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5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한강 벨트' 들썩…9·7 대책에도 서울 아파트값 3주째 오름폭 확대

'한강 벨트' 중심 신고가 속출…토지거래허가구역 추가 지정 무게
수도권 전반에 상승세 확산…분당·광명·과천 등 경기 주요지 주도

 

【 청년일보 】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정부의 9·7 공급 대책 발표에도 꺾이지 않고 오히려 확대되고 있다. 성동·마포·광진·송파·강동·용산 등 이른바 '한강 벨트'를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며 가격 상승세를 주도하는 모습이다.

 

25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9월 넷째 주(22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직전 주 0.12%에서 0.19%로 0.07%포인트 확대됐다. 이달 들어 서울 아파트값은 0.08%→0.09%→0.12%→0.19%로 3주 연속 오름폭을 키웠다.

 

서울 25개 구가 모두 상승세를 기록한 가운데 성동구가 0.59%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마포구(0.43%), 광진·송파구(각 0.35%), 강동구(0.31%), 용산구(0.28%) 등이 뒤를 이었다.

 

실제 신고가 거래도 잇따랐다. 성동구 금호동4가 '힐스테이트서울숲리버' 전용 84.83㎡는 지난 20일 22억3천만원(9층)에 거래돼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지난 2월 같은 면적이 18억5천만원에 팔린 것과 비교하면 불과 7개월 만에 4억원 가까이 올랐다.

 

마포구 아현동 '마포래미안푸르지오(마래푸)' 2단지 전용 59.97㎡는 지난 19일 21억5천만원(6층)에 팔려 사상 최고가를 갈아치웠다. 지난 4월 18억원에 거래된 같은 면적보다 3억5천만원이 오른 값이다.

 

이는 서울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가능성이 언급되는 가운데 규제 강화 전 갭 투자 매수가 몰린 영향으로 분석된다. 토허구역으로 지정되면 2년간 실거주 의무가 부과돼 전세를 낀 갭 투자가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이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내년 말까지 연장했지만, 마포·성동 등 한강 벨트 지역은 아직 대상에서 빠져 있다. 그러나 정부가 국토부 장관의 토허구역 지정 권한을 확대하는 입법을 추진 중이고, 이재명 대통령도 지난 11일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부동산 초과·투기 수요를 통제해야 한다고 강조한 만큼, 추가 지정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부동산원은 "재건축 추진 단지 및 대단지·역세권 등 선호 단지 위주로 매수 문의가 증가하고, 상승 거래가 포착되면서 서울 전역의 아파트값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서울뿐 아니라 수도권 전반으로도 상승세가 확산됐다. 수도권 아파트값은 직전 주 0.04%에서 0.07%로 오름폭이 커졌으며, 경기도는 0.01%에서 0.03%로 확대됐다. 성남 분당구(0.64%), 광명시(0.24%), 과천시(0.23%), 안양시 동안구(0.14%), 하남시(0.13%) 등이 상승세를 이끌었다.

 

인천은 보합(0.00%)을 유지했지만, 전국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은 0.03%로 3주 연속 확대됐다. 전세시장도 마찬가지로 수도권을 중심으로 오름폭이 확대됐다. 서울(0.09%), 경기(0.05%), 인천(0.04%) 모두 전주보다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며 수도권 전셋값 상승률은 0.06%로 집계됐다.

 

이 밖에 지방은 매매가격(-0.01%) 하락세가 이어졌으나, 전셋값은 0.03% 상승하며 수도권과 함께 전국적인 상승 흐흠을 나타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