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무실’ 공공 심야약국…전국 49개 불과, 서울·부산 ‘제로’
【 청년일보 】 밤늦게 문을 여는 공공 심야약국이 전국에 50곳도 안 되는 등 사실상 ‘유명무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 심야약국은 응급 환자가 발생할 수 있는 심야 시간대까지 운영하는 약국이다.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을 받아 오후 10시부터 0시 또는 다음날 오전 1시까지 영업한다. 6일 대한약사회 등에 따르면 공공 심야약국은 전국에 총 49곳이다. 전체 약국수가 2만4,000여 곳에 이르는 점을 고려하면 심야시간대 응급약국 접근율이 0.2%에 불과한 것이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16곳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대구(13곳), 인천(8곳), 제주(7곳), 광주(2곳), 대전(2곳), 충남(1곳) 등이었다. 인구가 밀집된 서울과 부산 등에는 공공 심야약국이 없었다. 서울 강남역 등 번화가 인근에 늦은 시간까지 운영하는 약국이 있지만,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공적인 지원을 받은 정식 심야 운영은 아니었다. 공공 심야약국은 약사가 복약지도 등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해 야간과 휴일 진료 공백 해소에 기여하고 소비자의 의약품 구매 불편 해소·의약품 오남용을 등을 예방할 수 있다. 약사법상 복약지도는 의약품의 명칭, 용법·용량, 효능·효과, 저장 방법, 부작용, 상호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