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미국 샌디에고 캘리포니아대 (UC San Diego) 롭 나이트 교수님은 과학 저널 셀(Cell)에서 국제우주정거장(ISS)의 미생물 다양성이 지구의 인공 환경보다 훨씬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자연 유래 미생물이 더 많으면 우주비행사 건강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국제우주정거장(ISS)은 철저한 위생 관리로 유명하다. 우주 공간에서의 특수한 환경 때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 청결을 유지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ISS 내부가 지나치게 깨끗한 것이 오히려 우주비행사들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위생적인 환경이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인간의 면역 체계는 일정 수준의 미생물과의 접촉을 통해 단련된다. ISS처럼 극도로 깨끗한 환경에서는 면역 체계가 충분한 자극을 받지 못해 지구로 귀환한 후 감염병에 취약해질 가능성이 있다. 즉, 지나친 위생이 면역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미생물의 부재는 인간의 장내 미생물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친다. 지구에서 우리는 다양한 환경 속에서 미생물과 공존하며 장내 미생물 균형을 유지
【 청년일보 】 최근 몇 년간 정부는 2차 의료기관과 특수 진료에 특화된 병원을 육성하기 위해 전문병원 지정을 꾸준히 증가시키고 있다. 전문병원 지정제도는 특정 질환이나 진료과목에 전문성과 역량을 갖춘 중소 병원을 육성한다는 취지로 2011년 도입되었다. 보건복지부는 전문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의 의료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문병원제도를 운영하여 총 16개의 의료기관을 제 5기 2차년도(2025~2027년) 전문병원으로 지정했다고 12월 31일에 밝혔다. 전문병원 지정의 증가는 환자들에게 있어 분명한 장점을 제공한다. 첫째, 특정 질환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의료진과 첨단 장비를 통해 더욱 정밀하고 체계적인 진료를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만, 수지 접합, 화상 등의 필수 전문병원에서는 해당 분야에 집중된 환자 맞춤형 치료가 가능하다. 둘째, 대형 종합병원에 집중된 의료 수요를 분산시켜 환자 대기 시간을 줄이고 의료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수도권의 3차 병원 및 대학병원에 쏠린 의료 수요를 완화하고 지역 2차 병원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역 의료의 육성과 관련하여, 전문병원 제도는 의료 서비스의 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