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0 (일)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갈 길 바쁜 韓 UAM 기술…세계 최고의 60∼70% 불과

전경련,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동향 및 과제’ 보고서 발표
UAM 기체 개발 중인 국내 기업 4곳, 美 130개, 英 25개, 獨 19개
“기술 경쟁력 확보 및 기업들의 참여 확대 위해 투자 지원 절실”

 

【청년일보】 도심의 교통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으로 도심항공모빌리티(UAM)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관련 기술 수준은 아직 세계 최고의 60~7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동향 및 과제’ 보고서를 통해 다양한 전후방 연관 산업으로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은 UAM 생태계 육성을 위해 정부의 투자 지원과 관련 규제 개선, 상용화 기반 마련 등 활성화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28일 밝혔다.

 

UAM은 기체와 부품, 이착륙시설, 운항서비스와 관제, 교통연계플랫폼, 항공정비 등 도심항공 이동수단과 관련한 사업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첨단기술이 집약된 친환경 미래형 교통수단으로 평가된다.

 

UAM의 특징으로는 별도 활주로가 필요 없고, 최소한의 수직이착륙 공간만 확보되면 운용이 가능해 포화상태인 도심 교통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해 탄소 배출이 없고 저소음으로 도심에서 운항이 가능한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각광받는다.

 

UAM 활용분야는 화물운송(Last-mile delivery), 승객운송(Air Metro, Air Taxi)로 분류할 수 있다. 소형기체를 활용한 화물운송은 시범사업이 진행중인 반면, 승객운송은 기체 안전성 검증, 각국 정부의 인증 절차 등으로 아직 본격적인 사업 시작 전단계로, 대부분의 기업들이 아직 기체 개발 단계이지만 일부 기업들은 시험비행에 성공해 상용화를 추진중에 있다.

 

각국의 인증 절차가 마무리되면 상용화도 빨라질 것으로 보이는데, 미국 항공우주국 나사(NASA)는 2028년∼2030년에는 수익 실현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UAM 산업은 비행체 개발뿐만 아니라 연료전지(수소, 전고체배터리 등), 자율주행, 운송서비스, 신소재, 방위산업 등 산업 파급력이 매우 큰 산업으로 시장 규모도 2040년에는 1조 4739억 달러(한화 약 1800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활용분야별로 보면 승객수송 기체 시장 규모 8510억 달러(한화 약 1000조원), 화물운송 4130억 달러(한화 약 500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상황은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이다. UAM 기체 개발 중인 기업은 미국 130개, 영국 25개, 독일 19개, 프랑스‧일본 12개다. 반면 한국의 경우 전세계 기체 개발 기업(343개)의 1.2%에 불과한 4개(현대자동차, 대한항공, KAI, 한국항공우주연구원)뿐이다.

 

하지만, 아직 UAM 산업 형성 초기단계로 최근 한화시스템, 현대자동차 등 기술력을 보유한 대기업들이 SK텔레콤, KT 등 통신사, 인천 및 김포 공항 등과 컨소시엄을 구축해 2025년 상용화를 목표로 시범사업을 추진중에 있고, 투자도 적극적으로 하고 있어 상황이 비관적이지만은 않다는 분석이다.

 

앞서 우리나라 정부도 2025년 상용화를 목표로 제도, 시험·실증, 서비스·인프라 구축, 기술개발 등 중장기 K-UAM 로드맵과 기술로드맵을 발표하고 범정부 차원의 지원을 하고 있다.

 

다만 전경련은 자율비행기술, 모터, 관제 등 아직 주요 분야의 기술 수준은 세계 최고 수준의 60%∼70%에 불과해, 기술 경쟁력 확보, 기업들의 참여 확대를 위해 투자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UAM 산업은 다양한 전후방 연관 산업으로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으나, 산업 형성 초기 단계로 국제경쟁력이 취약하고 기술 경쟁력이 낮아 정부의 투자 지원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우리가 기체 개발 등 항공분야 기술력은 약하지만, 배터리, ICT 기술력 등 강점을 가진 분야 중심으로 글로벌 UAM 시장 기회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는 수도권 비행제한 완화, 데이터 공유제한 완화 등 관련 규제를 개선하고 상용화 기반 마련 등 활성화 정책을 적극 추진해야한다”고 부연했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