대비 7.2%포인트나 올랐다. 지난해 서울청의 매출액 구간별 세무조사 비율을 보면 10억원 이하 구간이 0.1%로 가장 낮았고 10억원 초과 100억원 이하는 0.7%, 100억원 초과 1000억원 이하는 9.3%, 1000억원 초과 5000억원 이하가 17.7%, 5000억원 초과 구간이 24.1% 등으로 나타나 매출이 높은 기업일수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