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경동나비엔이 후원하는 재단법인 '한글누리'가 개최한 영상 공모전 '한글 페스타 2024'가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8일 경동나비엔에 따르면 올해로 2회를 맞은 '한글 페스타 2024'는 옛 훈민정음의 자모를 포함한 한글로 다양한 세계의 언어를 표기해 봄으로써 한글이 '세계 공용문자'로 활용되는 가능성을 확인하고, 세계인과의 교류를 통해 다양한 문화를 보존하고자 개최됐다. 올해는 지난 4월부터 8월 15일까지 ▲이야기 ▲노랫말 ▲참가자 나라의 '국가(national anthems)' 한글로 쓰기의 세 가지 부문으로 진행됐다. 각 주제를 모국어로 노래하거나 이야기한 뒤, 내용 번역과 모국어 발음을 한글로 표기한 영상을 제출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사랑해·워아이니·我爱你"와 같이 자막을 삽입하면 된다. 이번 공모전에는 41개 언어를 사용하는 48개국에서 240개 작품이 제출될 정도로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한글누리는 이달 1일 표기의 정확성과 효율성, 영상의 예술성 등을 고려해 전 부문 최고상인 '으뜸상'과 부문별 1등을 포함해 99개 수상작을 발표했다. 으뜸상에는 1만 달러, 부문별 1등에는 5천 달러 등 총 6만 2천 달러의 상금이 수여된다
【 청년일보 】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과 토요타 아키오 토요타자동차 회장이 모터스포츠 문화 발전을 위해 한국 레이싱 페스티벌에서 만남을 갖는다. 현대자동차는 토요타자동차와 함께 오는 27일 용인 에버랜드 스피드웨이에서 '현대 N x 토요타 가주 레이싱(Hyundai N x TOYOTA GAZOO Racing) 페스티벌'을 개최한다고 8일 밝혔다. '현대 N x 토요타 가주 레이싱 페스티벌'은 국제 모터스포츠 대회 WRC(World Rally Championship)에 참여하고 있는 고성능 브랜드 현대 N과 토요타 가주 레이싱(GR)이 처음으로 손잡고 양사의 고성능 모델과 경주차를 선보이며 국내 고객들과 함께 모터스포츠 문화를 즐기기 위해 기획됐다. 행사 주요 프로그램으로 각 사의 월드랠리팀 경주차가 실전 랠리 같은 주행 퍼포먼스를 선보이는 '쇼런'과 더불어 고객들이 직접 경주차의 성능을 느낄 수 있는 '택시 시승 체험' 등 다양한 드라이빙 체험 프로그램이 준비돼 있다. 현대 N은 2024 WRC 시즌에서 활약 중인 'i20 N Rally 1 하이브리드'를 비롯해 커스터머 레이싱을 위한 'i20 N Rally 2' 경주차 2종과 '아이오닉 5 N', '아반
【 청년일보 】 세입자의 보증금을 이용한 갭투기 열풍과 전세사기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화 되면서 외국인 집주인의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사고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엄태영 의원이 8일 국토교통부와 HUG주택도시보증공사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3년 반 동안 외국인 집주인 전세보증사고는 총 52건이 발생했고 사고금액은 약 123억4천만원에 달했다. 이 중 절반가량(약 64억원)은 HUG가 임차인에게 대위변제했으며, 그 외의 금액은 임대인 직접 반환, 소송, 경매 등 법적 절차가 진행 중인 상황이다. 중국인 소유로 추정되는 부동산에서 발생한 보증사고도 전체의 40.4%(21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1년(3건, 5억원) ▲2022년(3건, 4억원) ▲2023년(23건, 53억원)으로 보증사고 사고건수와 규모는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올해 8월까지 23건(61억4천만원)의 전세보증사고가 발생했는데, 이는 지난 3년간 발생한 총 사고규모와 비슷한 수준이다. 문제는 내국인과 달리 외국인은 전세사기 행각을 벌인 후 본국이나 타국으로 도주하는 등 행적을 감출 우려가 큰데, 이 경우 대위
【 청년일보 】 메르세데스-벤츠 공식 딜러 한성자동차가 오는 10일부터 여성 고객 전용 멤버십 '레이디 H'를 신규 론칭한다고 8일 밝혔다. 한성자동차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여성 고객 수요에 맞춰 '레이디 H' 멤버십 론칭을 준비했다. 지난해 한성자동차 신차 출고 고객 중 여성 구매 고객은 49%로, 국내 수입차 여성 고객 비율이 평균 30% 이하인 것에 비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레이디 H' 멤버 가입 조건은 최근 5년 내 한성자동차에서 메르세데스-벤츠 신차를 구입한 여성 고객이면 자동 가입되며, 한성자동차가 제공하는 ▲디지털 캠페인 ▲라이프스타일 클래스 ▲WITH MY HANSUNG 등 주요 프로그램 혜택을 누릴 수 있다. 특히, '레이디 H' 멤버십 혜택은 여성 고객의 69%가 30~40대 연령층이고, 여성 고객 전체의 47%가 기업 사무직(30%), 전문직(11%), 사업체 운영(6%) 등에 종사하는 커리어우먼으로, 이들 대부분이 요가, 쿠킹, 문화 등 라이프스타일 취미나 여가활동에 관심이 높다는 분석 데이터를 고려해 기획했다. 분기별로 진행되는 '디지털 캠페인'에서는 여성 고객들의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는 캠페인 주제를 선정해 멤버 간 긍정적인
【 청년일보 】 현대차그룹의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플랫폼 제로원(ZER01NE)이 오는 20일까지 은행권창업재단 디캠프와 함께 우수 스타트업을 모집한다고 8일 밝혔다. 제로원은 우수한 역량을 보유한 혁신 신생 기업(스타트업)을 발굴하는 현대차그룹의 오픈 이노베이션 플랫폼이다. 제로원은 올해로 7년째 현대차그룹의 미래 사업과 관련해 우수 스타트업과 협업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다양한 혁신 기술을 발굴·육성하고 있다. 디캠프는 지난 2012년 제1금융권 19개사가 공동으로 설립한 국내 최대 규모의 창업재단으로 매월 다양한 분야의 우수한 초기 스타트업을 모집·발굴 하는 '디데이'를 개최하고 있다. 이번 '디데이'는 현대차그룹 제로원과 스타트업 간의 협업 네트워크에 디캠프의 풍부한 스타트업 선발 경험이 더해져 시너지가 기대된다. 모집 전형은 법인 설립 전의 초기 창업팀(Pre Seed~Seed 단계)과 첫 투자를 받은 초기 스타트업(Seed~Pre-A 단계)의 2가지로 나눠 선발되며 지원하고자 하는 스타트업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신청하면 된다. 모집 분야는 AI(인공지능), 로보틱스, ESG, 배터리 등 현대차그룹 미래 사업과 연계되어야 하고 지원한 스타트업은 1차 서류
【 청년일보 】 DL이앤씨가 한국어가 익숙하지 않은 외국인 근로자를 위해 애니메이션으로 안전교육 영상을 제작했다고 8일 밝혔다. 이는 외국인 근로자가 갈수록 증가하는 가운데 이들에게 안전 수칙을 쉽고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기획됐다. DL이앤씨는 모션그래픽을 활용한 애니메이션으로 위험 상황을 설명해 한글을 모르는 누구나 안전 수칙을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공종별 47건의 필수 안전 수칙을 공통, 목공, 철골, 철근, 콘크리트 등 5가지 테마로 구성했다. DL이앤씨는 안전 전문가와 현장 근로자의 의견을 기반으로 주제를 선정했다. 추락, 끼임, 질식 등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기 쉬운 사고를 안전 수칙과 이를 지키지 않았을 때 벌어질 상황으로 비교해 근로자들의 경각심을 높일 수 있게 했다. 근로자들이 집중할 수 있도록 영상을 10분 내외로 비교적 짧게 제작한 것도 특징이다. 이들 영상은 중국, 베트남, 러시아, 캄보디아, 미얀마 등 외국인 근로자 채용 인원 상위 5개국 언어와 영어로 번역돼 외국인 근로자의 안전 교육을 돕는다. 현장 조회시간, 신규 근로자 교육, 매월 실시하는 정기교육 등에 활용되고 있다. DL이앤씨는 이번 다국어 안전 교육 영상을 통해 외국
【 청년일보 】 정부가 수도권 집값을 잡기 위해 공공주택 공급 물량의 상당 부분을 수도권에 집중적으로 배분하면서 수도권-비수도권 간 물량 격차가 2.5배로 벌어졌다. 정치권에서는 정부의 이러한 조치가 국토 균형발전을 저해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의원이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1∼2023년 3년간 이뤄진 공공주택 사업계획승인을 기준으로 LH는 수도권에 10만3천400가구를 공급했다. 같은 기간 비수도권 공급은 3만9천500가구로, 수도권 공급 물량이 2.6배 많다. 착공 물량 기준으로는 수도권에서 공공주택 3만9천200가구가 공급될 때 비수도권 공급량은 1만5천700가구에 그쳤다. 격차는 2.5배다. 사업계획승인을 기준으로 최근 3년간 가장 많은 공공주택이 공급된 지역은 경기도(9만1천200가구)로 전체 물량의 63.8%가 집중됐다. 이어 인천(1만100가구·7.1%), 부산(5천500가구·3.8%) 순이다. 반면 광주와 제주에선 3년간 단 한 가구의 공공주택 사업계획승인도 이뤄지지 않았고, 전남은 700가구에 그쳤다. 착공 물량 역시 경기도(2만8천700가구)에 공공주택
【 청년일보 】 현대무벡스가 초대형 AMR(Autonomous Mobile Robot;자율주행모바일로봇)을 개발하는 국책과제의 주관기관으로 낙점, 자율이동로봇 기술 국산화에 힘을 보탠다. 현대무벡스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진행하는 '2024년도 소재·부품 기술개발 지원사업' 공모에서 '고정밀 대형 자율이동로봇 플랫폼 설계 및 통합 구동 모듈 실증' 과제의 주관사로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이 과제는 총사업비 약 94억 원 규모로 이 중 70억 원이 국비로 지원된다.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이 전문기관으로 프로젝트를 총괄하고, 주관기관 현대무벡스를 필두로 5개 기관이 연구·개발에 공동 참여한다. 현대무벡스는 오는 2027년까지 초대형 AMR 플랫폼 설계와 구동 모듈 실증사업을 수행한다. 가반하중(로봇이 적재·이송할 수 있는 무게) 2톤·5톤·10톤 3종의 AMR을 개발하며, 핵심기술을 국산화하는 것이 과제의 목표다. 특히, 10톤 이상 고중량 이송이 가능한 초정밀 대형 AMR은 단순한 물류로봇의 차원을 넘어 모든 산업 현장에서 이송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미래형 차세대 모빌리티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AMR과 AGV(Automated Guided Vehicle;무인이
【 청년일보 】 현대건설은 서울시 서초구에 선보인 '디에이치 방배'의 일반분양 1천244세대가 모두 계약을 완료했다고 7일 밝혔다. 우수한 입지가 돋보이는 이 단지는 방배동 최대 규모인 3천64세대의 신축단지인 데다 특화설계 및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을 갖춘 점이 주효했다는 업계의 평가다. '디에이치 방배'는 현대건설의 하이엔드 브랜드가 4년만에 적용된 단지다. 단지는 방배동 재건축 정비사업지 가운데 가장 높은 33층으로 설계됐으며 높은 비율의 남측향 단지 배치를 갖췄다. 일부 세대는 맞통풍 판상형 평면까지 갖춰 채광과 통풍 효율을 극대화했다. 넓은 동간 거리와 높은 조경공간도 단지의 가치를 높이는 요소다. 건폐율 17.4%, 용적률 241%이 적용돼 넓은 동간 거리를 확보하면서도 개방감 있는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보여줬다. 또한, 47.7%의 조경률도 도심 속에서도 쾌적한 주거환경을 누릴 수 있게 만들어 단지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노력했다. 생활공간 내부는 고급 내장재 및 가구가 적용될 계획이며, 지하에 세대 대형창고가 제공된다. 타입별로 알파룸, 팬트리, 대형 드레스룸, 대형 현관창고 등의 수납 특화설계가 적용될 예정이고, 일자형 아일랜드 대면형 주방(일부
【 청년일보 】 정부가 극심한 재정적자 문제를 겪고 있는 주택도시보증공사(이하 HUG)에 4년간 5조5천억원에 가까운 자금을 출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국토교통부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민홍철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HUG는 2021년 3천900억원, 2023년 3천849억원 규모로 주택도시기금 출자를 받았다. 올해도 한국도로공사 주식 4조원 현물 출자와 7천억원의 주택도시기금 출자가 있었다. 이렇게 4년간 수혈한 금액은 총 5조4천739억원에 이른다. 이렇듯 정부가 HUG에 출자를 이어가는 것은 전세 보증사고 증가로 HUG 손실이 커져 자본금이 줄면 전세보증 가입이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해 서민 주거 안정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세입자의 전세금 반환을 요청받은 HUG가 내어준 돈(대위변제액)은 지난 2015년 1억원이었으나 지난해 3조5천544억원으로 급증했다. 올해 8월 기준 대위변제액은 2조7천398억원에 달했다. 이 추세대로라면 연간 변제액이 사상 최고액을 경신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문제는 HUG가 먼저 전세금을 돌려주고 집주인에게 회수한 금액의 비율인 대위변제금 회수율이 낮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회수율은 201
【 청년일보 】 지난 3년간 아파트 화재로 100명 이상이 숨지고 30억원에 가까운 재산피해가 발생했지만 초기 화재 진압에 필수적인 스프링클러 설치율은 35%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황운하 의원이 소방청으로부터 화재 현장 조사서를 제출받아 분석한 결과, 2021∼2023년 사망자가 발생한 아파트 화재는 93건이었다. 이 사고로 사망자 108명, 부상자 88명이 나왔으며, 재산 피해 29억4천200만원이 발생했다. 아파트 화재로 매달 3명의 사망자와 2.4명의 부상자가 발생한 셈이다. 사망자의 대부분인 91%가 대피하지 못한 채 불이 난 층에서 사망했다. 화점 층이 아닌 곳에서 사망한 경우는 대피 중 계단실과 복도에서 질식사하거나 대피로가 막혀 추락사했다. 사망 원인은 질식사 50%, 소사 44%, 추락사 6%였다. 부상자의 대부분은 연기흡입(68%)과 화상(10%)을 입었다. 아울러 스프링클러가 설치된 단지는 전국 4만4천208개 단지 중에 1만5천388곳으로 전체의 35%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전층 설치된 아파트가 1만391곳, 16층 이상 설치된 단지가 4천997곳이었다. 특히 아예 스프링클러가 설
【 청년일보 】 지난달 수입 승용차 신규등록대수가 2만4천839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10.1%, 전월 보다는 11.6% 증가한 수치다. 아울러 9월 베스트 셀링카는 3천83대가 신규등록된 '메르세데스-벤츠 E 200'이 차지했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는에 따르면 9월 브랜드별 등록대수는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 8천382대, 비엠더블유(BMW) 7천82대, 테슬라(Tesla) 1천349대, 렉서스(Lexus) 1천312대, 볼보(Volvo) 1천282대 순이다. 이어 아우디(Audi) 995대, 토요타(Toyota) 778대, 폭스바겐(Volkswagen) 760대, 포르쉐(Porsche) 721대, 랜드로버(Land Rover) 446대, 미니(MINI) 428대, 포드(Ford) 285대, 혼다(Honda) 223대, 지프(Jeep) 194대, 링컨(Lincoln) 193대, 쉐보레(Chevrolet) 178대, 캐딜락(Cadillac) 54대, 벤틀리(Bentley) 42대, 푸조(Peugeot) 40대, 람보르기니(Lamborghini) 37대, 지엠씨(GMC) 26대, 마세라티(Maserati) 16대, 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