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금융투자협회 금융투자교육원은 리츠 투자 관련 종사자를 위한'리츠 투자사례 실무(주간)' 집합 과정 교육생을 내달 3일까지 모집한다고 14일 밝혔다. 이 과정은 부동산 투자 관련 업무 역량을 제고할 수 있는 단기 실무 과정으로 구성됐다. 금융투자협회는 "리츠 투자 관련 현업 전문가들의 리츠 유형별 사례 연구를 통해 리츠 시장의 최신 동향을 파악하고, 투자 대상별 리츠를 분석함으로써 업무 담당자의 실무 능력을 향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교육 일자는 내달 28일이며 여의도 금융투자교육원에서 주간 교육으로 진행된다. 【 청년일보=신정아 기자 】
【 청년일보 】 NH투자증권은 글로벌 사모펀드 어드벤트 인터내셔널(Advent International)의 ‘Reckitt Essential Home’ 사업부 인수 거래에서 약 2,600억 원(미화 1억 9천만 달러) 규모의 해외 인수금융을 주선한다고 14일 밝혔다.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이번 거래는 48억 달러 규모의 Reckitt 사업부 인수 건으로, 전체 인수자금 중 28억 달러가 금융조달을 통해 마련된다. NH투자증권은 이 가운데 1억 9천만 달러 규모의 대출(일정기간 고정금리 중장기 대출)과 운영자금 대출을 주선한다. NH투자증권의 주선 물량은 본 건 금융에 참여한 바클레이스, 씨티 등 글로벌 투자은행 15개사 이상 중에서도 상위권에 해당한다. 특히, 기존 국내 금융기관이 해외 인수금융에서 맡아온 서브언더라이터(sub-underwriter) 역할을 넘어, 글로벌 투자은행들과 동등한 지위의 대표 주선사(Mandated Lead Arranger)로 참여하게 된 점이 주목된다. 이는 국내 금융기관이 글로벌 신디케이션 시장에서 대표 주선사 지위를 확보한 첫 사례다. 이번 성과에는 농협금융 차원의 전략적 지원이 크게 작용했다. 농협금융은 이찬우 회
【 청년일보 】 미래에셋증권은 국내 증권사 가운데 최초로 연금자산과 해외주식 모두 잔고 50조 원을 돌파했다고 14일 밝혔다. 지난 8월 말 연금자산 50조원을 넘어선 데 이어 불과 한 달 만에 해외주식 잔고도 50조원을 돌파하며 ‘50–50 클럽’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 10일 기준 미래에셋증권의 고객 연금자산은 총 53조 원으로, 퇴직연금이 35.4조 원(DC형 15조 원, IRP 14.6조 원, DB형 5.8조 원), 개인연금이 17.6조 원을 기록했다. 해외주식 자산은 51.8조 원에 달한다. 미래에셋증권은 글로벌 자산배분 전략을 꾸준히 강화하며 고객 수익률을 높인 점을 주요 성과 요인으로 꼽았다. 인공지능(AI)과 빅테크 등 기술주 중심의 투자전략을 기반으로, 미국·중국·인도 등 주요 시장에 분산투자하는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 10일 기준, 미래에셋증권의 연금자산 약 53조 원 가운데 고객 평가차익이 약 10.8조 원에 달한다. 해외주식 잔고 역시 51.8조 원 가운데, 고객이 거둔 평가차익(세전)은 약 15조 원을 기록했다. 디지털 혁신 또한 미래에셋증권의 핵심 경쟁력으로 꼽힌다. 연금부문에서는 로보어드바이저 서비스를 강화하고
【 청년일보 】 코스피가 하락으로 장을 마감했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는 전장 대비 0.63%(22.74포인트) 내린 3,561.81에 거래를 마쳤다.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914억원, 4천343억원 매입했으며 기관 홀로 5천929억원 매도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삼성전자(-1.82%) ▲SK하이닉스(-0.84%) ▲삼성전자우(-1.36%) ▲두산에너빌리티(-2.32%) ▲한화에어로스페이스(-6.04%) ▲HD현대중공업(-4.06%) ▲KB금융(-0.63%) 등은 하락했다. 반면 LG에너지솔루션(6.94%) ▲삼성바이오로직스(0.69%) ▲현대차(2.06%) 등은 올랐다. 코스닥은 전장 보다 1.46%(12.53포인트) 내린 847.96으로 장을 마감했다. 개인 홀로 2천315억원 매입했고,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천194억원, 1천179억원 매도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에서 ▲레인보우로보틱스(-2.03%) ▲펩트론(-4.97%) ▲파마리서치(-4.47%) ▲리가켐바이오(-3.10%) ▲HLB(-3.30%) ▲에이비엘바이오(-1.64%) ▲삼천당제약(-0.74%) 등은 내렸다. ▲알테오젠(0.45%) ▲에코프로비엠(5.01%) ▲에코프
【 청년일보 】 삼성전자가 어닝 서프라이즈에 힘입어 상승세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21분 기준 거래소에서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2.79% 오른 9만5천900원에 거래 중이다. 이날 삼성전자는 올 3분기 매출액 86조원, 영업이익 12조1천억원을 기록했다며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액은 역대 분기 최고치를 경신했고, 영업이익은 당초 전망치인 10조1천923억원을 2조원 가까이 웃돌며 어닝 서프라이즈(깜짝실적)를 기록했다. 【 청년일보=신정아 기자 】
【 청년일보 】 코스피가 상승으로 장을 시작했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는 전장 보다 19.57포인트(0.55%) 상승한 3,604.12에 개장했다. 코스닥 지수는 전장 대비 4.88포인트(0.57%) 오른 865.37에 거래를 시작했다. 한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보다 0.7원 오른 1,426.5원에 개장했다. 【 청년일보=신정아 기자 】
【 청년일보 】 원·달러 환율이 고공행진하면서 달러 선물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 수익률이 상승 중이지만, 개인 투자자들은 달러 약세에 대거 베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3일 기준 'KODEX 미국달러선물레버리지' ETF 종가는 1만6천685원으로 한 달 전(1만5천750원) 대비 5.94% 올랐다. 같은 기간 'TIGER 미국달러선물레버리지'(5.90%), 'KIWOOM 미국달러선물레버리지'(5.65%) ETF 등도 일제히 올랐다. 레버리지가 아닌 일반 달러 선물 ETF인 'KODEX 미국달러선물'(2.96%), 'KIWOOM 미국달러선물'(2.98%) 등도 상승했다. 이 ETF들은 미국 달러 선물 지수를 기초로 삼아, 달러화 가치의 상승에 따라 수익을 내는 구조를 갖는다. 최근 '아베노믹스'를 지지하며 금리 인상에 반대 입장을 보인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자민당 총재 당선으로 엔화 가치가 하락한 데다, 프랑스에서도 세바스티앵 르코르뉘 총리 사임에 따른 정치 불확실성에 유로화가 약세를 보이면서 달러화 강세 기조가 강해졌다. 아울러 한미 관세 협상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이어진 가운데 국내 개인 투자자들이 해외 주식을
【 청년일보 】 반도체 대형주의 주가 강세에 국민연금의 올해 3분기 주식 평가액이 34조원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민연금이 올해 3분기에 해당하는 기간(7월 1일∼10월 10일) 보유 지분율이 5% 이상이라고 공시한 기업은 293개로 집계됐다. 국민연금의 주식 평가액은 지난 6월 말 174조4천10억원에서 208조1천100억원으로 약 33조7천90억원 증가했다. 국민연금의 보유 주식 평가액 증가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건 대형 반도체주였다. 삼성전자의 주가는 지난 6월 말 종가 기준 5만9천800원에서 지난 10일 9만4천400원으로 57.9% 올랐고, SK하이닉스는 같은 기간 29만2천원에서 42만8천원으로 46.6% 상승했다. 국민연금의 삼성전자 및 SK하이닉스 보유 지분율은 각각 7.75%, 7.35%이다. 이에 따른 주식 평가액 증가 폭은 삼성전자가 약 15조8천690억원, SK하이닉스가 7조2천730억원으로 집계됐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다음으로 주식 평가액 증가분이 큰 종목은 방산 대장주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로 같은 기간 1조70억원이 증가했다. 그 뒤를 이어 고려아연(지분율 5.18%)이 같
【 청년일보 】 한국투자증권은 10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가 만장일치로 현행 2.50% 수준에서 동결될 것으로 예상했다. 최지욱 연구원은 14일 보고서에서 "우리는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 폭을 전주 대비 0.1% 이하로 계속 묶을 수 있다면 한국은행이 10월에 금리인하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6·27 대책 직후 크게 둔화했던 서울시 송파구·마포구·성동구·광진구 등 한강 벨트 지역 가격이 9월 셋째 주부터 본격 반등하기 시작하며 서울 및 수도권 전체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 폭이 커지고 있다"며 "이에 당사는 10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낮췄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결국 이번 6·27 대책은 과거 2017∼2020년의 굵직한 대책들에 비해 효과가 작은 것으로 판단한다"며 "금융시장의 예상대로 가까운 시일 내에 추가 규제가 나온다고 하더라도 대책이 반영되는 시차를 고려할 때 금융 불균형 측면에서 한국은행은 다음 주 목요일(23일) 열릴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현 수준(2.50%)에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번 10월 금통위는 소수의견 없는 만장일치 동결과 3개월 내 인하 포워드 가이던스(통화정책 사전예고
【 청년일보 】 미래에셋증권의 해외법인이 고무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과 중국, 인도를 중심으로한 현지화 및 미래에셋자산운용과의 동반 진출 전략이 성과를 나타내는 모습이다. 글로벌 전략 성과에 힘입어 올해 미래에셋그룹의 운용자산(AUM)은 창립 후 28년 만에 1천55조원을 기록하는 등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이뤄내고 있다는 평가다. 1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의 올 상반기 연결 기준 당기순이익은 6천641억원, 영업이익은 8천466억원으로 나타났다. 이 중 해외법인에서 창출된 세전이익은 2천238억원으로 전체 세전이익의 26%를 차지했다. 아울러 지난 6월 말 기준 연결기준 자기자본 12조4천190억원 중 해외법인 자기자본 비중은 37.8%로 집계됐다. 미래에셋증권의 해외법인 순이익은 2018년을 기점으로 괄목할 성장세를 보였다. 당시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이 GSO(글로벌 전략 고문)로 취임하면서 2017년 660억원이던 미래에셋증권 해외법인 순이익은 2020년 2천억원으로 급증했고 이후로도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현재 11개국에서 현지 해외법인 17곳, 사무소 3곳을 운영하고 있다. 국내 증권사 중 해외에서 가장 넓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