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9 (수)

  • 맑음동두천 -4.7℃
  • 맑음강릉 1.4℃
  • 맑음서울 -1.4℃
  • 맑음대전 1.0℃
  • 구름조금대구 1.1℃
  • 맑음울산 0.6℃
  • 흐림광주 4.4℃
  • 맑음부산 3.4℃
  • 흐림고창 3.3℃
  • 구름많음제주 9.9℃
  • 맑음강화 -2.9℃
  • 맑음보은 -2.4℃
  • 흐림금산 2.7℃
  • 흐림강진군 4.5℃
  • 맑음경주시 -2.1℃
  • 구름많음거제 3.3℃
기상청 제공

지난해 ‘주 15시간 미만' 취업자 158만명···역대 최대치

사업·개인·공공서비스 및 기타 분야 취업자 93만5천명
“단시간 근로자 증가···고용 안정성 떨어진다는 걸 방증”

 

【청년일보】 주당 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초단시간 아르바이트 취업자가 지난해 약 158만명으로 늘어 역대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주당 근로시간이 1∼14시간인 취업자는 157만7천명으로 전년 대비 6만5천명 증가했다. 이는 전체 취업자(2천808만9천명)의 5.6%를 차지하며 규모와 비중 모두 2000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다.

 

주 15시간 미만 취업자는 주휴수당, 퇴직금, 유급 연차휴가 등을 받을 수 없을뿐더러 건강보험 직장 가입자 대상도 아니다.

 

주 15시간 미만 취업자는 2000년에는 43만6천명(2.1%)에 불과했으나 2005년 59만6천명(2.6%), 2010년 77만9천명(3.2%), 2015년 86만6천명(3.3%)으로 점차 늘어났다.

 

15시간 미만 취업자는 2012년을 제외하고는 매해 전년보다 늘었다. 특히 최근 몇 년간 증가세가 가팔랐다.

 

주 15시간 미만 취업자는 2018년(109만5천명·4.1%)에 전년 대비 13만5천명 늘어 100만명을 넘어섰고, 2019년(130만2천명·4.8%)에는 전년보다 20만7천명 급증했다.

 

코로나19 유행으로 거리두기가 시작된 2020년(130만4천명·4.8%)엔 2천명 증가하는 데 그쳤으나, 2021년(151만2천명·5.5%) 다시 20만8천명으로 증가 폭을 키웠다.

 

지난해 취업자를 산업별로 보면 사업·개인·공공서비스 및 기타 분야 주 15시간 미만 취업자가 93만5천명이었으며 전년보다 4만4천명 늘어난 수준이다.

 

도소매·숙박음식점업 분야 주 15시간 미만 취업자는 33만1천명으로 1만1천명 늘었다. 농림어업(14만4천명)에서는 1만6천명 늘었다.

 

이와 관련해 김유빈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단시간 근로자가 늘어난다는 것은 고용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기업들이 코로나19 장기화나 경기 침체 등을 고려할 때 불확실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단시간 위주의 일자리를 늘린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