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년일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따라 방역당국이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을 두고 고심하고 있다. 사회 경제적 차원에서 문제와 함께 방역 차원에서 코로나19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수가 증가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를 두고 우려가 제기되기 때문이다.
방역 당국은 확진 규모도 중요하지만 위중증·사망, 의료체계 관리 여력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정부는 17일 '제8차 코로나19 일상회복 지원위원회' 영상회의를 열고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에 대해 논의했다. 일상회복 지원위원회는 정부 관계자와 경제·사회·자치·방역 분야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정책 자문기구다.
정부가 연일 거리두기 완화 가능성을 시사한 가운데, 이날 위원회에서는 사적모임 규모와 다중이용시설의 운영시간 제한 조정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이날 위원회 회의 내용을 반영해 거리두기 조정안을 결정하고 오는 18일 발표한다.
정부는 식당, 카페 등의 매장 영업시간을 오후 10시까지로 1시간 더 늘리고, 사적모임 인원을 8인까지 허용하는 등의 방법을 두루 검토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백브리핑에서 거리두기 조정에 대해 "거리두기는 중증·사망을 최소화하고 의료체계 과부하를 예방하는 것이 목표"라며 "확진 규모도 중요하지만 위중증·사망, 의료체계 관리 여력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겠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질병관리청은 이날 위원회 회의에서 코로나19 유행 상황에 대해 지난 설 연휴 인구 이동과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인해 지난주(2.6∼12) 확진자 수가 직전주(1.30∼2.5)의 배 이상이 됐고, 위중증·사망자 수도 최근 증가세로 전환됐다고 설명했다.
또 60세 이상 확진자 수가 큰 폭으로 증가해 위중증·사망자 수가 계속 증가한다고 내다봤다.
위중증 환자는 하루 만에 76명 늘어 이날 0시 기준 389명으로 400명에 근접했다.
질병청은 지금의 확진자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유행 정점 시기와 규모를 예측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은 의료대응 체계와 사회·경제 필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행 정점까지 의료·방역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오미크론 변이 영향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는 가운데 유행 규모가 다음 달 중순 확진자 27만명 수준에서 정점을 찍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국가수리과학연구소에서 코로나19 확산 예측을 연구하는 심은하 숭실대 수학과 교수는 17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코로나19 유행의 정점에 대해 "3월 중반이 되지 않겠는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심 교수는 다른 나라에서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된 시기와 유행의 정점에 도달한 시기의 간격을 비교 분석하면 이러한 추정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