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새로운 모빌리티 혁명, UAM(Uraban Air Mobility,도심항공교통체계)의 상용화가 자꾸 늦어지는 실정이다. 글로벌 UAM 시장에서 선두주자라고 평가받는 ‘조비에비에이션’은 당초 자사 기체의 상용화 시점을 2024년으로 밝힌 바 있으나, 2026년으로 연기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현대차그룹의 UAM별도 법인인 ‘슈퍼널’은 지난 3월 미국에서 전기수직이착륙기(eVTOL) ‘S-A2’의 첫 시험 비행을 진행한 바 있으나, 2028년 상용화의 계획에서 실현이 가능한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다. 그저 상상속에 날아다니던 하늘을 나는 자동차가 UAM으로 현실화되면서, 새로운 메가 트렌드로 자리잡을 준비를 하고 있으나 아직 그 상상이 구현되기에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상용화가 늦어지는 것이 기술개발(R&D)이 뒷받침해주지 않기 때문일까? 그렇지 않다. 기업, 정부 구분없이 1400조 시장이라는, 새로운 메가 트렌드의 파이를 차지하기 위해 기술개발(R&D)에도 아낌없이 투자하고 있다. 그 결과, 조비 에비에이션을 포함하여 아처 에비에이션, 중국의 이항, 현대차의 슈퍼널,까지 최근 성공적인 시험비행을 마쳤다. 특히 조비 에비에
【 청년일보 】 지난해 11월, 미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과 일본 자동차 기업 도요타(Toyota)가 일본에서 첫 에어택시 시연에 성공했다는 소식을 전했다. 뿐만 아니라 미국 연방항공청(FAA)는 지난 10월에 UAM(Urban Air Mobility)용 기체를 정식 교통수단으로 인정하고 관련 규제를 확정했고 2026년 본격 운영화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유럽 역시 UAM투자에 활발해 UAM안전 인증 체계 마련을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그 예로 프랑스 정부는 센강을 따라 버티포트를 설계하는 방안을 승인했다는 소식이 있었다. 아시아에서는 중국이 UAM 기체를 개발해 시범 비행중에 있으며, 중국 항공당국이 ‘이항’과 같은 관련 업체에 UAM운항 인증서를 발급해주며 상용화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그렇다면 한국의 UAM의 진행상황은 어떻게 될까? 국토 교통부가 ‘K-UAM 그랜드 챌린지’프로젝트를 진행중에 있으나, 아쉬운 부분은 모두 국산 기체가 아닌 수업 기체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이다. 위 프로젝트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실증을 진행중인 ‘K-UAM드림팀(SK텔레콤, 한화시스템, 한국공항공사) 역시 조비 에
【 청년일보 】 매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The International Consumer Electronics Show)는 세계 최대의 ICT박람회로써 세계 기술의 트렌드를 제시해주고 있다. 2024년에서도 생성형 AI를 포함하여 여러 기술들이 주목을 받았지만 특히 사람들의 눈길을 끈 기술 트렌드 중 하나가 바로 UAM이다. UAM은 Urban Air mobilityd의 약자로 번역하면 '도심항공교통'이 된다. 소위 '드론 택시'들이 하늘을 날아다니는, 그리고 그 드론택시에 사람들이 타고 있는 교통체계를 생각하면 쉬울 것이다. 하지만 현재 도로에 차가 잘 다니고 있고, 심지어 전기차, 수소차를 넘어 자율주행차 수준이 레벨3를 넘어 레벨4 연구단계인 현 상황에서 UAM의 등장은 갑작스러울 수 있다. 그렇다면 UAM은 왜 필요한 것일까? 우선 2017년 기준, 우리나라의 전국교통혼잡비용은 59.62조원으로 추정되었으며, 이는 국내총생산 1천730조원의 3.4%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공중공간을 활용하여 교통혼잡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 바로 UAM, 도심항공교통이다. UAM의 장점을 국내 도로 상황에 적용해보았을 때, 서울 잠실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