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3년간 대부업체에서 돈을 빌린 청년·고령층의 연체율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이 대부업체를 통한 대출실태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3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상이 20개 대부업체의 대출잔액 및 연체율 현황'지료에 따르면 올해 6월말 기준 상위 20개 대부업체의 20대 연체금액이 466억원, 연체율이 5.8%인 것으로 드러났다.
70대 이상 고령층도 대출잔액은 줄고 있으나 연체율은 2016년 10.2%에 이어 올해 8.1%로 여전히 높았다.
자료에 따르면 2017년 6월말을 기준으로 상위 20개 대부업체 대출잔액은 8조8146억원이었고 연체금액은 4318억원으로 평균 연체율이 4.9%에 달한다.
연체금액은 2014년 2613억원, 2015년 3090억원, 2016년 3858억원으로 급증했고 연체율도 2014년 3.8%에서 2017년 6월말 4.9%까지 상승했다.
특히 20대 청년층과 70대 이상의 고령층에서 연체율 증가 폭이 컸다.
20대의 연체금액은 2014년 308억원, 2015년 397억원, 2016년 453억원, 2017년 6월말 466억원으로 지속적으로 늘었고 연체율도 2014년 3.9%에서 2017년 6월 5.8%로 증가했다. 최근 3년 사이 연체율이 2% 가까이 증가한 셈이다.
70대 이상은 대출잔액은 줄어들고 있는 반면 연체율은 여전히 늘고 있다. 같은 기간 40~50대가 평균 연체율이 4% 안팎인 것과 달리 70대 이상은 2016년 10.2%, 2017년 6월말 기준 8.1%의 연체율을 보였다.
박 의원은 "해마다 대부업체의 연체금액이 늘고 있다"며 "특히 청년과 노년층에서 연체율이 늘고 있어 금융당국에서 이들의 대출목적 및 대출실태를 종합적으로 점검해볼 필요성이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