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1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공무원 '가족돌봄휴가' 이르면 연내 시행…연 최대 10일 무급휴가

유급휴가 적용은 미성년 자녀와 장애인인 성년 자녀를 돌볼 때로 제한

 

【 청년일보 】 이제 공무원들도 연 10일까지 미성년 자녀 뿐 아니라 부모나 손자녀 등 가족 돌봄을 위한 무급휴가를 쓸 수 있게된다.

 

지금까지는 미성년 자녀를 돌볼 때 경우에만 연 3일까지 유급휴가를 사용할 수 있었다.

 

인사혁신처는 27일 가족돌봄휴가 도입을 위한 국가공무원 복무규정 개정안을 내달 입법예고하고 이르면 연내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민간 부문에선 이미 올해 1월부터 가족돌봄휴가 제도가 시행중이다.


인사처는 가족돌봄휴가로 현재 운영중인 자녀돌봄휴가를 통합하고, 돌봄대상을 '자녀'에서 '가족'으로 확대 실시한다.

 

가족엔 자녀와 함께 배우자, 부모, 배우자 부모, 조부모, 손자녀가 포함된다.

 

민간 부문과 동일히 가족의 질병·사고·노령·양육 등을 위한 무급휴가 사용을 연 10일까지 허용하되, 자녀 돌봄의 경우에는 지금처럼 최대 3일간 유급휴가를 적용한다.

 

돌봄 휴가를 대상인 자녀의 범위도 미성년 자녀에서 성년인 자녀까지 확대한다. 다만 유급휴가 적용은 미성년 자녀와 장애인인 성년 자녀를 돌볼 때로 제한한다.

 

아울러 자녀의 유치원·학교의 휴원·휴교, 감염병 등으로 인한 재택수업 때도 돌봄휴가를 쓸 수 있도록 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지금은 유치원·학교 공식행사나 교사 상담, 미성년 자녀 병원 동행 때만 자녀돌봄 휴가를 사용할 수 있다. 

 

 

【 청년일보=최태원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