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유한양행이 글로벌 제약사 존슨앤드존슨(J&J)의 자회사 얀센 바이오테크(이하 얀센)와 진행 중이던 4세대 EGFR(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 표적 항암 치료제 타이로신 키나제 억제제(TKI) 공동 연구개발을 종료한다. 이에 따라 유한양행은 2018년 얀센과 체결한 기술이전 계약 조건을 정정하며, 마일스톤 기술료를 기존 12억500만달러(약 1조6천억원)에서 3억500만달러(약 4천억원) 감소한 9억달러(약 1조2천억원)로 재조정했다고 20일 공시했다. 유한양행 측은 "이번 공시는 차세대 4세대 EGFR 표적 항암 치료제 공동연구 종료에 따른 것"이라며 "3세대 EGFR 표적 항암 치료제인 레이저티닙(국내 상품명: 렉라자) 관련 계약에는 변화가 없다"고 설명했다. 유한양행의 대표 항암제인 렉라자는 3세대 EGFR TKI로, 현재 국내외에서 상업화가 진행 중이며, 이번 계약 종료는 차세대 4세대 치료제 개발에 한정된 사항이다. 유한양행은 2018년 얀센과의 기술이전 계약을 통해 계약금 5천만달러와 개발 단계에 따른 기술료 1억달러를 이미 수령한 바 있다. 또한 최근 렉라자와 리브리반트의 병용요법이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으며 상업화
【 청년일보 】 대웅제약이 숙취 해소 물질로 국내 유일 특허를 받은 '노니트리 추출물'을 담아낸 숙취해소제 '에너씨슬 퍼펙트샷 쎈'을 출시했다. 대웅제약은 간 건강 관련 노하우를 발휘해 개발한 '에너씨슬 퍼펙트샷 쎈'을 통해 숙취를 케어하는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20일 대웅제약에 따르면, 에너씨슬 퍼펙트샷 쎈은 알코올 섭취 후, 생성되는 독성물질인 아세트알데하이드를 효과적으로 분해해 숙취 해소를 돕는 제품이다. 주성분인 '노니트리'는 숙취 효능에 관한 제조 공법 특허를 취득한 원료로, 간 염증 지표를 개선하고 장 내 유익균 증가 및 유해균 억제에 효과가 있어 간 보호와 음주 후 장 트러블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에너씨슬 퍼펙트샷 쎈은 주 성분 외에도 활력 비타민B군 8종(비타민 B1, 비타민 B2, 나이아신, 판토텐산, 비타민B6, 비오틴, 엽산, 비타민B12)을 함유하여 숙취해소는 물론 소비자의 건강까지 고려한 것이 특징이다. 대웅제약은 에너씨슬 퍼펙트샷 쎈의 흡수와 복용 편의성을 고려해 액상·정제의 이중 제형으로 개발 및 출시했다. 이에 30ml 액상과 정제 2정으로 구성돼 음주 전후 어디서나 간편한 섭취가 가능하다. 대웅제약 관계자는 "에너씨
【 청년일보 】 겨울을 앞두고 2024~2025절기 인플루엔자 무료 예방접종이 20일부터 시작된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이번 예방접종은 내년 4월 30일까지 진행된다. 이번 접종은 인플루엔자 감염 시 중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6개월∼13세(2011년 1월 1일∼2024년 8월 31일 출생자) 어린이와 임신부, 65세 이상(1959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어르신을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이뤄진다. 먼저, 20일에는 2회 접종 대상 어린이의 예방접종이 시작된다. 2회 접종 대상자는 과거에 인플루엔자 백신을 맞은 경험이 없거나, 이전에 1회만 접종한 6개월 이상 9세 미만 어린이다. 이어서 10월 2일부터는 1회 접종 대상 어린이와 임신부가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다. 10월 11일부터는 65세 이상 어르신에 대한 접종이 시작된다. 이번 절기에는 인플루엔자와 코로나19 백신을 동시에 접종할 수 있으며, 방역 당국은 두 백신을 동시에 맞을 경우 두 가지 질병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라며 동시 접종을 권장하고 있다. 인플루엔자 백신을 맞으면 2주 후에 방어 항체가 형성되며, 건강한 성인의 경우 접종으로 인해 70~90%의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백신은 감염
【 청년일보 】 대웅제약이 손발톱 무좀 치료제 '주플리에외용액'(성분명: 에피나코나졸, 이하 주플리에)의 일부 제품에 대해 자발적인 회수에 나섰다. 19일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안전나라 홈페이지에 따르면, 해당 제품이 안정성시험 결과 기준일탈(유연물질)에 따른 사전예방적 조치로 영업자 회수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유연물질은 의약품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순물로, 제품의 품질 및 안전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회수 대상은 제조번호 C03659, D03655, D02485에 해당하는 제품들이다. 공고마감일자는 오는 2027년 9월 18일까지다. 대웅제약은 "이번 회수는 선제적인 예방 조치로, 소비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결정"이라며 "향후 재발 방지를 위해 철저한 관리와 품질 강화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에피나코나졸이 주성분인 주플리에는 ▲손발톱 사포질 없이 사용 가능한 '높은 투과율' ▲국소작용을 통한 '우수한 내약성' ▲용기와 브러쉬 일체형 용기를 통한 '편리한 사용성'이 특징이다. 주 성분인 에피나코나졸은 대한의진균학회 조갑진균증 진료지침 등 국내외 가이드라인에 따라 손발톱무좀 1차 치료제로 권고되고 있다. 주플리에는 피부사상균에
【 청년일보 】 한미약품이 차세대 표적항암 혁신신약으로 개발 중인 'EZH1·2 이중 저해제(HM97662)'의 임상 내용들이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암 학회에서 잇따라 발표되며 큰 주목을 받았다. 한미약품은 지난 13일부터 17일까지(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유럽종양학회(ESMO Congress 2024)와 15일부터 18일까지(현지시간) 미국 호놀룰루에서 열린 세계약물연구학회(ISSX)에서 HM97662에 관한 다양한 연구 성과를 포스터에 담아 발표했다고 19일 밝혔다. '유전자 조절 스위치'로 불리는 EZH(Enhancer of Zeste Homolog) 단백질은 세포 내 특정 유전자 발현을 활성화하거나 억제해 세포 성장과 분화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암을 유발하는 단백질 복합체인 '폴리콤 억제 복합체 2(Polycomb Repressive Complex 2, PRC2)'의 핵심 요소이기도 한 EZH1과 EZH2를 동시에 제어할 경우, PRC2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해 잠재적인 항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두 단백질의 이중 저해제 잠재력은 더욱 커지는 상황이다. 실제 EZH2만 선택적으로 저해할 경우 EZH1이 상보적
【 청년일보 】 JW중외제약의 공익재단인 JW이종호재단은 기초과학 분야 연구자들을 위한 주거비용 지원사업인 '2024 기초과학자 장학생'을 내달 1일부터 31일까지 모집한다고 19일 밝혔다. JW이종호재단이 운영하는 '기초과학자 장학생'은 기초과학 분야 연구자가 연구 기간에 주거비용 걱정 없이 안정적으로 연구 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주거지 임차료(월세)를 지원하는 공모사업이다. 국내 산업계에서는 최초로 JW가 기획해 운영하고 있으며 올해로 5회째를 맞이했다. 지난해에는 총 10명의 장학생이 선발됐다. 선발 대상은 국내외 석·박사 통합 3년 이상 또는 박사과정의 기초과학 분야(생명과학·의료공학·의약화학) 내국인 연구자로, 해외에 거주 중인 연구자도 지원 가능하다. 지원 방법은 연구 에세이와 미래성장계획서, 연구계획서 등의 서류를 JW이종호재단에 이메일로 접수하면 된다. JW이종호재단은 서류 심사와 심층 면접을 거쳐 오는 12월 4일 최종 합격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최종 합격자에게는 학위 취득 목적의 연구 기간을 고려해 최대 3년간, 연 최대 800만원 한도 내에서 거주지 임차료(월세)를 지원한다. '2024 기초과학자 장학생' 선발 과정에 대한 보다 자세한
【 청년일보 】 대웅은 대웅제약, 대웅바이오, 대웅테라퓨틱스 등 계열 3사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고지혈증 치료제용 원료의약품 국산화를 위한 '2024년 소재부품기술개발 사업'의 총 주관사 및 세부 주관사로 선정됐다고 19일 밝혔다. 최근 국산 신약을 잇따라 개발, 출시하며 혁신과 R&D에 집중해온 대웅의 의약품 연구 및 개발 역량이 인정 받은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 과제는 피타바스타틴과 같은 3세대 스타틴 계열의 고지혈증 치료제 원료의약품을 국산화하고, 나아가 중간체와 완제의약품까지 국내에서 모두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올해부터 오는 2028년 12월까지 총 54개월간 진행되는 사업으로, 정부는 총 180억원 규모의 연구개발비를 지원한다. 대웅그룹은 이를 위해 원료의약품의 소재가 되는 ▲핵심 출발 물질 발굴 ▲중간체 및 합성 공정 개발 ▲완제의약품 제조 기술 확보 등의 활동을 수행할 예정이다. 또한 완제의약품 제조공정 확립을 진행하기 위해 ▲공정별 순도 관리, 유연물질 관리 및 평가 체계를 확보하며, GMP(의약품 제조 품질 관리 기준)에 따라 이를 실제로 적용하는 ▲완제의약품 생산 실증 작업도 진행할 계획이다. 건강
【 청년일보 】 최근 10년간 사무장병원과 면허대여약국(면대약국) 등 불법 개설 의료기관이 부당하게 청구한 진료비가 약 3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이 중 실제로 환수된 금액은 극히 적어, 징수율이 7%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17일 국회 입법조사처가 최근 발표한 '국정감사 이슈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4년부터 2023년 5월까지 불법 개설된 의료기관에 대한 환수 결정액은 총 2조9천861억원에 달했다. 특히 올해 들어 5월까지의 환수 결정액은 1천750억원으로, 지난해 전체 환수 결정액(1천947억원)에 근접한 수준을 기록했다. 지난 10년간 환수 결정된 금액 중 실제로 징수된 금액은 2천83억원에 그쳤으며, 전체 징수율은 6.98%로 매우 저조했다. 특히 2023년의 징수율은 5.84%에 불과해 환수 실적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사무장병원은 의료기관 개설 자격이 없는 사람이 의료인을 고용해 운영하는 불법 의료기관을 뜻하며, 면대약국은 약사 자격이 없는 사람이 약사를 고용해 불법으로 운영하는 약국을 의미한다. 이러한 불법 개설 의료기관들은 진료비를 허위로 청구해 막대한 이익을 취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환수 결정도 매
【 청년일보 】 금주 의료·제약 주요기사로 비응급 및 경증 환자가 권역응급의료센터 등 응급실을 이용할 경우, 본인 부담 진료비가 대폭 인상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지난 13일부터 시행된 국민건강보험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에 따르면 중증도가 낮은 경증 응급환자의 응급실 본인 부담 진료비가 기존 50~60%에서 90%로 인상된다. 아울러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과 서진석 셀트리온 경영사업부 대표이사가 지난 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서 열린 '22회 모건스탠리 글로벌 헬스케어 콘퍼런스'에 참석해 그룹사의 경쟁력을 조명하고 향후 성장전략을 제시했다. 이 밖에 국민 간장약 성분이 코로나 감염예방 효과를 입증한 연구가 나와 주목을 받았다. ◆ 응급실 찾는 경증환자 진료비 본인부담률 60%→90% 보건복지부가 지난 13일 국민건강보험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을 시행. 이에 중증도가 낮은 경증 응급환자가 권역응급의료센터, 권역외상센터, 지역응급의료센터 등 상급 응급실을 방문하면, 본인 부담 진료비가 기존 50~60%에서 90%로 인상. 정부는 응급실 과밀화 문제를 해결하고, 중증 응급환자가 제때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 일각에서는 이번 조치가 취약 계층
【 청년일보 】 동아제약은 숙취해소 음료 '모닝케어 프레스온'의 신규 광고를 공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광고는 회식 자리에서 내일의 숙취 걱정을 모닝케어로 해결하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출근 걱정을 눌렀다, 모닝케어로 눌러 따!'와 같은 비슷한 발음을 활용한 언어유희로 재치를 더했다. 특히, 제품 모델로 발탁된 배우 임시완이 등장하여 '모닝케어를 눌러, 따! 환과 액상을 바로 마신다'라는 키 메시지를 전달한다. 모닝케어 프레스온은 제품 상단부를 눌러 환과 음료를 바로 마실 수 있는 이중 제형 숙취해소제로, 환과 액상이 섞이지 않도록 특허 받은 이중 기밀 구조 용기로 제작됐다. 제품은 목 넘김이 편한 소형 환과 쌀눈 대두 발효 추출물(RSE-α)이 함유된 액상 100ml로 구성됐다. 맛은 달콤한 배 맛의 프레스온H와 개운하고 상쾌한 맛의 프레스온G 두 가지가 있으며, 개인의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프레스온H는 밀크시슬 추출물 분말과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으며, 프레스온G는 양배추 농축 분말과 식이섬유를 함유하고 있다. 이번 신규 광고는 동아제약 공식 유튜브 채널 및 유튜브, SNS 등 다양한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다양한 버전의 광고를 추가로
【 청년일보 】 대웅과 인도네시아의 20년 인연이 중대한 도약의 전기를 맞게 됐다. 대웅의 현지법인 대웅바이오로직스인도네시아(이하 DBI, Daewoong Biologics Indonesia)는 치카랑 자바베카 산업단지 내 줄기세포 공장이 인도네시아 식약처(처장 타루나 이크라르, Taruna Ikrar)로부터 GMP 인증을 취득하고 본격 가동을 시작한다고 13일 밝혔다. DBI 줄기세포 공장의 공식 개관을 위해 현지를 찾은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이번 GMP 인증으로 대웅은 인도네시아 제약·바이오 업계와 함께하는 대규모 연구개발사업의 첫발을 내딛게 됐다"고 강조했다. 대웅은 지난 2005년 자카르타 지사 설립을 통해 인도네시아 국민과 첫 인연을 맺은 뒤, 윤재승 CVO의 '동반성장' 비전 아래 인도네시아의 '이노베이션 파트너'로서 제약바이오 산업 발전과 인재 성장을 위한 프로젝트를 꾸준히, 집중적으로 이어오고 있다. ◆ '고령화 시대' 인니 국민의 건강에 기여할 쾌거 인도네시아의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지난해 7%를 넘겼다. 본격적인 '고령화 사회'에 돌입한 것이다. 고령화로 인해 고관절염, 암, 뇌 질환 등 노화와 관련된 퇴행성 질환이 증가하고 있어,
【 청년일보 】 동국제약은 김성주와 안정환 콤비를 모델로 한 '판시딜' 신규 TV-CF를 온에어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TV-CF는 탈모로 고민할 때 가장 먼저 포털사이트나 온라인에서 증상 등의 정보를 검색해 본다는 점에 착안해, '탈모 고민 검색'을 콘셉트로 구성됐다. 신규 광고에서 김성주와 안정환은 "탈모 고민 찾아보시나요?"라는 질문에 "찾을 필요 있나요? 판시딜이 있는데"라며, 탈모 고민에 판시딜을 선택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특히 "덜 빠지니까, 많이 찾죠", "굵어지니까, 계속 찾죠", "풍성해지니까, 10년 연속 판매 1위"라는 멘트로 판시딜의 효능과 소비자 구매 행동을 연결해 효과적인 탈모 솔루션으로 판시딜을 제시했다. 또한, 이번 광고에서는 남자뿐만 아니라 최근 증가하고 있는 여자들의 탈모 고민에도 효과적임을 기존 CF보다 강조하여 표현했다. 동국제약 광고 담당자는 "판시딜 모델로서 7년차인 김성주와, 안정환 콤비의 노련함과 케미를 십분 활용해, 탈모로 고민하는 분들에게 판시딜의 효능을 속도감 있게 전달하고자 했다"며 "탈모 증상이 있다면 방치하거나 탈모 샴푸, 식이요법만으로 관리하기보다 초기부터 판시딜과 같이 모발에 영양을 공급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