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문] 배려하고 공감하는 병무행정
경기도에거주하고있는김군은백일무렵,화재로인하여얼굴을비롯한전신에심한화상을입었고,그로인해지체하지기능장애인판정을받았는데,한참민감한중학생시기에급우들의놀림과사람들의시선이싫어서학교를자퇴했다고한다. 대한민국남성은병역법에따라19세가되면병역의무이행의첫관문인징병검사를받아야하는데,김군도예외는아니었다.김군은두살때화상을입어지체하지기능장애인으로등록되었기에현재는장애정도가호전되어직권면제대상이되지않아징병검사를통해서만병역에대한감면이가능했다. 장애인병역감면업무담당자인필자는당시김군의장애진단서상의하지장애보다는전신화상에가깝다는담당의사소견과,학교를자퇴할정도로사람이많은장소를꺼려하며가정형편도좋지않아화상재건수술을받지못하고있다는사실을김군의부모와상담하는과정에서알게되었다. 김군의부모는아들의사정을이야기하며징병검사에아들을참석시키겠다고했지만,또래들앞에서화상입은얼굴로반나절시간을보내야할아들로인해무척이나마음아파했다. 김군의사연을듣고필자는장애등록등행정절차를잘모르는부모를대신해화상전문병원및안면장애인협회에자문을구했고거주지주민센터에도협조를요청했다.그결과2015년12월,화상을입은지18년만에김군은안면장애인으로등록을하게되었고,징병검사를받지않고병역을면제받을수있었다. 김군의사례에서와같이신체적또는정신적장애로거동이불편하거나징병검사에출석이어려운
- 김진희 경인지방병무청 주무관
- 2016-08-14 2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