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구석구석: 공간에 새겨진 도시 변화의 서사> 시리즈는 서울의 역동적인 변화를 '공간의 재구성'이라는 프리즘으로 분석한다. 과거의 유산과 현재의 삶, 그리고 미래를 향한 도시의 전략이 교차하는 지점을 찾아, 그 현장의 모습과 변화를 입체적으로 다룬다. 도시의 물리적 변화가 개인의 일상, 경제, 문화, 심지어 정치적 지형까지 어떻게 바꾸어 놓았는지 살펴봄으로써, 서울이라는 거대 도시의 다층적인 정체성을 탐구하는 데 의미가 있다. 그 세 번째 장소로, '계획된 도시'의 성공 신화이자 대한민국 자본주의의 상징인 강남구를 살펴본다. [편집자 주] 【 청년일보 】 강남구는 1970년대 영동(永東)지구 개발과 함께 서울 도시사의 전면에 등장했다. 개발 당시 서울 인구 과밀 해소와 균형 발전을 위한 정부의 강력한 정책적 의지가 투영된 강남은 불과 반세기 만에 고밀도 주거 환경, 금융, 상업 기능을 집적시키며 서울의 새로운 중심으로 자리매김했다. ◆ '계획된 도시'의 탄생: 토지 개발과 랜드마크의 형성 1960년대 말, 현재 강남이라 불리는 지역은 강북 도심민들에게는 황량한 한강 이남의 외곽일 뿐이었다. 신사동, 압구정동 일대는 배밭이나 뽕나무밭이 펼쳐져
【 청년일보 】 다음 주에는 전국에 12개 단지 8천583가구(일반분양 4천398가구)가 분양을 시작한다. 8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11월 둘째 주에는 서울 서초구 반포동 반포래미안트리니원, 경기 평택시 장안동 브레인시티비스타동원, 대전 유성구 도룡동 도룡자이라피크 등이 청약을 진행한다. 삼성물산이 시공하는 반포래미안트리니원은 반포아파트 3주구(주거구역) 재건축 단지로 지하 3층∼지상 최고 35층에 17개 동, 2천91가구가 공급된다. 이 가운데 전용면적 59·84㎡ 506가구가 일반분양이다. 지하철 9호선 구반포역이 단지 바로 앞에 있고 올림픽대로, 동작대교 등을 통해 도심 간 이동이 수월하다. 도보 거리에 반포초·중, 세화여중·고, 세화고 등 학교가 있고 반포한강공원, 신반포공원 등 주변 녹지공간도 풍부하다. 후분양 아파트로 내년 8월 입주 예정이다. 분양가상한제 적용으로 약 20억원가량의 시세차익이 예상되지만 ㎡당 분양가가 3천462만원 수준이다. 10·15 부동산 대책으로 대출규제가 강화된 상황에서 자금력 있는 수요가 얼마나 쏠릴지가 관심사다. 견본주택은 경기 안양시 안양동 안양자이헤리티온, 경기 용인시 양지면 용인푸르지오원클러스터파크, 세종시 합
【 청년일보 】 울산화력발전소 기력 4·5·6호기 해체공사를 맡았던 HJ중공업이 전날 발생한 붕괴사고와 관련해 건설부문 전 현장 공사를 중단한다고 7일 공시했다. HJ중공업은 공시를 통해 "울산 기력 4·5·6호기 해체공사 현장 중대재해 발생에 따른 전 현장 자체 안전점검 및 보완조치 실시"를 사유로 밝혔다. 공사 재개 일자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며, 전 현장에 대한 자체 안전점검과 보완조치를 시행한 후 작업을 재개할 계획이다. 이번 공사 중단 분야의 매출액은 1조345억3천400만원으로, 이는 작년 말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액의 54.85%에 달하는 규모다. HJ중공업이 한국동서발전으로부터 수주한 울산 기력 4·5·6호기 해체공사는 계약 금액 575억원, 공사 기간 27개월짜리 사업이었다. 당초 계획은 내년 3월까지 해체와 철거를 마무리하는 것이었다. 앞서 6일 오후 2시 7분께 울산 남구 용잠동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에서 60m 높이의 보일러 타워가 무너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타워 해체 작업에 투입된 발파업체 소속 작업자 7명이 매몰됐다. 현재까지 작업자 3명이 사망하고 2명이 숨진 것으로 추정되며, 나머지 실종자 2명에 대한
【 청년일보 】 건설사들이 체감하는 경기가 18개월 내 가장 낮은 수준으로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올해 10월 건설기업 경기실사지수(CBSI)가 전월 대비 7.0포인트 하락한 66.3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2024년 5월 CBSI 개편 이후 18개월 만의 최저치로, 기준선인 100을 밑돌면 건설 경기를 비관적으로 보는 기업이 낙관적으로 보는 기업보다 많다는 의미다. 부문별 세부 지수도 일제히 하락했다. 신규수주지수(64.0p)가 전월 대비 7.3포인트 하락하며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고, 수주잔고지수(68.8, -5.5p)와 공사기성지수(73.5, -0.5p)도 낮아졌다. 공종별 신규수주지수는 주택 부문이 14.1포인트 급락한 59.5를 기록하며 하락세를 주도했다. 비주택건축(64.9, -7.3p)과 토목(65.6, -1.2p) 역시 모두 하락했다. 특히 기업 규모별, 지역별 체감경기 양극화가 두드러졌다. 대기업지수(91.7p)는 전월과 동일했으나, 중견기업지수(59.3p)와 중소기업지수(48.1p)는 각각 12.1포인트, 8.9포인트 급락하며 크게 악화했다. 지역별로도 서울(84.8, -3.4p)과 지방(53.5, -9.7
【 청년일보 】 GS건설은 글로벌 법률 전문매체 ALB(Asian Legal Business)가 주관하는 ‘2025 한국법률대상(Korea Law Awards, 2025)’에서 ‘올해의 사내법무팀(Korea In-House Team of the Year)’ 상을 수상했다고 7일 밝혔다. GS건설은 전날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국내 대형건설사 중에서는 유일하게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올해로 13회를 맞는 이 시상식은 톰슨 로이터 계열사인 ALB가 아시아 지역 로펌 및 기업 법무팀을 대상으로 매년 개최하는 권위 있는 법률 전문 시상식이다. GS건설 법무팀은 글로벌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축적한 경험을 바탕으로 ‘EPC 리스크 체크리스트’를 정립해 해외 사업 위험요소에 대한 계약 검토 기준을 마련했다. 또한, 다수의 국제 중재에서 회사의 법적 권리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해외 발주처와의 협의에서도 전략적인 합의를 도출해 잠재 리스크에 대응한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 해외 M&A 및 글로벌 부동산 개발 사업 등에서 효과적인 법률 대응을 통해 사업을 원활히 지원한 점도 수상의 배경이 됐다. GS건설 관계자는 "국내 대형건설사가 유일하게 수상을 함으로써
【 청년일보 】 대우건설이 원자력 사업 조직을 최고경영자(CEO) 직속으로 편제하고 안전관리(CSO) 조직을 강화하는 내용의 조직 개편 및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개편은 미래 성장동력 확보와 '안전 최우선 문화' 정착에 중점을 뒀다. 대우건설은 플랜트사업본부 산하에 있던 원자력사업단을 CEO 직속으로 변경해 미래 성장동력의 기반을 다질 계획이다. 안전 조직도 대폭 강화된다. CSO 산하에 본사와 현장을 총괄하는 담당 임원 2인을 선임해 컨트롤타워 기능을 강화하고, 각 지역안전팀에 현장점검 전담직원을 추가 배치해 실질적인 재해 예방 활동에 역량을 집중한다.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스마트건설 조직도 확대된다. AI 분야 투자를 위해 'AX데이터팀'을 신설, 전사 AI 전략을 총괄하며 플랫폼 개발 및 데이터 자산화 업무를 맡긴다. 최근 '스마트건설 얼라이언스' 의장사로 선임된 데 따른 후속 조치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GTX-B 민간투자사업,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등 국내 대형 토목 프로젝트의 사업관리를 위해 CM조직을 확대 신설했다. 주택·건축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SOC, 인프라, 신재생에너지, 해외사업 등으로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한다는 방침
【 청년일보 】 현대건설이 '2025 스마트건설 챌린지'에서 3개 부문 상을 석권하며 5년 연속 수상 기록을 세웠다. 현대건설은 지난 5일 경기도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스마트건설 챌린지’ 시상식에서 BIM(건설정보모델링) 분야와 철도 분야에서 각각 최우수 혁신상(국토부장관상)을, 단지‧주택 분야에서 혁신상을 수상했다고 7일 밝혔다. 이로써 현대건설은 2021년 이후 5년간 총 12회의 수상 성과를 거뒀다. BIM 분야 최우수 혁신상을 받은 '인공지능 기반 프리콘 자동화' 기술은 설계 단계 데이터를 연동해 공정과 물량을 정밀화하는 기술이다. VR(가상현실)을 활용한 위험성 검토와 공용 데이터 환경(CDE) 기반의 협업 안전관리 기술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철도 분야 최우수 혁신상으로 선정된 'AI 스마트 안전 시스템'은 지하 터널 현장에 적용된 TVWS(TV 주파수 유휴 대역) 무선통신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다. AI 영상인식, IoT 센서 등을 실시간 연동해 지하 현장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기술이다. 단지·주택 분야 혁신상을 받은 '건설 현장 자재 운반 로봇'은 삼성물산과 협업한 기술로, 슬램(SLAM) 기술을 활용해 자율주행으로 자재를
【 청년일보 】 한신공영이 문화체육관광부가 인증하는 ‘2025년 여가친화기업’으로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여가친화기업 인증제’는 문체부가 주최하고 지역문화진흥원이 주관하는 제도로, '국민여가활성화기본법'에 따라 근로자가 일과 여가를 조화롭게 병행할 수 있도록 우수한 여건을 조성한 기업을 매년 인증한다. 특히 한신공영은 지난해 ‘2024년 문화예술후원우수기관’으로 선정된 데 이어 이번 여가친화인증까지 획득, 문화·여가 중심의 기업 운영 방식을 선도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신공영은 ‘신바람 나는 조직문화’ 구축을 비전으로 내세우며, 다양한 복지제도와 제도적 지원을 통해 임직원의 워라밸(Work & Life Balance) 향상에 힘쓰고 있다. 회사 측은 이러한 제도들이 직원들의 자율적인 여가활동을 촉진하고 근무 만족도와 조직 몰입도를 높이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신공영 관계자는 “ESG 경영을 확대하고 임직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예술로 사업’ 참여, 걷기습관 형성 플랫폼 도입 등도 그 일환”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번 인증은 이러한 노력이 외부적으로 인정받은 뜻깊은 성과”라며 “앞
【 청년일보 】 10·15 부동산 대책으로 서울 전역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자, 실거주 의무가 없는 경매 시장으로 수요가 몰리며 주요 지역의 낙찰가율이 급등했다. 경·공매 데이터 전문기업 지지옥션이 전날 발표한 ‘2025년 10월 경매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낙찰가율은 102.3%로 전달(99.5%) 대비 2.8%p 상승했다. 이는 3년 4개월 만에 기록한 최고치다. 특히 광진구 낙찰가율이 전달보다 27.9%p 폭등한 135.4%를 기록하며 상승세를 주도했고, 성동구 역시 17.7%p 오른 122.1%를 기록했다. 이어 용산구(117.6%), 송파구(114.3%), 강남구(110.7%), 서초구(107.1%) 순으로 높게 나타나,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의 풍선효과가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서울 아파트 낙찰률은 39.6%로 전월(50.7%) 대비 11.1%p 급락하며 2024년 3월(34.9%) 이후 1년 7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노원구, 금천구, 중랑구 등에서 유찰 건수가 증가한 탓에 전체 낙찰률은 하락했다. 10월 전국 아파트 경매 진행건수는 2천964건으로 긴 추석 연휴 여파로 전월(3천461건)
【 청년일보 】 현대건설이 입주민 맞춤형 플랫폼 기반 주거서비스 'H 컬처클럽'을 중심으로 스타트업 협업을 본격화한다고 7일 밝혔다. 'H 컬처클럽'은 현대건설이 선보인 공간·플랫폼 융합형 주거서비스로, 커뮤니티 내 문화·예술·휴식·건강·생활편의 콘텐츠를 전문업체와 협업해 제공하는 통합형 서비스 플랫폼이다. 입주민은 통합 주거 플랫폼 '마이 디에이치(my THE H)'를 통해 온·오프라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2026년 9월 입주 예정인 디에이치 방배 단지에 처음 적용된다. 현대건설은 'H 컬처클럽'의 주요 서비스 중 하나로 단지 기반 육아 스타트업 '아워스팟'과 협업해 디에이치 방배 입주민을 대상으로 아이돌봄 서비스를 도입할 계획이다. 아워스팟은 초등학생 자녀를 둔 가정을 위한 단지 기반 키즈 케어 플랫폼으로, 하교·학원 픽업, 숙제 관리, 간식 제공, 방학 클래스 등 방과후 시간을 관리하는 통합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대건설은 디에이치 입주민 전용 'my THE H' 앱을 통해 아이돌봄 서비스 예약 및 이용이 가능하도록 연계 기능을 검토 중이다. 이를 통해 입주민이 단지 내 다양한 주거서비스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이용할 수 있는 구조를 구축할 예정이
【 청년일보 】 인천국제공항이 있는 영종도와 접경지역인 강화도를 연결하는 '서해남북평화도로'의 첫 번째 구간이 내년 5월 개통된다. 7일 인천시에 따르면, 2021년 9월 착공한 평화도로 1단계 영종도∼신도 도로 건설사업이 내년 5월 준공될 예정이다. 당초 이 도로는 올해 말 개통을 목표로 했으나, 사업 시행 인·허가 과정과 보상 지연 문제로 준공이 미뤄졌다. 영종도와 신도를 잇는 이 도로는 해상교량을 포함해 총 길이 3.2㎞, 왕복 2차로 규모로 건설되며 총사업비는 1천596억원이 투입됐다. 시는 올해 말까지 해상교량 구간의 공사를 마치고 내년 5월까지 전체 구간을 준공할 계획이다. 또한, 해당 도로 개통에 대비해 태스크포스(TF)를 가동, 주차장을 비롯한 기반시설 확충과 버스 노선 조정 등을 추진한다. 시는 1단계 사업에 이어 2단계인 신도∼강화도 교량(11.4㎞) 건설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사전타당성조사 용역을 진행 중이며, 강화도 남단이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될 경우 이 도로를 기반시설로 반영해 병행 추진할 방침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영종∼신도 도로에 이어 강화도까지 평화도로가 연결되면 접경지역 정주 여건 개선과 지역 균형 발전에 크게 기
【 청년일보 】 허민 국가유산청장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종묘(宗廟) 맞은편 세운4구역에 고층 건물이 들어설 경우 "위험에 처한 유산"에 오르거나 등재가 취소될 여지도 있다고 말했다. 허 청장은 전날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 출석해, 서울시가 종묘 맞은편 재개발 사업지인 세운4구역의 높이 계획을 최근 변경한 것에 대해 조국혁신당 김재원 의원이 의견을 묻자 "실로 깊은 유감"이라며 이같이 답했다. 그는 '서울시가 개발 공사를 강행한다면 어떻게 되냐'는 물음에 "(등재가) 취소될 가능성도 없지 않아 있다"고 말했다. 허 청장이 세운4구역 재개발이 세계유산인 종묘에 미칠 영향에 관해 직접 입장을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시는 지난달 30일 '세운재정비촉진지구 및 4구역 재정비촉진계획 결정(변경) 및 지형도면'을 고시했다. 이에 따라 기존 종로변 55m, 청계천변 71.9m로 정해져 있던 건물 높이가 최고 101∼145m로 변경된다. 청계천변 기준으로는 배에 가까운 수치다. 허 청장은 "국가유산청은 2006년부터 서울시에 공문을 보내고, 회의를 거치면서 (세계유산영향평가를 받으라는) 유네스코 권고안을 따르라고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서울시는) 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