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지난 1일 대구 연호공공주택지구 부동산 투기 의혹과 관련해 경북 경산시에 있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대구경북지역본부 대구동부권 보상사업단 사무실을 압수수색 후 떠나고 있다.[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10415/art_16183592706372_b2031c.jpg)
【 청년일보 】 공공기관 비위 임직원에 대한 징계 건수가 최근 2년 연속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현 정권 후반으로 갈수록 공공기관 비위에 대한 관리 감독이 느슨해진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14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338개 공기업·공공기관 임직원의 징계처분 현황을 전수 조사한 결과 2018년 1913건이던 징계처분 건수가 지난해 1603건으로 16.2% 줄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첫해인 2017년 1404건이던 징계 건수는 2018년 적폐청산 등 사정 분위기로 1900건을 넘기며 급증한 뒤 2019년 1818건, 2020년 1613건으로 2년 연속 감소 추세다.
![공무원 부동산 투기. [이미지=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10415/art_16183574377455_61a696.jpg)
이 가운데 공기업은 2018년 771건이던 징계 건수가 2020년 537건으로 줄었고 준정부기관은 451건에서 422건으로 감소했다. 기타공공기관은 691건에서 644건으로 줄었다. 징계처분 건수 대비 고발 건수 비중은 전체 공기업·공공기관을 통틀어 2018년 4.3%에서 지난해 2.5%로 감소했다.
이중 공기업은 2018년 2.9%에서 지난해 0.9%, 준정부기관은 6.7%에서 4.0%로 각각 줄었다. 기타공공기관의 징계 건수 대비 고발 건수도 4.3%에서 2.8%로 감소했다.
최근 3기 신도시 투기 논란의 중심에 선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지난해 임직원 고발 건수는 단 한 건도 없었다.
CEO스코어 박재권 대표는 "공공기관 비위 임직원에 대한 징계처분이 줄었다는 것은 그만큼 부정부패가 줄었다고 볼 수도 있지만 정권 후반으로 가면서 관리감독이 느슨해진 측면이 더 크다"고 말했다.
기관별로 지난해 가장 많은 징계처분이 있었던 곳은 한국철도공사로 96건에 달했다. 이어 한국전력공사(91건), 코레일테크(53건), 한전KPS(48건),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48건), 한국수력원자력(37건), 서울대학교병원(35건), 한국토지주택공사(34건) 등이 뒤를 이었다.
징계처분의 이유로는 직무태만·회계 비위 등 '성실의무위반'이 전체의 66.3%(1063건)로 가장 많았고 성희롱·음주운전·괴롭힘 등을 포함한 '품위유지위반' 21.8%(349건), 금전·향응수수 등 '청렴의무위반' 3.4%(54건), 지시사항 불이행 등 '복종의무위반' 2.6%(41건) 등이었다.
![ 2017~2020년 공기업 및 공공기관 징계처분 현황. [표=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10415/art_16183573258074_b16c69.jpg)
【 청년일보=강정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