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저축은행업권의 여신 잔액이 2개월 연속 100조원을 밑돌았다. 15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저축은행 여신 잔액(말잔)은 98조66억원으로 전월(99조9천515억원) 대비 1조9천449억원(1.95%) 감소했다. 저축은행 여신 잔액은 지난해 1월(115조원6천3억원) 이후 17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다. 지난 5월 저축은행 여신 잔액은 2021년 11월(98조1천324억원) 이후 2년 6개월 만에 100조원 밑으로 떨어진 바 있다. 수신 잔액도 지속적인 감소세다. 6월 말 저축은행 수신 잔액(말잔)은 100조8천861억원으로 전월(101조9천185억원) 대비 1조324억원(1.02%) 줄었다. 이는 2021년 11월(98조6천843억원) 이후 가장 작은 규모다. 저축은행 수신 잔액은 지난해 9월 117조8천504억원에서 올해 2월까지 5개월 연속 줄었으며 3월에 반등했지만,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다만, 재정건전성 악화로 신규 대출을 보수적으로 취급하던 저축은행업권은 최근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수신(예·적금) 금리를 인상하는 등 실탄을 확보하고 있다. 전날 저축은행중앙회 소비자포털에 공시된 저축은행 정기예금(12개월
【 청년일보 】 정부가 무주택자를 대상으로 주택 구입 자금을 저리로 빌려주는 정책대출 금리를 최대 0.4%포인트 올린다. 서울을 중심으로 한 집값 상승세가 이어지자 본격적으로 대출 조이기에 나서는 모습이다. 국토교통부는 주택도시기금의 대출금리와 시중금리 간 적정한 차이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고려해 디딤돌·버팀목 대출금리를 0.2∼0.4%포인트 인상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에 바뀐 대출금리는 이달 16일 대출 신청 때부터 적용한다. 주택 구입자금 대출인 디딤돌 대출은 부부합산 연 소득 8천500만원 이하인 무주택자를 대상으로 지원한다. 소득이 높을수록 적용 금리가 높은 디딤돌 대출 금리는 현재 2.15∼3.55%에서 2.35∼3.95%로 올린다. 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원 이하 무주택자에게 연 1.5∼2.9% 금리로 전세자금을 빌려주는 버팀목 대출 금리는 연 1.7∼3.3%로 인상한다. 또한 연 2.1∼2.9% 금리로 전세자금을 빌려주는 버팀목 대출금리 범위 역시 연 2.0∼3.3%로 상향된다. 다만 정부가 저출생 대책으로 내놓은 신생아 특례대출과 전세사기 피해자를 위한 정책대출 금리는 그대로 유지한다. 【 청년일보=성기환 기자 】
【 청년일보 】 합동참모본부(이하 합참)는 11일 북한이 전날 오후부터 이날 새벽까지 살포한 쓰레기 풍선은 240여 개가 식별됐으며, 이 중 10여 개가 우리 측 경기 북부지역에 낙하했다고 밝혔다. 합참은 이날 오전 10시 현재 공중에서 식별되는 쓰레기 풍선은 없다고 덧붙였다. 북한은 새벽에 쓰레기 풍선 살포를 멈춘 것으로 알려졌다. 풍선 내용물은 종이류·플라스틱병 등 쓰레기이며, 안전을 위해하 물질은 없었다고 합참은 덧붙였다. 북한의 이번 쓰레기 풍선 살포는 올해 들어 11번째로, 지난달 24일 이후 17일 만이다. 이번에는 식별된 풍선 중 4% 남짓만이 우리 지역에 낙하했다. 지난달 24일 당시 쓰레기 풍선 500여 개가 식별되고, 우리 지역에서 480여 개가 발견된 것과 비교하면 매우 낮은 수치다. 군은 남풍·남서풍이 부는데도 북한이 억지로 풍선을 부양한 탓에 우리 지역으로 넘어온 풍선이 적은 것으로 추정했다. 【 청년일보=성기환 기자 】
【 청년일보 】 한국 수출을 쌍끌이하고 있는 반도체와 자동차가 올해 2분기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5%를 넘겨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글로벌 반도체 시장은 인공지능(AI) 붐으로 갈수록 커지고 있고, 친환경차 전환은 환경 규제에 맞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반도체·자동차 강국' 한국의 수출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11일 한국무역협회 통계 시스템 'K-stat'에 따르면 올해 2분기 한국의 전체 수출에서 1위 품목인 반도체와 2위 자동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23.5%, 12.1%로 집계됐다. 두 품목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합산 비중은 35.6%로, 분기 기준으로 사상 최고다. '반도체+자동차' 수출 비중은 지난 2017년 2분기(31.1%)에 처음 30%를 넘긴 데 이어 올해 2분기까지 총 8차례 30%를 넘긴 것으로 파악된다. 직전 최대치는 2018년 3분기에 기록한 32.9%였다. 올해 2분기 반도체와 자동차가 합작한 수출액 역시 543억달러로, 분기 기준 역대 최대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김우종 한국무역협회 연구위원은 "한국 수출이 반도체와 자동차 등 일부 품목에 편중돼 있어 수출 품목 다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
【 청년일보 】 전국적인 폭염 속에 채소 가격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이 같은 날씨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자 소비자 사이에서는 폭염에 따른 농산물 작황 부진으로 물가가 오르는 '히트플레이션'(열+인플레이션)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농산물 생육 관리를 강화하고 비축 농산물을 시장에 추가로 공급해 가격 급상승을 막는다는 방침이다. 11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지난 9일 기준 애호박은 1개에 2천94원으로 일주일 만에 9.6% 올랐다. 다다기오이 소매가격은 10개에 1만3천269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하면 36.9% 올랐고 평년과 비교해도 39.8% 비싸다. 이같은 애호박, 오이 가격 상승은 장마철 잦은 호우와 이어진 폭염 등 날씨 영향에 따라 생육이 부진했기 때문이다. 여름철 김치 재료 등으로 수요가 증가하는 열무의 경우 1㎏당 소매가격이 4천831원으로 일주일 만에 6.2% 올랐다. 1년 전과 비교하면 5.3% 올랐고 평년보다는 40.3% 비싸다. 청양고추는 100g에 1천540원으로 1년 전보다 56.2%, 평년보다 57.6% 각각 비싸다. 파프리카는 200g에 1천566원으로 일주일 만에 31.3% 올랐다. 이
【 청년일보 】 국내에서 활동하는 외국인 의사가 최근 5년 반 새 20%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미애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국내에서 활동하는 외국인 의사 수는 일반의 81명, 전문의 465명 등 546명으로 2019년 대비 20.8% 늘었다. 외국인 의사 수는 2019년 452명(일반의 83명·전문의 369명)에서 2020년 472명(84명·388명), 2021년 485명(79명·406명), 2022년 500명(72명·428명), 2023년 521명(79명·442명) 등 지속해서 증가하는 추세다. 진료과목별로 보면 외국인 전문의 465명 중 내과 의사가 69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가정의학과 58명, 산부인과 37명, 외과 34명, 정형외과 33명, 소아청소년과 32명 등이었다. 국내에서 활동하는 외국인 의사는 보건복지부가 인정하는 외국의 의대를 졸업하고 현지에서 의사 면허를 받은 뒤, 국내에서 또 의사 국가시험을 치르고 합격해 의사 면허를 취득한 이들이다. 다만 복지부는 이들과는 달리 국내에서 의사 면허를 취득하지 않은 외국인 의사도 보건의료 재난위기 '심각' 단계
【 청년일보 】 이번 주 국내 주유소 휘발유와 경유의 주간 평균 가격이 2주 연속 동반 하락했다. 10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8월 첫째 주(4∼8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는 직전 주 대비 L당 4.5원 하락한 1천706.6원을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가격이 가장 높은 서울이 직전 주보다 6.7원 하락한 1천769.9원, 가격이 가장 낮은 울산이 6.2원 내린 1천675.6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가장 저렴한 상표는 알뜰주유소로, L당 평균가는 1천682.3원이었다. 경유 평균 판매가격은 L당 4.4원 하락한 1천543.9원을 기록했다. 이번 주 국제유가는 주요국 경기 부진 우려로 하락했으나, 하마스 지도자 암살 이후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이어지며 하락 폭은 제한적이었다. 수입 원유가격인 두바이유는 직전 주 대비 배럴당 4.1달러 내린 75.5달러였다. 국제 휘발유 가격은 5.7달러 내린 83.5달러, 국제 자동차용 경유는 4.0달러 내린 91.6달러로 집계됐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국제 유가가 5주 연속 하락한 영향으로 정유사 공급가도 하락해 국내 주유소 기름값이 하락했다"며 "다음 주도 주유소 가격은 하락세를 보일 것"
【 청년일보 】 대규모 정산 지연 사태를 일으킨 티몬과 위메프(이하 티메프) 이용자들의 결제액 선환불에 나섰던 네이버페이가 일부 여행사의 불확실한 고객 지원안으로 소비자 혼란이 초래된 여행상품 결제 건에 대해서도 선환불에 들어갔다. 4일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따르면 일부 '티메프' 이용자들은 최근 여행사 등 판매처의 자체 환불이 불실한 상품 결제액을 네이버페이로부터 선환불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페이는 이용자에게 보낸 안내문에서 "티메프 결제취소 건 재검토 결과 입점 판매처에서 정상적인 상품·서비스 제공 또는 자체 환불(이에 준하는 보상 등 포함) 진행 여부가 불확실한 것으로 파악됐다"면서도 "최종 환불까지 상당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고객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체 결제취소 및 선환불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네이버페이는 해당 여행사들이 자사 포인트 등을 활용한 자체 보상 등 고객 지원방안을 공지했지만 사실상 소비자들이 해당 조치를 받을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하고 선 조치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네이버페이와 카카오페이 등 간편결제사들은 주말에도 많은 인력을 투입해 티메프 취소·환불 신청 접수와 선환불을 진행하고 있다. 【 청년일보=성기환 기
【 청년일보 】 과학고와 영재학교를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이공계 특성화 대학을 진학하는 학생 수가 전년 대비 6%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대나 수도권 이공계열 대학 진학을 선택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2025학년도부터는 의대 정원이 27년 만에 늘어나는 만큼 과학고·영재학교 학생들의 이탈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4일 종로학원은 대학알리미에 공시된 2024학년도 전국 4년제 222개 대학 신입생의 출신 고교 유형을 분석한 결과 과학고·영재학교 출신 학생의 이공계 특성화대 진학자 수는 1천24명으로 전년(1천94명) 대비 6.4%(70명) 줄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이 가장 큰 폭(43.9%↓)으로 줄었고, 그 다음은 울산과학기술원(25.8%↓), 포항공과대(5.8%↓), KAIST(3.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과학고·영재학교 출신 학생이 전년 대비 늘어난 곳은 광주과학기술원(16.1%↑)과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13.8%↑)였다. 종로학원은 이처럼 이공계 특성화 대학에서 과학고·영재학교 학생 수가 감소하는 것은 의대 선호 및 지방대 기피 현상 때문일 것으로 추정했다. 【 청년일보=성기환 기자 】
【 청년일보 】 현대차와 기아의 하이브리드차(HEV) 판매 비중이 상반기 기준 처음으로 올해 두 자릿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현대차·기아에 따르면 두 회사는 올해 1∼6월 전체 361만9천631대를 판매했으며, 이 중 HEV가 차지하는 비중은 11.3%(40만8천799대)로 집계됐다. 반기 기준으로 현대차·기아 전체 판매에서 HEV가 차지하는 비중이 10%를 넘고, 하이브리드 판매 대수가 40만대를 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 기간 현대차는 전 차종을 통틀어 206만3천934대, 기아는 155만5천697대를 각각 팔았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0% 감소한 수치다. 반면 두 회사의 HEV 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21.2%나 급증했다. 현대차는 전년 대비 21.8%가 증가한 22만155대, 기아는 20.4% 늘어난 18만8천644대의 HEV를 각각 팔았다. 올해 상반기 HEV 판매 실적은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차종이 이끌다시피 했다. 현대차 투싼 HEV는 올해 상반기 전년 동기(4만2천대)와 비교해 배 이상 증가한 8만5천대 판매됐다. 싼타페 HEV도 이 기간 80.0% 급증한 4만5천100대 팔렸다. 기아에서는 스포티지 HEV가 14.0
【 청년일보 】 지난 7월 전국 아파트 1순위 청약 경쟁률이 50대 1에 육박하며 44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통상 시세보다 싸 '로또'로 불리는 분양가 상한제 아파트 단지가 수도권에서 다수 분양된 것이 경쟁률을 끌어올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4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의 청약 경쟁률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 7월 전국 아파트 1순위 평균 경쟁률은 48.67대 1로 나타났다. 모두 총 31개 단지, 1만320가구 모집에 50만2천294명이 신청했다. 이는 올해 상반기 전체 청약자 수(43만3천409명)보다 많은 수치다. 청약 경쟁률로는 2020년 11월(55.96대 1) 이래 월간 기준으로 44개월 만에 가장 높다. 시도별로 살펴보면 경기도에서 3천346가구 모집에 32만568명이 신청해 평균 경쟁률이 95.81대 1로 가장 높았다. 793가구 모집에 14만7천682명이 신청, 186.2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서울이 그 뒤를 이었다. 단지별로는 지난달 9일 1순위 청약을 실시한 경기 화성시 '동탄역 대방엘리움 더 시그니처'가 186가구 모집에 11만6천621명이 신청, 평균 경쟁률이 626.99대 1에 달했다. 경기
【 청년일보 】 작년 기초생활보장급여 일반수급자 10명 중 4명 이상은 65세 이상 노인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 노인은 9명 중 1명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로 빈곤층 비율이 높았다. 3일 보건복지부가 발간한 '2023년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현황'에 따르면 작년 기초생활보장급여 일반수급자는 245만8천608명이었다. 기초생활보장제도는 국가의 보호가 필요한 저소득층의 생활과 자활을 돕기 위해 국가가 급여를 지급하는 빈곤층 대상 복지제도다. 65세 이상 노인 수급자는 101만5천379명으로 전체 수급자의 41.3%를 차지했다. 노인 인구를 기준으로 보면 전체(973만411명)의 10.4%(101만5천379명)가 수급자로 노인 10명 중 1명 이상이 절대적 빈곤층에 놓여있다. 성별로 보면 전체 여성 수급자는 137만1천164명으로 남성(108만7천444명)보다 많았다. 인구수 대비 수급자 비율도 여성은 5.3%로 남성(4.3%)보다 컸다. 여성의 생애주기별 수급자 비율은 노년기가 47.1%로 가장 많았다. 전체 여성 노인(543만3천444명) 중 11.9%(64만5천693명)가 수급자로, 9명 중 1명 이상이 절대적 빈곤층이었다. 남성의 생애주기별 수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