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종별 대표기업 평균 매출 증가율·영업이익률 [자료=한국경영자총협회 제공, 이미지=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11043/art_16353151957016_03178f.png)
【 청년일보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한국과 미국, 일본의 인터넷서비스, 반도체, 제약·바이오 분야 기업들의 실적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27일 '코로나 전후 한미일 업종별 대표기업 경영실적 비교' 보고서를 통해 한국과 미국, 일본을 대표하는 기업 44곳(한국 16곳·미국 16곳·일본 12곳)의 지난해 및 올해 상반기 경영실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대표 기업들은 자동차, 철강, 정유 등 전통 제조업 분야와 반도체, 제약·바이오, 인터넷 서비스 등 신사업 분야에서 국가별 상위 기업과 각국 업종별 상장회사 매출 상위기업을 선정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미일 3국의 인터넷서비스와 제약·바이오, 반도체 업종의 매출액(대표기업 기준)은 각각 전년 대비 26.9%, 21.4%, 9.0% 증가했다. 영업이익률도 각각 20.7%, 19.1%, 15.6% 상승해 두 자릿수의 성장세를 보였다.
반면 자동차와 철강, 정유업종 매출액(대표기업 기준)은 각각 전년 대비 9.7%, 15.2%, 28.8%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상반기에는 모든 업종의 실적이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철강과 자동차, 정유 매출액은 작년 동기 대비 각각 33.2%, 28.6%, 25.4% 증가하며 뚜렷한 회복세를 보였다. 다만 실적 회복에도 불구하고 정유 업종의 매출액은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총은 지난해 코로나19 확산 상황에서 미국과 일본보다 한국 대표 기업들이 양호한 경영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 분석에서는 반도체와 인터넷 서비스 기업들은 제외됐다.
한국 대표기업 16곳의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4.6%, 6.5% 증가해 미국(매출 -9.9%, 영업이익 3.6%)과 일본(매출 -9.6%, 영업이익 5.4%)을 능가하는 실적을 기록했다.
특히 한국 제약·바이오 업종은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65.0%, 31.8% 증가해 미국(매출1.2%, 영업이익 19.0%)과 일본(매출 -2.0%, 영업이익 11.3%)보다 월등히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경총 하상우 경제조사본부장은 "지난해 코로나19 충격에도 국내 대표기업들의 성과가 상대적으로 좋았던 것은 양호한 방역 성과에 더해 기업들이 끊임없이 경쟁력을 키웠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 청년일보=나재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