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발언대] 진정한 의미의 지속가능한 교통으로 나아가기 위하여
【 청년일보 】현재 한국뿐만 아니라 영국, 중국, 일본 등 세계 곳곳에서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있다. 이는 인간의 활동으로 배출되는 탄소량과, 흡수원이나 이산화탄소 포집기술을 이용해 흡수하는 탄소량을 맞춤으로써 순탄소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75개국을 분석한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의 NDC 보고서에 따르면, 1.5℃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2010년 대비 2030년까지 45% 이상을 감축해야하지만, 현재까지 제출된 자료는 0.5%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래서 전 세계가 더 빠른 저탄소사회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수송 및 교통 부문은 국가 온실가스 총배출량의 14%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내 석유 소비량의 32%를 차지하고 있을 만큼 중요한 감축 관리 부문이다. 현재 가장 크게 떠오르고 있는 대안 중 하나는 순수전기차(BEV)와 같은 친환경 모빌리티인데, 전기차 시장의 성장요소에는 배터리 기술과 같은 기술적 요소도 있지만 보조금과 같은 가격적 요소나 충전소와 같은 인프라적 요소들이 사람들의 변화를 넛징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또한 전기자동차로의 전환에 있어 우려되는 몇 가지들의 문제점들이 있다. ◆ 전기차
- 청년서포터즈5기 이지혜
- 2021-10-02 0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