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우리나라는 노인 자살률 1위 국가이다.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의 2025 ‘자살통계연보’에 따르면 OECD 가입국 중 대한민국의 노인 자살률이 39.9명으로 1위이다. 평균 16.5명보다 2.4배 더 높은 수치이다. 이러한 현황은 우리나라 노인 자살 문제가 심각함을 보여준다. 무엇이 대한민국 노인을 자살로 내모는 것일까? WHO는 지난 6월 30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사회적 고립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외로운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두 배 높고, 자해나 자살 충동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고립은 뇌졸중, 심장병, 당뇨병, 인지 기능 저하 등의 건강 문제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사회적 고립에 취약한 독거노인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20년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노인의 19.9%가 노인 독거 가구이며, 노인 부부 가구 58.4%, 자녀 동거 가구 20.1%, 기타 가구 1.7%로 나타났다. 노인 단독 가구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녀와 동거하는 가구여도 자녀의 질병이나 장애 등으
【 청년일보 】 2025년 우리나라의 고령인구비율은 20.3%로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다. 고령화 문제가 더욱 가중화되고 있는 만큼 다양한 노인복지가 등장하며 노인복지의 패러다임 또한 변화하고 있다. 과거엔 노인을 단순히 서비스 ‘수혜자’로 보았다. 하지만 이제는 노인이 서비스 ‘주체자’가 되어 복지의 설계와 실행 과정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노인 주도 복지가 주목받고 있다. 노인 주도 복지는 노인이 삶의 경험을 통해 얻은 강점인 지혜를 사회복지 실천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노인은 지역사회와 직접 상호작용하며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노인은 자존감과 주체성을 회복할 수 있고 고립 문제도 해소될 수 있다. 지역의 입장에서도 지역 내 복지 네트워크가 활성화되고 자생적인 복지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복지의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노인이 지역사회에 직접 기여함으로써,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고양시 대화노인종합복지관에서는 삶의 지혜와 앞선 경험을 지닌 선배 노인이 지역사회에 관심을 갖고 자신은 물론 후배를 돌보는 역할을 한다는 ‘선배시민(senior-citizen)’ 패러다임을 도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