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한국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늦게까지, 가장 많은 노인이 일하는 나라로 나타났다. 그러나 높은 고용률의 배경에는 '일의 보람'보다 '생계를 위한 노동'이 자리 잡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26일 국민연금연구원 오유진 주임연구원의 '국민연금과 고령자 노동 공급'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올해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3%에 이르며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지난 2023년 기준 65세 이상 고용률은 37.3%로 OECD 평균(13.6%)을 크게 웃돌아 회원국 1위를 기록했고, 초고령사회인 일본(25.3%)보다도 높았다. 통계청 조사에서 고령층이 희망하는 근로 연령은 평균 73.4세에 달했다. 노인들이 계속 일하는 주된 이유는 생계 때문이다. 고령층의 54.4%가 '생활비 보탬'을 꼽았고, '일의 즐거움'(36.1%)이나 '무료함 해소'(4.0%)는 뒤로 밀렸다. 보고서는 낮은 국민연금 급여가 이러한 생계형 노동을 부추긴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기준 국민연금 평균 수령액은 약 66만원으로, 1인 가구 최저생계비(134만원)의 절반 수준에 그친다. 서구 선진국처럼 연금을 받는 시점에서 은퇴를 선택하기 어렵고, 연금 수급
【 청년일보 】 24일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17∼21일 전국 18세 이상 2천523명을 대상으로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를 조사한 결과 긍정 평가한 응답자는 55.9%로 지난주보다 1.4%포인트(p) 올랐다. 이 대통령 지지도는 직전 조사에서 3주 만에 하락세를 보였다가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부정 평가한 응답자는 40.5%로 전주 대비 0.7%포인트 하락했다. 리얼미터는 이 대통령 지지도가 주 중반 반등했다 주 후반 다소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지지도 상승에는 중동·아프리카 순방 중 150조원 규모 업무협약(MOU) 체결 등 경제 외교 성과가, 지지도 하락에는 코스피 3천900선 붕괴, 원·달러 환율 급등 등 국내 경제 불안 요인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지난 20∼21일 전국 18세 이상 1천4명을 대상으로 한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47.5%, 국민의힘이 34.8%로 각각 집계됐다. 민주당은 전주보다 0.8%포인트, 국민의힘은 0.6%포인트 올랐다. 개혁신당은 3.8%, 조국혁신당은 2.9%, 진보당은 1.1%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두 조사는 모두 무선 자동응답 방식으로 이뤄졌다.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도 조사의
【 청년일보 】 21일 한국갤럽이 지난 18∼20일 전국 만 18세 이상 1천명을 대상으로 이재명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관한 국정 지지율 의견을 물은 결과, 응답자 60%가 '잘하고 있다'고 답하며 전주 대비 1%포인트(p) 올랐다. 이 대통령 지지율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와 맞물려 11월 첫째 주 63%를 기록, 한 달 반 만에 60%대를 회복했으나 한 주 만에 4%포인트 떨어지며 다시 50%대로 내려왔다. 이번 주 조사에서는 다시 60%대를 회복했다.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30%로 지난주보다 2%포인트 떨어졌다. '의견 유보'는 10%로 집계됐다. 이 대통령의 직무수행을 긍정 평가한 이유로는 '외교'가 34%로 가장 높았다. 이어 '경제·민생'(14%), '전반적으로 잘한다'(8%) 등이 뒤를 이었다. 부정 평가 이유는 '도덕성 문제·본인 재판 회피'(12%), '대장동 사건·검찰 항소 포기 압박'(11%), '경제·민생'(9%) 순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도덕성 문제·본인 재판 회피'는 3주 연속 부정 평가 이유 1위를 기록했다. 또 '대장동 사건·검찰 항소 포기 압박'은 지난주 6%에서 11%로 오르며 두 번째로 큰 비중을
【 청년일보 】 17일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10∼14일 전국 18세 이상 2천510명을 상대로 이재명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도를 조사한 결과, 긍정 평가한 응답자는 54.5%로 직전 조사 대비 2.2%포인트(p) 떨어졌다. 이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은 전주까지 2주 연속 상승했다가 3주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부정 평가 비율은 41.2%로 직전 조사보다 2.5%p 올랐다. 리얼미터는 "'대장동 항소 포기' 논란을 둘러싼 여야의 강 대 강 대치와 정치 공방이 국민의 피로감을 높이며 국정수행 평가 하락의 주된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지난 13∼14일 전국 18세 이상 1천6명을 대상으로 한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46.7%, 국민의힘이 34.2%로 각각 집계됐다. 민주당의 정당 지지도는 직전 조사보다 0.2%p 높아졌고 국민의힘은 0.6%p 하락했다. 양당 지지율 격차는 11.7%p에서 이번 주 12.5%p로 벌어졌다. 조국혁신당은 3.2%, 개혁신당은 3.1%, 진보당은 1.0%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두 조사는 모두 무선 자동응답 방식으로 이뤄졌다.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도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0%
【 청년일보 】 14일 한국갤럽이 지난 11∼13일 전국 만 18세 이상 1천3명을 대상으로 검찰의 대장동 사건에 대한 항소 포기에 대한 의견을 묻자 절반에 가까운 48%가 '부적절하'고 응답했다. '적절하다'는 응답은 29%였고, 23%는 의견을 유보했다. 정치 성향별로 보면 보수층은 67%, 진보층은 34%가 각각 부적절하다고 답했다. 중도층에서는 부적절 의견이 48%, 적절 의견이 29%로 집계됐다. 중도층에서 부적절 쪽으로 기울고, 연령별로는 이재명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 지지세가 강한 40대와 50에서도 양론이 갈렸다고 한국갤럽은 설명했다. 40대에서는 항소 포기 부적절 응답이 42%, 적절 응답이 43%였다. 50대에서는 부적절 38%, 적절 45%였다. 이번 조사는 무작위 추출된 무선전화 가상번호에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 접촉률은 47.5%, 응답률은 11.5%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 청년일보=안정훈 기자 】
【 청년일보 】 14일 한국갤럽이 지난 11∼13일 전국 만 18세 이상 1천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관한 의견을 묻는 국정 지지율 조사 결과 응답자의 59%가 '잘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일주일 새 4%포인트(p) 하락한 것으로,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32%였다. 이 대통령 직무 수행 긍정 평가는 지난주 63%를 기록했다가 한 주 새 다시 50%대로 내려왔다. 긍정 평가자는 '외교'(30%), '경제·민생'(14%), '전반적으로 잘한다'(7%), 'APEC 성과'(5%) 등을 사유로 들었다. 직무 수행 부정 평가자는 그 이유로 '도덕성 문제·본인 재판 회피'(15%), '경제·민생'(10%), '친중 정책·중국인 무비자 입국', '대장동 사건·검찰 항소 포기 압박'(6%) 등을 꼽았다. 한국갤럽은 "지난주와 비교해 긍정 평가 이유는 거의 변함없으나, 부정 평가 이유에서 '대장동 사건' 언급이 새로이 포함됐다"며 "더불어민주당이 추진하려던 재판중지법의 여진이 가시지 않은 상태에서 과거 대통령 관련 사건에 대한 검찰의 미항소 과정이 논란된 탓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정당 지지도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24%로
【 청년일보 】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10∼12일 만 18세 이상 남녀 1천4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13일 공개한 전국지표조사(NBS)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운영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는 직전 조사인 2주 전보다 5%포인트(p) 오른 61%를 기록하며 두 달 만에 60%대를 회복했다. 62%를 기록한 9월 1주차 조사 이후 50%대에 머물렀던 긍정 평가 비율이 다시 60%를 넘어선 것이다. 부정 평가 응답은 29%로 직전 조사보다 6%p 하락했다. 진보층과 중도층의 긍정 평가가 각각 90%와 66%였고, 보수층에서는 부정 평가가 61%였다. 전 연령대와 전 지역에서 긍정 평가가 부정 평가보다 높았다. 지역별 긍정·부정 평가 비율은 서울(53%·37%), 인천·경기(65%·26%), 대전·세종·충청(58%·29%), 광주·전라(85%·10%), 대구·경북(50%·36%), 부산·울산·경남(55%·36%), 강원·제주(65%·23%)였다. 이 대통령 국정 운영 신뢰도 조사에서는 '신뢰한다'가 61%, '신뢰하지 않는다'가 33%를 기록했다. 진보층과 중도층의 '신뢰한다' 응답은 각각 91%와 66%였고, 보수층에서는 '
【 청년일보 】 부산 시민 다수는 향후 부산의 발전 방향을 산업·물류 중심의 전통 공업도시가 아닌, 세계인이 찾는 해양 K-관광·문화도시로 전환해야 한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정연욱 국민의힘 의원실이 공개한 '부산 미래전략 설문조사'에 따르면, 10년 뒤 바람직한 부산의 도시 이미지로 '세계인이 찾는 해양 K-관광·문화도시'를 선택한 비율이 60.8%로 가장 높았으며, '산업·물류 중심 전통 공업도시' 응답은 19.6%에 그쳤다. 이번 조사는 지난 6일 부산 시민 1천9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문화·관광 중심 도시 추진에 대한 동의도 88.3%로 높았다. 도시 경쟁력 강화를 위한 가장 현실적인 방안으로는 '문화·관광 도시로의 전환'이 63.1%로 1위였고, 부산의 성장 전략으로는 '해양축제와 K-컬처를 결합한 도시브랜드 강화' 46.5%, 'K-콘텐츠·관광산업 육성' 28.8%가 뒤를 이었다. 제조·물류 중심 경제 유지 응답은 20.4%였다. 시민 여론은 산업 기반 유지보다는 문화·관광 기반 확장을 중심으로 한 도시 전략 전환이 필요하다는 방향을 보이고 있다. 우선 투자 분야에서도 같은 흐름이 확인됐다. '교통·주차·숙박 등 관광 편의 개선' 3
【 청년일보 】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이 50% 중반대를 회복하며 2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는 여론조사가 10일 나왔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3∼7일 실시한 조사 결과, 이 대통령의 국정수행을 긍정 평가한 응답자는 56.7%로 직전 조사 대비 3.7%포인트(p) 올랐다. 9월 1주차(56.0%) 이후 3개월 만의 반등이다. 부정 평가는 38.7%로 4.6%p 줄었다. 정당 지지도 조사(6∼7일 실시)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46.5%로 집계돼, 국민의힘(34.8%)과의 격차가 11.7%p까지 벌어졌다. 민주당은 직전 대비 1.1%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3.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4.2%, 조국혁신당 2.5%, 진보당은 0.8%를 기록했다. 한편, 두 조사는 모두 무선 자동응답 방식으로 이뤄졌다.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도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1.9%p, 정당 지지도 조사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도 조사 응답률은 5.1%, 정당 지지도 조사 응답률은 4.2%였다. 더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청년일보=조성현
【 청년일보 】 수도권에 거주하는 베이비붐 세대 10명 중 7명 이상이 지방 중소기업에서 일할 기회가 주어진다면 귀촌할 의향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지역 중소도시로의 이동을 통해 인구 불균형과 인력난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9월 수도권 베이비부머(1955~1974년생) 500명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3%가 비수도권 중소기업 취업 시 귀촌이 가능하다고 답했다고 5일 밝혔다. 남성의 귀촌 의향은 79.9%로 여성(66.9%)보다 높았다. 귀촌을 희망하는 이유로는 건강한 생활 유지(24.6%)와 여유·휴식(22.9%), 자연 친화 환경(20.7%), 주거·생활비 절감(15.6%) 등이 꼽혔다. 반면 귀촌이 어려운 이유는 의료·교육·문화 등 생활 인프라 부족(27.8%), 도시 생활 익숙함(17.0%), 접근성 불편(15.2%) 순으로 나타났다. 희망 귀촌 지역으로는 충청권이 32.9%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이어 강원권(27.4%), 호남권(15.9%), 영남권(10.4%) 등의 순이었다. 직무는 관리·사무직 선호가 30.7%로 가장 많았고, 서비스·판매직(20.7%), 농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