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7일(현지시간) 테슬라를 포함한 전기차, 청정에너지, 대마초 관련주 등 유행하는 주식 종목들이 1999∼2000년 '닷컴버블' 때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평행이론이 적용된다면 해당 종목들의 매수 열풍에 늦게 가세한 투자자들에게는 불길한 징조겠지만, 거품이 꺼지더라도 시장 전반에 미치는 충격파는 20여년 전보다 훨씬 작을 것이라고 신문은 전망했다. WSJ은 과열 종목들의 주가 흐름과 시기, 투자자들의 행태가 매우 유사하다고 지적했다. 당시 투자자들의 매수 광풍에 나스닥 지수가 1999년 9월부터 2000년 3월 최고점까지 83% 폭등했는데, 그 폭은 최근 '핫한' 분야 상장지수펀드(ETF)들의 상승률과 유사하다. 지난해 9월부터 올해 최고점을 찍을 때까지 인베스코 태양광 ETF는 88%, 블랙록 글로벌 청정에너지 ETF는 81%, 아크 이노베이션 ETF는 70% 각각 급등했다. 닷컴버블을 주도하던 시스코가 1999년 9월부터 이듬해 최고점까지 133% 폭등하고, 테슬라가 작년 9월부터 최고점까지 110% 치솟은 것도 비슷하다. 최고점에서 6월 중순 현재까지의 하강곡선도 유사한 양상이다. 올해 2∼3월
【 청년일보 】 뉴욕증시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의 여파로 혼조세로 마감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17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전장보다 210.22포인트(0.62%) 하락한 33823.45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84포인트(0.04%) 떨어진 4221.86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21.67포인트(0.87%) 오른 14161.35로 장을 마감했다.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전날 FOMC 회의에서 2023년에 첫 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전보다 금리 인상 시기가 당겨짐에 따라 시장의 불안은 커졌으나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지고 있어 연준이 변화를 시사할 것이라는 점은 어느 정도 예견돼왔다. 10년물 국채금리는 FOMC 회의 이후 1.55%까지 올라섰으나 이날 다시 1.51%대로 떨어졌다. 다만 30년물 주택담보대출(모기지) 평균 금리는 이날 3.25%로 4월 중순 이후 최고치로 치솟았다. 제롬 파월 의장이 이번 회의에서 자산 매입 프로그램을 축소하는 "테이퍼링을 논의할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talking about talking a
【 청년일보 】 글로벌 아이돌 BTS 효과에 하이브가 강세를 나타냈고,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공급 호재에 LG화학이 상승 마감했다. B형간염 예방백신 국내1상 승인받은 차바이오텍이 강세로 장을 마쳤으나 코스피 대장주 삼성전자는 약세를 보였다. ◆ BTS 신곡 효과 톡톡...하이브, 강세 글로벌 아이돌 BTS 신곡 효과에 하이브가 강세를 나타냄. 최근 BTS는 신곡 버터(BUTTER)로 미국 빌보드 싱글 차트에서 3주 연속 정상을 지키며 신기록을 써내려가고 있음. 하이브는 지난 17일, 전 거래일보다 1.71%(5000원) 상승한 29만7000원에 장을 종료. ◆ LG에솔 배터리 공급...LG화학, 강세 자회사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공급에 LG화학이 강세를 나타냄. LG에너지솔루션이 최근 미국 발전사 비스트라(Vistra)가 캘리포니아주 몬트레이(Monterey) 카운티 북동부의 모스랜딩(Moss Landing)에 가동하는 1.2GWh(기가와트시) 규모의 전력망 ESS에 배터리 공급을 마쳤다고 밝힘. LG화학은 지난 17일 , 전 장보다 3.34%(2만7000원) 상승한 83만5000원에 거래를 종료. ◆ B형간염 예방백신 국내1상 승인...차바이오텍,
【 청년일보 】 삼성증권은 지난 16일, 편의성을 대폭 보강한 간편투자 앱 'O2(오투 : 오늘의 투자)'를 정식 오픈하고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투린이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선다고 밝혔다. 오투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 자사 MTS 대비 전체 메뉴 수는 크게 줄이고, 자주 쓰는 기능은 한 화면에 모으는 투린이 맞춤형 설계로 투자자 관점의 편의성을 획기적으로 높였다는데 있다. 먼저, 오투의 메뉴는 총 78개로, 기존 mPOP의 510개 메뉴와 비교할 때 1/6수준까지 간소화됐다. 손쉽게 원하는 메뉴를 찾을 수 있도록 기존 MTS의 이용 패턴을 면밀히 분석해 투린이 관점에서 꼭 필요한 메뉴를 엄선해 배치한 것이다. 또, 오투의 홈 화면인 'MY'에 기존 자산 MTS앱 이용자들이 조회하는 기능 중 86%를 차지하는 '총 잔고', '보유종목', '관심종목', '리포트', '이벤트' 등 주요 기능들을 모았고, 기능의 배열도 본인의 스타일에 맞춰 변경할 수 있도록 했다. 투자자들이 접속 후 첫 화면에서 간단히 스크롤하는 것만으로 본인에게 필요한 대부분의 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한 것이라고 삼성증권은 설명했다. 이밖에 앱에서 사용되는 각종 증권용어도 초보
【 청년일보 】 모빌리티 산업의 이슈와 전망을 통해 미래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적 대안과 구체적 실현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열렸다. 법무법인 태평양은 17일 '모빌리티 산업, 그 이슈와 전망' 웨비나(웹과 세미나의 합성어)를 온라인 생중계로 개최했다. 이날 웨비나에는 전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운영위원장 김태년 고문, 전 환경부 과장 방종식 외국변호사, 전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자율주행 실장 홍윤석 전문위원이 발제자로 나섰다. 김태년 고문은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트렌드에서 미래 모빌리티를 본다' 발제에서 “내연기관에 대한 추가 투자를 지양해야 한다. 전기차 관련 투자를 확대하고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를 이뤄야 한다”며 “플랫폼 생산방식과 공급망 구축에 관심을 기울이고 진출하는 것에도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방종식 외국변호사는 “탄소중립 실현은 불가능하다는 의견과 하이브리드와 공존할 것이라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홍윤석 전문위원은 주제 발표에서 "자율 주행 자동차 제작사는 사고로 인한 보상, 소송 및 리콜 비용 등의 소요 비용을 예상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라며 "새로운 유형의 위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기에 적절한 대응책 마련이 중
【 청년일보 】 하이투자증권이 FOMC 회의 결과에 대해 코멘트했고, 테이퍼링 우려가 구조되는 가운데 배당주에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외국인이 이달 7300억원 순매수에 나서면서 국내 증시 복귀 여부에 증권가가 촉각을 곤두세웠고, 금융당국이 라임 펀드 최종 판단을 놓고 장고에 들어갔다. 중복청약 막차 탑승을 확정한 크래프톤이 비교 대상 기업 선정 과정에서 논란을 불러일으켰고, 메리츠증권이 2.5조원 규모의 부동산 PF를 주관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는 등 다양한 이슈들이 제기됐다. ◆ 하이證 "FOMC 회의 감내할 정도...긴축 발작 리스크 순탄히 통과할 듯" 하이투자증권은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와 관련해 "맞아야 할 매를 금융시장이 맞았지만 매의 강도는 세지 않았고, 금융시장 역시 충분히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의 매였다"고 평가.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17일 보고서에서 "6월 FOMC회의로 긴축발작 리스크를 다소 순탄하게 넘어갈 여지가 커진 것으로 보인다"며 "오히려 하반기(7~12월) 중 일상으로 복귀가 얼마나 빨리 이뤄져 경기 모멘텀이 재차 강화될지를 좀 더 주목해야 할 시점"이라고 밝힘.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연준·Fe
【 청년일보 】 전국 사모펀드 사기피해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가 금융당국에 한국투자증권에 대한 선처를 촉구하기 위해 집단 탄원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또한 공대위는 한국투자증권이 정도경영에 앞장섰다는 점을 높이 평가해 신규 계좌 개설 운동도 전개해 나가는 한편 사모펀드 사태에 대한 한국투자증권의 진정성 있는 결단에 대한 감사의 의미로 여의도 사옥에 화환도 전달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부터 사모펀드 사태로 국내 증권사들이 '불신의 아이콘'으로 부각, 지탄의 대상이 된 상황에서 피해자들이 되레 특정 증권사에 대해 감사의 뜻을 전달하고, 매출 향상을 위한 운동 전개에까지 나서기로 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어서 세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17일 증권업계 등에 따르면 전국 사모펀드 사기피해 공동대책위원회는 금융당국으로부터 징계가 추진 중인 일부 증권사들 중 한국투자증권에 대한 선처를 해달라는 탄원서를 준비 중이다. 이르면 금일 중 금융당국에 탄원서를 제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공대위는 탄원서에서 “사모펀드 판매 과정에서 잘못이 있을 수 있겠으나, 피해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한 금융회사의 대표와 기관에 대해서는 기존의 제재와 달리 결정해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 】 KB증권은 오는 18일까지 진행되는 온라인 설문을 통해 고객 패널 ‘KB star 메신저’를 선정해 고객의견을 적극 수렴할 계획이라고 17일 밝혔다. 금번 ‘KB star 메신저’ 7기 고객 패널은 사전 온라인 설문에 응답해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하고 설문에서 고객 패널 참여의사를 밝힌 고객 중 총 40명을 선정한다. 사전 온라인 설문은 최근 KB증권의 온라인 매체를 통해 금융상품을 가입했거나 주식을 거래한 경험이 있는 고객 중 선정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모바일(LMS) URL을 발송해 진행한다. 선정된 고객패널은 ▲ 온라인전용 금융상품(펀드/ELS 등)과 ▲ MTS(M-able) 이용에 관한 내용을 주제로 KB증권 금융서비스 향상을 위해 필요한 개선 의견이나 요구사항 등 제안 활동을 비대면으로 수행하게 된다. KB증권은 고객의 소중한 의견을 경청해 고객불편을 해소하고 보다 나은 서비스로 보답하는 고객중심 경영을 실천하고자 고객 패널 제도인 ‘KB star 메신저’를 지속해서 운영하고 있다. 앞서 21년 상반기에 활동한 ‘KB star 메신저’ 6기 고객 패널에는 주린이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콘텐츠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포함됐다. 이에, KB증
【 청년일보 】 미국의 금리 인상 시기가 앞당겨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코스피는 17일 장 초반 하락세를 보였다. 코스피는 이날 전 거래일보다 2.48포인트(0.08%) 낮은 3276.20에서 출발해 하락했다. 지수는 이날 오전 9시 15분 기준 전날보다 20.88포인트(0.64%) 내린 3257.80을 나타냈다. 코스피에서 기관이 1천482억원, 외국인이 588억원을 각각 순매도했다. 개인은 2천63억원을 순매수했다. 16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는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0.77%),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0.54%), 나스닥 지수(-0.24%)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에 영향을 받아 일제히 내렸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16일(현지시간) 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00~0.25%로 동결했다. 연준은 별도로 내놓은 점도표(dot plot)에서 2023년 두 차례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2023년까지 제로금리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기존 입장보다 인상 시점이 앞당겨진 것이다. 점도표는 FOMC 위원들의 향후 금리 전망을 보여주는 지표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 청년일보 】 NH투자증권이 CJ대한통운에 대해 택배 가격 인상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 주가 22만원도 유지했다. 정연승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택배 단가 인상 효과가 연내에 걸쳐 점진적으로 반영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2분기 추정 택배 단가 인상폭을 감안하면, 단가 인상 속도가 빠르다"라며 "2021년 연간 영업이익을 7.3% 상향한 3738억원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 연구원은 "우체국은 택배 사업 중단을 검토한다는 언론보도가 있었다"라며 "우체국은 지난해 4월 ㅣ준, 시장 점유율 7.5%인 5위 사업자로, 택배 사업 중단 현실화의 경우 1위 사업자인 CJ대한통운의 영향력이 확대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국내 택배 전체 수송 능력 감소로 추가적인 택배 단가 인상 요인이 발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택배 노조 파업 관련해서 정 연구원은 "사회적 합의 기구에서 합의안이 도출되면서 파업이 마무리될전망"이라며 "합의 기구에서 박스당 170원 정도의 비용 증가 요인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했으며, 이를 택배사, 대리점, 택배 기사에 합리적으로 배분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정 연구원은 "2분기 영업이익은 기존 800억원에서 9
【 청년일보 】 포스코가 2분기 2조원 안팎의 영업이익을 내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할 전망이다.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전 세계적으로 전방산업이 회복하면서 철강재 수요가 많이 늘어난데다, 제품 가격마저 오른 덕분이다. 17일 연합뉴스가 연합인포맥스 시스템을 이용해 증권업계의 최근 한 달 치 시장 전망치 평균을 분석한 결과, 포스코의 올해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 전망치는 1조9천3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포스코가 2011년 국제회계기준(IFRS)을 도입한 이후 최대 규모이다. 현재까지 최대 실적은 지난 2011년 2분기의 1조7천억원이다. 올해 2분기 전망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직격탄을 맞았던 작년 2분기의 1천677억원보다 10배 이상 많다. 포스코는 지난 1분기에도 10년 만에 가장 많은 1조5천524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렸다. 세부적으로 보면 8개 증권사가 최대 2조5천200억원(미래에셋)부터 1조6천460억원(메리츠증권)까지 전망치를 제시했다. 이 중 키움증권(2조850억원), 현대차증권(2조160억원) 등 3개사가 2조원대 영업이익을 예상했다. 한편 현대제철도 2분기에 4천426억원의 영업이익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 청년일보 】 뉴욕증시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예상보다 일찍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하락 마감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16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전장보다 265.66포인트(0.77%) 하락한 34033.67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2.89포인트(0.54%) 떨어진 4223.70을,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33.17포인트(0.24%) 밀린 14039.68로 장을 마쳤다. 다우지수와 S&P500지수는 장 초반부터 보합권에서 등락하다 FOMC 결과에 낙폭을 확대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이날 기준금리를 제로(0~0.25%) 수준으로 동결하고, 경제를 지원하기 위해 계속 완화적 기조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자산 매입 프로그램과 관련해서도 변화를 주지 않았다. 다만 많은 위원들이 연준의 첫 금리 인상이 2023년말까지는 이뤄질 것으로 예상해 이전보다 금리 인상 시점은 당겨질 것으로 전망됐다. 이날 시장 참가자들은 연준 위원들의 금리 전망치를 담은 점도표를 주시했다 올해는 18명의 위원들 중 아무도 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