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매달 꼬박꼬박 보험료를 내는데, 나중에 연금을 받을 수 있을지 잘 모르겠어요." 서울에서 직장 생활을 하고 있는 27세 청년은 국민연금에 대한 불신을 숨길 수 없었다. 은퇴는 아직 한참 멀었지만, 갈수록 악화되는 연금 재정 상황과 수급 불확실성은 젊은 세대의 불안을 키우고 있다. 보건복지부의 제5차 국민연금 재정추계에 따르면, 현재 구조를 유지할 경우 국민연금 기금은 오는 2055년경 고갈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정부와 국회는 보험료율 인상, 수급 개시 시점 연장 등의 개편안을 논의 중이지만, 청년층 사이에서는 "우리가 연금 고갈 세대"라는 위기감이 퍼지고 있다. 실제로 최근 한 여론조사에서는 20~30대 응답자의 과반 이상이 '국민연금으로 노후를 대비하기 어렵다'고 응답했다. 특히 보험료를 납부할 경제적 여력이 부족한 청년층 입장에선 매달 빠져나가는 금액에 대한 회의감이 커질 수밖에 없다. 한 직장인은 "차라리 국민연금보다 개인연금을 들겠다"라고 말하기도 한다"며 "나중에 받을 수 있다는 보장이 없는데, 10만 원 넘게 매달 내는 게 무의미하다는 생각이 들어요"라고 말했다. 이러한 인식은 국민연금 제도의 구조적 한계에서 비롯된다. 현재
【 청년일보 】 지난 2024년 7월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2024년 정신건강 실태조사'에 따르면 20대 청년층의 우울증 유병률이 15%를 넘어서며, 30대 초반까지 해당 수치는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인구 평균인 약 5%를 크게 웃도는 수치로, 청년층의 정신건강 문제에 경고등이 켜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관련 업계의 전문가들은 청년들이 겪는 정신건강 문제를 단순한 개인적 고통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구조적인 문제로 접근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코로나19 이후 대면 활동이 줄어들고, 취업난과 높은 거주비 등으로 인한 경제적 압박이 가중되면서 청년층의 불안감과 우울감은 크게 증가했다. 특히 정규직 취업의 문턱은 여전히 높고, 비정규직과 플랫폼 노동에 종사하는 청년들이 늘어나면서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로 인해 발생되는 심리적인 불안정은 사회적 고립으로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 2024년 아르바이트 구인구직 사이트에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취업 준비 중 외로움을 느끼는 주요 순간으로 '제대로 사는 걸까라는 회의감이 들 때'와 '주위에서 하나둘 취업 성공 소식이 들려올 때' 등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정신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