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기업 체감경기가 서비스업, 건설업 등 비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달 전보다 조금 나빠졌다.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1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자료에 따르면 이번 달 전(全) 산업의 업황 BSI는 전월보다 1포인트 내린 75였다. BSI란 기업들이 체감하는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지표로, 부정적으로 응답한 기업이 긍정적으로 본 곳보다 많으면 지수가 100을 밑돌게 된다. 경기를 비관적으로 인식한 기업들이 한 달 전보다 더 늘어난 셈이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업황 BSI(76)가 한 달 전보다 2포인트 올랐고, 비제조업(73)은 5포인트 하락했다. 제조업 중에서는 반도체 관련 부품 판매가 늘어나며 전자·영상·통신장비(89)가 10포인트 뛰었다. 반도체 설비수주가 증가한 영향에 기타 기계·장비(74)도 5포인트 상승했다. 반대로 자동차(74) 업종은 일부 완성차 업체가 연말 파업을 한 여파에 6포인트 내렸다. 제조업을 기업 규모별로 나누어 보면 대기업(83)이 3포인트, 중소기업(69)은 1포인트 올랐다. 기업 형태별로는 수출기업(85)과 내수기업(71)이 각각 5포인트, 1포인트 상승했다. 비제조업 중에서는 주택 건설경기 부진 속에 건설업(65)
【 청년일보 】 내년 중소기업 경기는 대내외 여건 개선과 정부의 정책 지원에 힘입어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중소기업연구원은 29일 발표한 '2020년 중소기업 경기 전망' 보고서에서 제조업·서비스업 생산과 수출은 부진하겠지만 고용은 양호한 회복세를 나타내고 체감경기 부진도 완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내년 중소제조업 생산은 업황 부진과 경쟁 심화로 감소세를 지속하겠지만 기저효과와 글로벌 제조업 개선으로 감소 폭은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중소서비스업은 양호한 고용 여건 속에 내수가 어느 정도 회복되고 보건·복지 분야 정부 정책에 힘입어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수출은 글로벌 교역 개선과 신흥국 중심의 수입 수요가 확대되면서 증가 추세로 전환될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다만 대기업 주력 업종 중심의 수출 개선으로 중소기업의 수출 비중은 소폭 감소할 것으로 판단했다. 고용은 정부 정책과 내수 회복 등 영향으로 양호한 흐름이 예상되지만, 자영업 구조 개편으로 취업자 증가 폭은 소폭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고 연구원은 내다봤다. 유의해야 할 부분으로는 대내외 불확실성과 중소기업의 구조적 취약성을 꼽았다. 연구원은 중소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