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서울 아파트 분양가가 지난해 크게 올라 역대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원자재 가격 급등 등의 영향으로 건축비가 상승하며 분양가 상승세가 더욱 가팔라진 것으로 분석된다. 27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민간아파트의 3.3㎡(1평)당 평균 분양가는 4천408만9천원으로 전년(3천500만8천원) 대비 25.9%(908만1천원) 상승했다. 이는 HUG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5년 이래 가장 높은 상승폭이다. 2015년 서울의 평당 분양가는 1천997만원이었으나 2016년 2천129만9천원(전년 대비 6.7%↑), 2017년 2천216만9천원(4.1%↑), 2018년 2천445만6천원(10.3%↑)으로 올랐다. 이어 2019년 2천629만8천원(7.5%↑), 2020년 2천831만7천원(7.7%↑), 2021년 3천300만2천원(16.5%↑), 2022년 2천983만1천원(9.6%↓), 2023년 3천500만8천원(17.4%↑) 등으로 2022년을 제외하고는 줄곧 상승세를 유지했다. 특히 2023년과 지난해의 상승률이 더 가팔랐다. 지난해 수도권의 평당 분양가는 2천813만6천원으로 전년 대비 15.4% 상승했다.
【 청년일보 】 서울 성수동이 1980년대 초부터 2000년대 초 출생한 MZ세대 사이에서 '성지'로 자리 잡으며 한국의 최신 트렌드 중심지로 떠올랐다. K패션과 K뷰티를 대표하는 브랜드들의 플래그십 스토어는 물론, 지방자치단체와 정부 기관의 팝업스토어까지 성수동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방한 외국인 관광객들 사이에서도 성수동은 필수 관광 코스로 각광받으며, 주말마다 성수역 일대는 몰려드는 인파로 북적인다. 성동구는 이에 성수역 인근 상황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유튜브 채널 '성수역 라이브'를 운영 중이다. 27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성수동은 본래 준공업지역으로, 201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낙후된 공장과 창고가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2012년부터 젊은 예술가와 사회적 기업, 비영리단체가 자리 잡으면서 '힙하다'는 입소문이 나기 시작했다. 특히 성수역 인근의 빈 공장과 창고는 전시회와 패션쇼 장소로 탈바꿈했고, 서울숲길에 자리한 오래된 주택들은 감각적인 카페, 레스토랑, 갤러리 등으로 변신했다. 성수역의 하루 평균 승하차 인원은 2014년 약 8천명에서 지난해 약 1만8천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으며, 주요 인파는 3번 출입구에 집중되고 있다. 성수동의 인기
【 청년일보 】 서울 지역 빌라(연립·다세대)의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 비(非)아파트 시장의 회복세로 매매·전세가격이 동반 상승하고 있으나, 매매가격의 상승 폭이 더 큰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27일 한국부동산원 임대차 시장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서울 빌라 전세가율은 평균 65.4%로, 전년 동월 대비 3.1%포인트 하락했다. 서울지역 빌라 전세가율은 2022년 12월 78.6%까지 높아졌다가 2023년 12월 68.5%로 떨어졌다. 전세가율이 낮아졌다는 것은 전셋값을 다 떼일 위험이 다소 줄어들었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 전세가율이 80%를 넘으면 집주인이 집을 매도해도 세입자가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 '깡통전세'로 분류된다. 특히 전세사기 사례에서는 전세금이 매매가를 초과하는 경우도 많다. 2022년 중반까지 72%였던 서울 빌라 전세가율은 2023년 하반기부터 가파르게 하락하며 지난해 10월에는 64.5%를 기록, 한국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공개한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빌라 전세가율 하락의 주요 배경으로는 매매가격 상승 폭이 더 큰 점이 꼽힌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
【 청년일보 】 '정권 교체론'과 '정권 연장론'이 2주 연속 팽팽한 접전을 보였다는 여론조사가 27일 나왔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23일부터 24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천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95% 신뢰 수준, ±3.1%p)에 따르면, 정권 교체를 원하는 응답자는 49.1%, 정권 연장을 원하는 응답자는 46.0%로 집계됐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4.8%였다. 지난주 조사에서는 정권 연장론이 2.4%p 앞섰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정권 교체론이 3.1%p 차이로 우세를 보이며 양 진영의 격차가 오차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리얼미터는 "지난 3주 연속 이어져 온 '여당 정권 연장론'의 상승세와 '야권 정권 교체론'의 하락세 흐름이 각각 멈추면서 양 진영 간 대립은 2주째 팽팽하게 접전 양상이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역별로는 대구·경북(정권 연장 67.0%, 정권 교체 29.1%), 충청권(57.3%, 39.8%), 부산·울산·경남(53.5%, 40.7%)에서 정권 연장론이 강세를 보인 반면, 호남(17.7%, 76.2%)과 인천·경기(40.8%, 54.7%)에서는 정권 교체론이 우위를 점했
【 청년일보 】 임시공휴일이자 월요일인 27일 전국에 눈과 비가 내리다 잦아들기를 반복하겠다. 일부 지역에서는 설날 당일까지도 이어질 전망이다. 27일 기상청에 따르면, 오전 7시 30분 기준 전국 대부분 지역에 눈과 비가 내리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폭설이 예상된다. 제주 한라산에는 최근 24시간 동안 10㎝ 이상의 눈이 쌓였고, 강원 철원군, 충남 계룡산, 인천 강화군 등에서도 5㎝ 이상의 신적설이 기록됐다. 설 전날인 28일까지 수도권, 강원내륙·산지, 전북동부, 제주산지 등에는 10∼20㎝, 강원내륙·산지와 전북동부, 제주산지에서는 30㎝ 이상의 눈이 쌓일 것으로 보인다. 경기 남부와 북동부는 25㎝ 이상, 충청 지역은 최대 20㎝ 이상의 적설이 예상된다. 이 밖에 광주·전남·전북서부 5∼10㎝(최대 15㎝ 이상), 경북북부내륙·북동산지·경남서부내륙 3∼10㎝(최대 15㎝ 이상), 제주 중산간 3∼10㎝, 대구·경북남서내륙·울릉도·독도 3∼8㎝ 적설이 예상된다. 이날 오후까지 중부지방과 전북, 제주산지에서는 시간당 3∼5㎝, 남부 지방에서는 시간당 1∼3㎝의 눈이 내릴 수 있다. 특히 28일 새벽부터 오후 사이에는 전국적으로 폭설이 예상되며, 도로
【 청년일보 】 설 연휴 셋째 날이자 월요일인 27일은 전국이 대체로 흐리겠다. 기상청에 따르면 아침까지 기온은 평년(최저 -12~-1도, 최고 1~8도)보다 2~6도가량 높겠고, 낮부터 평년과 비슷하거나 조금 낮겠다. 중부지방과 전북을 중심으로 전날보다 2~5도가량 떨어지고, 바람도 강하게 불어 체감온도는 더욱 낮아 춥겠으니, 건강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아침최저기온은 -2~6도, 낮최고기온은 2~8도로 예보됐다. 전국에 비 또는 눈이 내리기 시작해 이날 오후부터 밤 사이에는 소강상태를 보이는 곳이 있겠다. 27~28일 예상 적설량은 강원내륙·산지, 전북동부, 제주도산지 10~20㎝(많은 곳 30㎝ 이상), 서울·인천·경기, 서해5도 10~20㎝(많은 곳 경기남부·북동부 25㎝ 이상), 대전·세종·충남, 충북 5~15㎝(많은 곳 충남, 충북 20㎝ 이상), 광주·전남(동부남해안 제외), 전북서부 5~10㎝(많은 곳 15㎝ 이상), 경북북부내륙·북동산지, 경남서부내륙 3~10㎝(많은 곳 15㎝ 이상), 제주도중산간 3~10㎝, 대구·경북남서내륙, 울릉도·독도 3~8㎝, 강원동해안, 전남동부남해안, 경북동해안·중남부내륙, 경남내륙(서부내륙 제외), 제주도해안 1
【 청년일보 】 설 연휴 둘째 날인 26일, 오후 시간에도 여전히 전국 고속도로 곳곳에서 정체가 이어지고 있다.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귀성 및 귀경 차량이 몰리면서 일부 구간에서는 차량들이 거북이걸음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날 오후 5시 기준 서울 요금소에서 주요 도시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은 ▲부산 5시간 ▲울산 4시간 30분 ▲대구 4시간 ▲목포 4시간 ▲광주 3시간 40분 ▲대전 2시간 10분 ▲강릉 2시간 40분이다. 반대로 각 도시에서 서울로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은▲부산 4시간 30분 ▲울산 4시간 20분 ▲대구 3시간 20분 ▲목포 3시간 50분 ▲광주 3시간 30분 ▲대전 1시간 50분 ▲강릉 3시간이다. 주요 정체 구간은 경부고속도로 부산 방향에서는 ▲반포∼서초(2㎞) ▲죽전 부근∼수원(6㎞) ▲천안∼천안분기점(6㎞) ▲천안 휴게소∼청주분기점(25㎞) ▲대전터널∼비룡분기점(2㎞) ▲노포분기점 부근(1㎞)에서 정체가 발생하고 있다. 서해안고속도로 목포 방향은 ▲금천 부근(1㎞) ▲순산터널 부근(2㎞) ▲팔탄분기점∼화성휴게소(4㎞) ▲서평택∼서해대교(6㎞) ▲동서천분기점∼대명터널(7㎞)에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중부고속도로 남이 방향은
【 청년일보 】 국내 주요 게임사들이 올해 설 연휴을 맞아 우리나라 설 명절 분위기를 만끽할 수 있는 이벤트를 전개한다. 설 연휴 기간 동안 풍성한 혜택을 제공해 다양한 이용자를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26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넥슨, 넷마블, 엔씨소프트, 컴투스, 위메이드, 네오위즈, 스마일게이트 등 국내 주요 게임사들은 자사 온라인·모바일 게임에서 설 맞이 대규모 이벤트를 진행한다. 먼저 넥슨은 PC 게임 16종, 모바일 게임 8종에서 설 맞이 풍성한 혜택을 제공하는 이벤트를 선보인다. PC 게임 16종은 ▲메이플스토리 ▲EA SPORTS FC™ Online(FC 온라인) ▲슈퍼바이브 ▲퍼스트 디센던트 ▲바람의나라 ▲던전앤파이터 ▲카운터-스트라이크 온라인 ▲엘소드 ▲마비노기 영웅전 ▲버블파이터 ▲메이플스토리 월드 ▲사이퍼즈 ▲마비노기 ▲어둠의전설 ▲아스가르드 ▲카드라이더: 드리프트 등이다. 대표적으로 '메이플스토리'는 내달 5일까지 '초능력 윷놀이'를 즐기고 윷놀이 관련 코디 아이템을 획득할 수 있는 '헤네시스 윷놀이 대회'를 진행한다. '초능력 윷놀이' 게임 시작 시 다양한 종류의 개성 있는 초능력 중 2개의 초능력이 주어지며, 누적 일일 참여 횟수와 승리
【 청년일보 】 설 연휴 둘째 날이자 일요일인 26일은 수도권과 충청권, 전라권은 구름이 많겠고, 강원도와 경상권, 제주도는 대체로 흐리겠다. 기상청에 따르면 아침최저기온은 -5~5도, 낮최고기온은 5~11도로 예보됐다. 새벽까지 강원동해안·산지와 경북동해안·북동산지, 부산·울산, 제주도에 비 또는 눈이 내리는 곳이 있겠다. 예상 적설량은 강원산지, 제주도산지 1~5㎝, 경북북동산지 1㎝ 내외로 예보됐다. 예상 강수량은 강원동해안·산지, 제주도, 부산·울산, 경북동해안·북동산지 5㎜ 미만이다. 이 밖에 늦은 오후부터 제주도는 가끔 비(산지 비 또는 눈)가, 밤부터 강원도에 비 또는 눈이 내리는 곳이 있겠다. 또한, 밤부터 경기동부에는 0.1㎝ 미만의 눈이 날리는 곳이 있겠다. 미세먼지 농도는 대기 확산이 원활해 전 권역이 '좋음' 수준을 보이겠다. 바다 물결은 동해 앞바다에서 1.0∼3.5m, 서해 앞바다에서 0.5∼1.5m, 남해 앞바다에서 0.5∼3.5m로 일겠다. 안쪽 먼바다(해안선에서 약 200㎞ 내의 먼바다) 파고는 동해 1.0∼3.5m, 서해 0.5∼2.5m, 남해 1.5∼4.0m로 예측된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 청년일보 】 동행복권은 지난 25일 제1156회 로또복권 추첨에서 '30, 31, 34, 39, 41, 45'가 1등 당첨번호로 뽑혔다고 밝혔다. 2등 보너스 번호는 '7'이다. 당첨번호 6개를 모두 맞힌 1등 당첨자는 21명으로 15억521만원씩 받는다. 당첨번호 5개와 보너스 번호가 일치한 2등은 73명으로 각 7천217만원씩을, 당첨번호 5개를 맞힌 3등은 3천494명으로 151만원씩을 받는다. 당첨번호 4개를 맞힌 4등(고정 당첨금 5만원)은 16만2천883명, 당첨번호 3개가 일치한 5등(고정 당첨금 5천원)은 270만6천409명이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 청년일보 】 K팝과 글로벌 팝스타들의 협업 및 솔로 활동이 전 세계 음악 팬들의 관심을 사로잡고 있다. 블랙핑크 로제와 팝스타 브루노 마스가 협업한 히트곡 '아파트(APT.)'가 영국 오피셜 싱글차트 '톱 100'에서 상위권을 굳건히 지키며 뜨거운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24일(현지시간) 발표된 최신 차트에 따르면, '아파트'는 롤라 영의 '메시(MESSY)'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이 곡은 지난해 10월 발매 직후 4위로 차트에 데뷔하며 성공적인 출발을 알렸고, 이후 무려 14주 연속 차트에 진입하는 기록을 세웠다. 특히 연말 시즌 캐럴 곡들이 차트를 장악한 뒤로도 4주 연속 2위를 유지하며 정상권에 도전하고 있는 모습이다. '아파트', 로제의 솔로 앨범 '로지(rosie)'에 수록된 이 곡은 감미로운 멜로디와 중독성 강한 '아파트, 아파트~'라는 후렴구로 전 세계 팬들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다. 브루노 마스와 로제의 독보적인 음색이 어우러지며 두 아티스트의 시너지가 극대화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편, 그룹 방탄소년단(BTS) 지민의 솔로 2집 타이틀곡 '후(Who)' 역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주 7위에 오른 '후'는 전주 대비 6계단 상승하며
【 청년일보 】 2025년도 국가공무원 5급 공개경쟁채용 및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의 평균 경쟁률이 34.6대 1로 집계됐다. 인사혁신처는 지난 20일부터 24일까지 5급 공채 및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 응시원서를 접수한 결과, 선발 예정 인원 347명에 총 1만2천5명이 지원해 평균 34.6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고 25일 밝혔다. 모집직군별 경쟁률은 5급 과학기술직군 26.0대 1, 5급 행정직군 37.9대 1, 외교관후보자 36.2대 1로 각각 나타났다. 세부 모집단위별 경쟁률은 과학기술직군에서 방재안전직이 62.0대 1로, 행정직군에서는 검찰직이 130.5대 1로 각각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선발 예정 규모가 큰 모집 단위로는 과학기술직군의 일반토목직이 15명 선발 예정에 224명이 지원해 14.9대 1의 경쟁률을, 일반기계직이 10명 선발 예정에 208명이 지원해 20.8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행정직군에서는 일반행정직이 98명 선발 예정에 4천108명이 지원해 41.9대 1의 경쟁률을, 재경직이 58명 선발 예정에 1천169명이 지원해 20.2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이 밖에 올해 처음 선발하는 과학기술직군의 전자직은 3명 선발 예정에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