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최근 분자진단 분야에서 cfDNA 기반 암 조기진단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cell-free DNA(이하 cfDNA)는 세포가 자연사나 괴사 과정에서 혈액으로 방출되며, 암세포에서 유래되는 circulating-tumor DNA(이하 ctDNA)를 포함한다. 침습적인 조직검사 대신 혈액만으로 분석이 가능해 환자에게 부담이 적고 반복검사 등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cfDNA 기반 암 조기진단 기술은 차세대염기서열분석(Next-generation sequencing, NGS)과 디지털 PCR 기술의 발전으로 cfDNA 검출의 민감도와 특이도가 크게 향상됨에 따라 활발히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Bao 등의 다기관 검증 연구에 따르면, 독립 검증군에서 높은 민감도(87.4%), 특이도(97.8%), 조직 기원 예측 정확도 (82.4%)를 보였다. 다만, Nature Medicine 편집글(2024)에 따르면, 다중 암 조기 진단 검사(Multi-cancer early detection, MCED) 연구 중 하나인 PATHFINDER에서는 특이도가 99.1%로 매우 높았지만, 일부 사례에서 실제 병기보다 높게 검출되는 등 위양성 가능성
【 청년일보 】 최근 10대와 20대 사이에서 고카페인 음료 소비가 급증하면서 건강 위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023년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처의 조사에 따르면, 10대 청소년의 약 35%가 주 3회 이상 고카페인 음료를 섭취하고 있으며, 이는 2020년 대비 30% 이상 증가한 수치이다. 특히 일부 젊은 층이 학업이나 업무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 다량의 고카페인 음료를 섭취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고카페인 음료는 일반 커피나 차보다 훨씬 높은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어 강한 각성 효과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고카페인 음료(500ml)의 경우 카페인 함량이 300mg~400mg에 달하며, 이는 일반 커피(250ml)의 3배 이상이다. 그러나 과도한 섭취는 심박수 증가, 불면증, 불안 증세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심정지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2017년 미국에서는 고카페인 음료를 하루 3캔 이상 섭취한 후 심정지로 사망한 사례가 보고됐으며, 2020년 한국의 한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하루에 에너지 드링크를 3캔 이상 섭취한 후 심박수 증가와 두통을 호소하는 사례가 15%에 달했다고 보고됐다. 전문가들은 특히 10대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