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종이빨대용 수성접착체가 국내 최초로 FDA 승인을 받은 소식에 조광페인트가 상한가를 기록했다. 국제 알루미늄 가격이 상승해 조일알미늄이 상한가까지 상승했다. ◆ 종이빨대용 수성접착제 韓 최초 FDA 승인...조광페인트, 상한가 종이빨대용 수성접착제가 FDA승인을 국내 최초로 받으면서 조광페인트가 상한가를 기록. 조광페인트는 국내 최초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친환경 종이 빨대용 수성 접착제에 대한 승인을 획득, 제품에 대한 안정성을 입증받았다고 11일 밝힘. 조광페인트는 지난 11일, 전 거래일보다 22.90%(1910원) 상승한 1만250원에 거래를 마침. ◆ 국제 알루미늄 가격 상승...조일알미늄, 상한가 국제 알루미늄 가격이 상승하면서 조일알미늄이 상한가를 기록. 지난 7일(현지시각) 런던금속거래소(LME) 기준 국제 알루미늄 가격은 톤당 2518.5달러로 전일 대비 1.7% 올라감. 조일알미늄은 지난 11일, 전 거래일보다 29.74%(259원) 상승한 1130원에 거래를 마침. ◆ 국가철도망 수혜 기대...대호에이엘, 상한가 국가철도망에 대한 수혜가 기대된 영향으로 대호에이엘이 상한가를 기록.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지난 10일
【 청년일보 】 ◆ KT, 1Q 영업이익 4천442억원…전년 동기 대비 15.4%↑ 코스피 상장사 KT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4천442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5.4%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1일 공시. 매출은 6조294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3.4% 증가. 순이익은 3천265억원으로 43.7% 늘었음. ◆ SK텔레콤, 1Q 영업이익 3천888억원…전년 동기 대비 29%↑ 코스피 상장사 SK텔레콤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3천888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29.04%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1일 공시. 매출은 4조7천805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7.41% 증가. 순이익은 5천720억원으로 86.95% 늘었음. ◆ 한화솔루션, 1Q 영업이익 2천546억원…전년 동기 대비 52%↑ 코스피 상장사 한화솔루션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2천546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52.31%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1일 공시. 매출은 2조4천43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6.94% 증가. 순이익은 3천852억원으로 501.36% 늘었음. ◆ DL이앤씨, 1Q 영업이익 1천998억원…분할 후 첫 실적 DL이앤씨(옛
【 청년일보 】 백신접종 우수국에 대한 머니 무브가 본격화되면서 한국의 백신 접종률을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고, 오는 6월 한국거래소 주가 지수 변경에 대한 틈새전략이 소개됐다. IPO(기업공개) 대박 릴레이에 증권사들이 함박웃음을 짓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으며, 고난도 상품 숙려제가 시행되면서 금융권 판매현장에 희비가 교차했다. 언택트 게임주의 실적 부진에 대한 분석이 제기됐고, PEF(경영참여형 사모펀드)들이 각자도생에 나서고 있다고 전해지는 등 다양한 이슈들이 제기됐다. ◆ 글로벌 자금, 백신접종 우수국 쏠림에...갈길 먼 韓 글로벌 자금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이 높은 국가로 몰리고 있다고. 백신 접종률이 높은 국가일수록 경기 회복 속도가 빨라질 것이란 기대 때문. 반면 백신 접종률이 낮은 국가에선 자금이 빠져나가고 있음. 우리나라에 해외 자금이 유입되기 위해선 백신 접종률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옴. 지난 10일 유안타증권과 업계에 따르면 1차 백신 접종 기준으로 가장 접종 속도가 빠른 나라는 이스라엘(1차 62.5%, 2차 58.9%). 영국과 미국은 1차 접종 기준으로 각각 50.6%와 43.7%를 기록. 유럽
【 청년일보 】 코스피가 11일 인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1% 이상 하락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날보다 39.87포인트(1.23%) 하락한 3209.43으로 마감했다. 전날 3249.30까지 치솟으며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던 코스피는 이날 9.38포인트(0.29%) 내린 3239.92에 출발했다. 이어 장중 한때 3200선 아래까지 밀려나는 등 약세를 이어가다가 장을 마쳤다. 외국인이 2조2천91억원, 기관이 1조3천503억원을 각각 순매도하며 낙폭을 키웠다. 외국인의 순매도 규모는 올해 들어 지난 2월 26일(2조8천299억원) 이후 가장 크고, 기관은 2월 4일(1조8천357억원) 이후 가장 크다. 그러나 개인이 3조5천554억원어치를 순매수하며 3200선은 지켰다. 지난 1월 11일(4조4천921억원)과 1월 26일(4조2천50억원), 2월 26일(3조7천785억원)에 이어 역대 4번째로 많은 순매수 규모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인플레이션 우려와 빅테크 투자심리 위축, 나스닥과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 급락에 따른 투자심리가 악화했다"며 "여기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대형 반도체주 중심으로 외국인 자금이 유출되면서 하락으로 이어졌다"고 분석
【 청년일보 】 한국금융지주 자회사 한국투자증권은 뱅키스 고객을 대상으로 개인형퇴직연금(IRP) 수수료를 면제할 예정이라고 11일 밝혔다. 뱅키스는 비대면 또는 시중은행을 통해 개설하는 한국투자증권의 온라인 거래 서비스다. 한국투자증권은 현재 0.20%~0.25% 수준의 뱅키스 IRP 운용∙자산관리 수수료를 면제한다. 무료 수수료는 제반 업무가 완료되는 5월 말 경 적용된다. 뱅키스 IRP 신규 고객 이외에 기존 고객도 무료 수수료 적용 대상이다. 박종길 퇴직연금본부장은 “향후 고객지향적 혜택과 시스템,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 안정적인 수익률 등 퇴직연금 사업자의 원칙에 집중할 방침”이라며 “한국투자증권이 퇴직연금 사업자 중에서도 높은 IRP 수익률을 내고 있는 만큼 고객에게 더 많은 혜택이 돌아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국투자증권은 최근 업계에서 다이렉트 IRP의 무료 수수료를 속속 도입한 것을 감안해 하반기에 기존 영업점 관리 계좌 고객에게도 수수료 혜택을 제공할 예정이다. 영업점 IRP 계좌에서 손실이 발생할 경우 수수료를 면제하고, DC·DB형 가입 근로자의 퇴직금이 입금되면 수수료를 1년간 면제한다. 또한 퇴직연금을 일시금이 아닌 연금식으로
【 청년일보 】 KB증권은 ‘ETF 거래 이벤트’를 KBSTAR 미국S&P500, KODEX 미국S&P500TR, KODEX 미국나스닥100TR을 거래하는 개인고객들을 대상으로 진행 중이라고 11일 밝혔다. 첫번째 이벤트는 지난 10일부터 내달 4일까지 KBSTAR 미국S&P500(379780) ETF를 일간 3억원 이상 거래한 고객 중 거래금액 상위 5명을 대상으로 5만원 상당의 모바일 문화상품권을 증정하는 것이다. 두번째 이벤트 대상은 지난 3일부터 내달 11일까지 KODEX 미국S&P500TR(379800), KODEX 미국나스닥100TR(379810) ETF를 합산해 일간 3억원 이상 거래한 고객 중 거래금액 상위 10명이다. 5만원 상당의 모바일 문화상품권을 증정한다. 일별 중복 당첨도 가능하다. 다만 이벤트 참가 조건인 개인별 거래 실적은 정규매매시간 체결 거래만 인정되며, 시간외 거래 실적은 제외된다. 또한 제세공과금(22%)이 발생할 경우에는 고객이 부담해야 한다. 이번 이벤트는 KB증권 ETF 고객들을 위해 마련됐다. 하우성 M-able Land Tribe장은 “KB증권 ETF 고객들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기 위
【 청년일보 】 하이투자증권은 오는 17일 온라인 웹세미나를 대구은행과 함께 DGB금융그룹 창립 10주년을 기념하는 목적으로 개최한다고 11일 밝혔다. 하이투자증권 리서치본부의 고태봉 본부장과 조익재 전문위원이 강사로 나선다. 주제는 ‘2021년 하반기 증시 및 미래 모빌리티 산업 전망’이다. 조익재 전문위원이 2021년 하반기 증시 전망에 대해 강연하며, 고태봉 본부장이 미래 모빌리티 산업 전망에 대해 강연한다. 이번 세미나는 대구은행 유튜브 채널 ‘dgb프렌즈’를 통해 10시부터 1시간 동안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진행 되며, 유튜브에서 ‘dgb프렌즈’ 채널 검색을 통해서도 참석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하이투자증권 고객지원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하이투자증권 관계자는 “DGB금융그룹 창립 10주년을 기념하여 처음으로 웹세미나를 준비했다”며 “최근 증시가 횡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본 웹세미나가 투자기회를 파악하는데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 청년일보=강정욱 기자 】
【 청년일보 】 키움증권은 ‘2021년 하반기 해외선물 시장 전망’ 세미나를 오는 20일 18시부터 19시 30분까지 진행한다고 11일 밝혔다. 미국 시카고 선물중개회사(RJO) 한국지사 담당자인 윤태진 부장이 세미나를 진행한다. 2021년 하반기 해외선물 시장 전망을 제기하고 시장 흐름에 맞는 해외선물 상품을 함께 설명한다. 해외선물옵션에 관심 있는 고객이라면 누구나 무료로 신청할 수 있으며, 키움증권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 신청 시 시장분석 강의 자료를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세미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온라인으로만 진행된다. 키움증권 채널K, 유튜브를 통해 시청할 수 있다. 한편 키움증권은 비대면 계좌 보유 고객이라면 해외선물옵션 수수료를 계약당 2.5달러로 할인해 주는 이벤트도 진행 중이다. 자세한 내용은 키움증권 홈페이지나 키움금융센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청년일보=강정욱 기자 】
【 청년일보 】 코스피가 11일 장 초반 하락세를 나타냈다. 코스피는 이날 전 거래일보다 9.38포인트(0.29%) 내린 3239.92에 출발했다. 이날 오전 9시 6분 기준 코스피는 전날보다 20.95포인트(0.64%) 하락한 3228.35를 나타냈다. 개인과 기관이 각각 913억원과 669억원을 순매수했다. 외국인은 1천429억원 순매도했다. 미국 증시의 하락이 10일(현지시간) 장 초반 코스피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양상이다.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0.10% 떨어졌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04% 하락 마감했다. 나스닥지수는 2.55% 급락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지난주 금요일 고용 쇼크에 따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조기 정책 정상화 우려 해소로 기술주들은 반등하기도 했었지만, 고용 부진은 일자리 복귀 지연 등에서 기인한 일시적인 영향이 크기에 탄력적인 회복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어 "경제 정상화 가속화에 따른 인플레이션 유발과 그에 따른 금리의 추세적 상승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으로 금리 변화에 민감한 기술주들이 급락세를 보였던 것으로 판단한다"고 분석했다. 페이스
【 청년일보 】 유안타증권이 1분기 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한 서울옥션에 대해 전방위적인 미술품 가격 상승의 수혜가 예상된다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 주가를 2만20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안주원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서울옥션 2021년 1분기 실적은 매출액 174억원(+154.9%, YoY)과 영업이익 32억원(흑자전환)을 시현했다"며 "부문별로는 상품 매출액이 100억원을 상회하면서 전년 대비 112% 증가했고 경매 매출액도 전년 대비 567% 성장한 42억원을 달성했다"고 전했다. 안 연구원은 "1분기에 진행한 경매 횟수는 총 11회로(오프라인 2회, 온라인 9회) 전년대비 확연하게 늘어났으며 국내 미술품 시장 호황에 따라 미술품 가격 상승이 이루어진 점도 실적 확대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향후에도 실적 성장세가 강화될 것이라고 안 연구원은 전망했다. 안 연구원은 "2분기 경매를 10회 이상 진행할 예정이며 4월에 이뤄졌던 메이저 경매는 낙찰총액 99억원(낙찰률 84%)로 이미 좋은 실적을 보였다"며 "최근 미술품 가격 상승에 따라 2분기 상품 매출액도 최소 1분기 수준인 100억원대가 유지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재테크 수단으로 부각되고
【 청년일보 】 시가총액 2위의 가상화폐 이더리움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트코인 투자자들이 시선을 돌리면서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암호화폐 정보 사이트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서부 시간으로 10일 오후 1시 30분(한국시간 11일 오전 5시 30분) 기준 이더리움의 가격은 24시간 전과 견줘 3.13% 오른 3984.60달러로 집계됐다. 이더리움의 가격은 10일 오전 9시 40분 경 사상 최고치인 4200.86달러까지 상승했으나 이후 3800달러 선까지 내려오기도 했다. 또 경제매체 CNBC는 코인메트릭스를 인용해 이더리움이 역대 가장 높은 4196.63달러까지 상승했다고 전했다. 이더리움의 시가총액은 4천614억5천만달러로 집계됐다. CNBC는 투자자들이 수익을 좇아 가상화폐의 대장 격인 비트코인 대신 다른 가상화폐를 찾으면서 이더리움 가격이 최근 가파른 포물선을 그리고 있다고 전했다. 이더리움은 4월 한달 간 40% 이상 상승했으나 비트코인은 2% 하락했다. 비트코인은 이날 같은 시간 기준 24시간 전보다 2.79% 하락한 5만5664.64달러에 거래됐다. 이에 따라 시총은 1조400만달러로 쪼그라들었다. 전기차 업
【 청년일보 】 뉴욕증시는 기술주들이 대폭 하락한 여파로 약세로 마감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10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전장보다 34.94포인트(0.10%) 떨어진 34742.82로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44.17포인트(1.04%) 밀린 4188.43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350.38포인트(2.55%) 하락한 13401.86으로 장을 마쳤다. 다우 지수는 장중 사상 처음 35000선을 돌파하며 고점을 또다시 경신했으나 오후 들어 오름폭을 축소하다 장 막판 하락세로 전환했다. 나스닥 지수는 대형 기술주들이 줄줄이 2% 이상 추락하면서 하락했다. 투자자들은 경제가 재개됨에 따라 점차 팬데믹으로 수혜를 입은 기술주에서 에너지, 은행, 산업 관련 주식 등 경제 회복에 수혜를 입는 주식들로 투자처를 옮기는 모습이다. 이에 따라 장 초반 에너지 관련주들이 유가 반등에 힘입어 강세를 보였다. 다우 지수는 장 초반 35000포인트를 돌파하기도 했다. 유가 상승은 미국 최대 송유관 운영사인 콜로니얼 파이프라인이 사이버 공격으로 모든 송유관 시설의 가동을 중단했다는 소식이 영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