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CJ제일제당은 글로벌 K-푸드 대표 브랜드 비비고가 세계적 권위의 독일 ‘iF 디자인 어워드 2025(International Forum Design Award 2025)’에서 본상을 수상했다고 28일 밝혔다. 비비고는 지난해 2월 새단장한 로고와 제품 패키지 디자인 등 새로운 브랜드 VI(Visual Identity, 비주얼 정체성)로 글로벌 소비자에게 일관된 브랜드 이미지를 전달한 점을 높게 평가받아 ‘커뮤니케이션’ 부문 본상에 선정됐다. 비비고의 새 타원형 로고는 ‘한식에 대한 열정과 이를 함께 나누는 사람들 사이의 연결’이라는 의미를 ‘밥상’으로 형상화한 것이 특징이다. 기존의 비빔밥을 담는 돌솥 모양 로고에서 벗어나 K-푸드의 외연을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하고자 하는 의지를 담았다. 또한 이전에 영문만 표기했던 것과 달리 한글을 함께 넣어 한국의 브랜드라는 점이 각인될 수 있도록 했다. CJ제일제당은 비비고 브랜드 리뉴얼 후 ‘Live Delicious’라는 슬로건을 앞세운 온∙오프라인 캠페인을 통해 글로벌 Gen-Z 세대 소비자들과 소통했다. 이와 함께 지난해 여름 파리 올림픽 기간에는 현지에 마련된 대한체육회의 ‘코리아하우스(Kor
【 청년일보 】 스타벅스 코리아는 장충라운지R점에서 프리미엄 소형 자동차 브랜드 MINI 코리아와 협업한 특별 전시를 진행하며, 고객에게 이색적인 커피 경험을 선사한다고 28일 밝혔다. 지난해 9월 오픈한 스타벅스 장충라운지R점은 지난 1960년대로의 시간여행을 콘셉트로, 초인종, 벽난로, 차고 등 과거와 현재를 잇는 감각적인 인테리어와 실제 그 시절 저택에서 즐기는 듯한 커피 경험으로 입소문 타며, MZ세대의 인증샷 핫플로 자리매김했다. 이번 MINI와의 협업 전시는 과거와 현재를 잇는 ‘그 시절, 아버지의 차고에서 즐기는 스타벅스 커피’를 주제로, 두 브랜드의 헤리티지를 느낄 수 있는 요소로 가득 채웠다. 매장 정문을 들어서면 제일 먼저 만날 수 있는 차고와 아지트 공간을 배경으로, MINI의 클래식 차량을 비롯해 스타벅스 MD 등을 전시하고, MINI 콘텐츠를 LP커버에 담은 특별 사진전을 진행한다. 아울러, 마치 드라이브하며 음악을 듣는 듯한 경험을 제공하고자 MINI 차량 모형의 음악 감상 체험 공간도 마련했다. 스타벅스는 MINI와의 이색 협업을 기념해 다양한 고객 참여 이벤트도 진행한다. 장충라운지R점에서 제조 음료를 포함해 2만5천000원 이상
【 청년일보 】 빙그레는 자사의 브랜드 캠페인 ‘빙그레 비밀학기’가 ‘2024 앤어워드’에서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장상을 수상했다고 28일 밝혔다. 빙그레 비밀학기는 디지털 광고, 캠페인 식음료 부문에서도 그랑프리(대상)을 수상하며 이번 시상식에서 2관왕에 올랐다. 앤어워드는 한국디지털기업협회가 주관하는 국내 최대 디지털 분야 시상식으로 한 해 동안 디지털 산업에 기여한 우수 사례를 심사해 시상한다. 빙그레가 수상한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장상은 총 6개 캠페인에게만 수여되는 최고 권위의 상인 기관장상이다. ‘빙그레 비밀학기’는 바쁜 일상 속 현대인들에게 소소한 재미를 선사하고자 기획된 참여형 캠페인으로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온·오프라인 프로모션의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번 캠페인은 약 73만명이 참여했고 굿즈 신청 수량이 2만6천명을 기록할 만큼 큰 인기를 얻었다. 또한 화제의 인플루언서와 오프라인 장소와의 협업을 통해 Z세대 고객과의 친밀도를 향상시키는 차별적인 브랜드 캠페인 방향성을 제시했다. 빙그레 관계자는 “앞으로도 브랜드와 소비자 사이에서 공감대를 형성하고 유대감을 강화할 수 있는 캠페인을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 청년일보=신현숙 기자 】
【 청년일보 】 카페인에 민감한 고객들의 선택 폭이 넓어지고 있다. 특히 건강을 위해 카페인·당·칼로리 등의 성분을 낮춘 '로우 스펙 푸드'의 인기가 이어지며 디카페인 시장도 큰폭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8일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디카페인 생두·원두 수입량은 7천23톤으로 전년 대비 7.7% 늘었다. 디카페인 커피 수입량은 지난 2018년 1천724톤에서 2023년 6천521톤을 기록해, 5년만에 278% 증가한데 이어, 지난해 7천톤을 돌파한 것이다. 전체 커피 시장에서 디카페인 커피가 차지하는 비중 또한 2018년 1.09%에서 2023년 3.39%로 늘어났다. 국내 소비자의 디카페인 커피 섭취 빈도를 살펴보면 2019년 이후 꾸준하게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디카페인 커피는 카페인에 민감한 사람들이 주로 찾는 제품이었지만, 최근에는 즐겁게 건강을 추구하는 '헬시 플레저(Healthy Pleasure)' 유행과 디카페인 제품의 맛과 품질이 향상되며 일반 소비자들도 꾸준히 찾는 것으로 분석됐다. ◆ 건강 중시 트렌드가 판매 견인…국내 커피 프랜차이즈 '디카페인' 제품도 호조 디카페인 커피에 대한 관심과 수요 확대는
【 청년일보 】 서울우유협동조합이 저당·제로슈거 열풍에 힘입어 신제품 ‘올데이프룻 제로 청매실(250m)’을 출시한다고 27일 밝혔다. 최근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가 대세로 자리 잡으면서 당 섭취를 줄일 수 있는 저당·제로슈거 음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서울우유는 과즙 음료 브랜드 ‘올데이프룻 제로 청매실’을 새롭게 선보이며 제품 라인업을 확장하게 됐다. 신제품 ‘올데이프룻 제로 청매실’은 제로칼로리, 당 0g으로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과즙 음료다. 과일 농축액을 주원료로 만들어 제로칼로리에 당 0g이지만 새콤달콤한 매실의 맛과 향은 그대로 살렸다. 또, 풍부한 비타민C와 식이섬유 함유로 영양까지 챙겼다. ‘올데이프룻 제로 청매실(250ml)’은 대형마트, 편의점, 온라인 등에서 만나볼 수 있다. 유동훈 서울우유 음료마케팅팀 팀장은 “즐겁게 건강을 관리하는 헬시플레저(Healthy Pleasure) 트렌드를 반영해 맛과 건강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올데이프룻 신제품을 선보이게 됐다”며 “앞으로도 고객 소비 트렌드와 니즈를 반영해 서울우유만의 차별화된 제품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 청년일보=신현숙 기자 】
【 청년일보 】 빙그레가 고칼슘 강화우유 신제품 ‘아연 플러스 우유’를 출시한다. 이 제품은 정상적인 면역기능에 필요한 아연은 물론, 뼈 형성에 필요한 칼슘과 칼슘이 흡수되고 이용되는데 필요한 비타민 D를 함유하고 있다. 가장 신선한 1A등급 원유만을 100% 사용했으며, 무기질 강화로 건강 관리에 신경쓰는 중장년층은 물론 일상 속 편리하게 아연을 섭취하고 싶은 사람이면 누구나 즐길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빙그레는 이번 제품 출시를 통해 기능성 우유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저변을 넓히고자, 27일부터 내달 26일까지 일반 소매점(일반 슈퍼마켓)에서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출시 기념 경품 이벤트를 진행한다. 매대 댕글러나 제품에 부착된 스티커 홍보물에 삽입된 QR 코드를 스캔해 영수증 사진을 문자로 전송하면 자동 응모되며, 이벤트 종료 후 추첨을 통해 안마의자, 상품권, 기프티콘 같은 다양한 경품들이 발송된다. 빙그레 관계자는 “신제품 ‘아연 플러스 우유’는 정상적인 면역기능과 뼈 형성에 필요한 영양성분을 동시에 챙길 수 있는 높은 가치를 지닌 제품이다”며 “앞으로도 건강을 고려한 다양한 프리미엄 제품들을 선보이겠다”라고 밝혔다. 【 청년일보=신
【 청년일보 】 파리바게뜨가 프리미엄 브랜드 ‘파란라벨(PARAN LABEL)’을 론칭하고, 전국 3천400여개 매장을 통해 건강빵 대중화에 나선다. 파리바게뜨는 즐겁게 건강을 관리하는 헬시 플레저(Healthy Pleasure) 열풍과 신체 노화 속도를 늦추는 저속노화 트렌드에 주목해 이 브랜드를 선보였다. 파란라벨은 ‘건강빵의 새로운 기준’을 슬로건으로 파리바게뜨의 독자적인 발효 기술과 엄선된 원료를 기반으로 '밥만큼 든든한 빵'을 선보인다. 브랜드명에 ‘파란(Blue)’과 고급 제품라인에 활용되는 단어 ‘라벨(Label)’로 파리바게뜨의 아이덴티티와 프리미엄 이미지를 표현했다. 파란라벨의 제품들은 ‘맛과 영양의 최적 밸런스’를 모토로 삼았다. 그동안 건강빵들은 식감이 거칠고 맛이 떨어진다는 인식이 있어 시장이 크게 성장하지 못했다. 허영인 SPC그룹 회장이 원천 기술 확보와 기초 소재 연구를 위해 설립한 SPC식품생명공학연구소는 이러한 편견을 깨기 위해 지난 2020년부터 핀란드 헬싱키 대학교와 함께 한국형 노르딕(Nordic, 북유럽) 건강빵 개발을 위한 산학공동연구를 진행했다. 북유럽 빵은 호밀·귀리 등의 통곡물을 활용해 식이섬유뿐만 아니라 비타민·
【 청년일보 】 롯데칠성음료가 4세대 맥주 크러시 1.6L 투명 페트를 리뉴얼하고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새로운 광고 캠페인을 전개한다. 이번 리뉴얼은 크러시 맥주병의 크리스탈 컷팅룩과 하프라벨 디자인을 적용해 젊은 감각과 시각적 청량감을 돋보이게 만들었다. 특히, 저비중 라벨의 도입으로 분리수거와 재활용 편의성까지 높인 점이 특징이다. 롯데칠성음료의 크러시 투명 페트병은 환경부의 페트 맥주병 재질·구조 개선 자발적 협약을 이행한 제품으로, 유색 페트병 대비 분리배출에 용이한 패키지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기존 풀(Full)라벨에서 새롭게 도입한 하프(Half)라벨 방식은 재활용 공정상 물에 뜨는 친환경 수축라벨을 사용해 환경부로부터 리뉴얼 전인 ‘재활용 우수’ 등급보다 한 단계 더 높은 ‘재활용 최우수’ 등급을 부여 받았다. 롯데칠성음료는 이번 크러시 1.6L 페트 리뉴얼에 맞춰 유튜브 등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REBORN For RECYCLE’을 콘셉트로 광고 캠페인을 전개할 예정이다. 해당 캠페인은 기존 맥주 광고의 일반적 서사를 따르지 않고 4세대 맥주다운 크러시만의 투명한 매력을 앞세워 ‘지키고 싶은 모든 것들을 위해 다시 태어나다, 투명하게’라는
【 청년일보 】 KT&G가 '2025 KT&G 상상실현 페스티벌 춘천'의 티켓 예매를 오는 28일 오후 6시부터 멜론티켓에서 시작한다. 티켓 가격 및 지역주민 할인 등 자세한 사항은 상상마당 홈페이지와 인스타그램, 멜론티켓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5 KT&G 상상실현 페스티벌'은 4월 19일과 20일 양일간 상상마당 춘천에서 개최된다. 이번 페스티벌에는 '장기하', '카더가든', '실리카겔' 등 뮤지션들과 상상마당 아티스트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발굴된 신진 뮤지션들도 참가해 개성 있는 라이브 공연을 선보일 예정이다. '상상실현 페스티벌'은 KT&G가 문화예술 저변 확대와 지역 문화 활성화를 위해 지난 2012년 첫선을 보인 복합문화예술축제다. 해당 행사는 뮤지션들의 공연과 다채로운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대표적인 지역 문화 축제로 자리매김해, 매 회차 티켓 오픈과 동시에 매진 행렬을 이어오고 있다. 심영아 KT&G ESG경영실장은 "이번 페스티벌은 상상마당 20주년을 맞아, 상상마당과 함께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한 마음을 담아 준비했다"며, "국내 정상급 뮤지션부터 신진 아티스트까지 다채로운 공연
【 청년일보 】 남양유업이 지난해 국내 오프라인 경로 분유 시장에서 매출 1위를 차지했다고 27일 밝혔다. 특히 5년 연속 매출액 1위를 기록하며 국내 대표 분유 제조사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식품산업통계정보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소매점(POS) 기준 분유 매출액은 약 235억원으로 전년 대비 2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유 시장이 축소하는 상황에서도 남양유업은 약 63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시장 점유율을 직전연도 23.3%에서 26.7%로 약 3.4%p 확대하며 1위 자리를 유지했다. 남양유업 관계자는 “저출산 및 소비 패턴 변화로 인해 전체 분유 시장이 축소되고 있지만, 남양유업은 품질 중심의 프리미엄 제품 강화와 유통 전략 최적화를 통해 꾸준히 소비자 신뢰를 얻고 있다”고 분석했다. 남양유업은 1967년 국내 최초 국산 조제분유를 선보인 이후 끊임없는 제품 개발과 품질 개선 노력을 통해 시장을 선도해왔다. ▲임페리얼XO ▲아이엠마더 ▲유기농 산양유아식 등이 있다. 또한 일반 분유 섭취가 어려운 희귀 질환 환아를 위한 ▲특수분유 ‘케토니아’ 등을 생산하며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제품군을 지속적으로 생산하고 있다. 남양
【 청년일보 】 오리온은 2024년 출시 50주년을 맞은 '초코파이情'의 글로벌 판매량이 40억개를 넘어서며 역대 최대 판매량을 기록했다고 27일 밝혔다. 금액으로는 5천800억원을 달성했다. 1974년 출시 이래 누적판매량은 500억개를 돌파했으며, 누적 매출로는 8조원을 넘어섰다. 해외에서만 전체의 67%에 달하는 5조5천억원의 누적 매출을 올리며 국내 식품업계에서도 유례없는 성과를 냈다. 오리온 초코파이는 제품력으로 전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오리온이 글로벌 식품회사로 성장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됐다. 수 십 년간 쌓아온 글로벌 사업 역량을 바탕으로 국가별 문화와 트렌드에 발맞춘 신제품을 출시하는 등 현지화 전략으로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 오리온 초코파이 고유의 정서적 아이덴티티인 '정(情)'이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 자리잡은 것도 주효했다. 해외 시장에 진출한 지 30년을 넘어서며 글로벌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초코파이가 세대를 넘어 가족, 친구들과 함께 마음을 나누는 제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현재 초코파이는 전 세계 60여개 국가에서 총 24종이 판매되고 있다. 한국, 중국, 베트남, 러시아, 인도에서는 현지 생산시설을 구축하고 글로벌
【 청년일보 】 국내 최대 호텔·리조트 기업 대명소노그룹은 티웨이홀딩스 지분 46.26%를 2천500억원에 인수하는 계약 체결을 통해 티웨이항공의 추가 지분과 경영권을 확보한다고 밝혔다. 대명소노그룹은 티웨이항공 지분 28.02%(6천35만1천346주)를 보유한 티웨이홀딩스 지분 46.26%를 2천500억원에 인수하는 주식매매계약(SPA)을 26일 체결했다. 이로써 대명소노그룹은 티웨이홀딩스가 보유하고 있던 티웨이항공 지분 28.02%와 기존 보유분 26.77%(5천766만4천209주)를 더해 54.79%(1억1천801만5천555주)의 지분을 가지게 됐다. 대명소노그룹은 이번 인수와 함께 ▲항공 안전 및 정비 역량 강화와 전문인력 확대 ▲수익성 증대 ▲레저-항공 산업 간 시너지에 대한 미래 비전을 제시했다. 대명소노그룹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은 ‘항공 안전’을 기업 경영의 최우선의 가치로 삼겠다”라며 “이를 위해 국제 안전 기준에 맞는 엄격한 운항 절차와 규정 준수, 항공기 정비 및 점검 시스템 등 안전에 대한 투자를 더욱 강화하겠다”라고 전했다. 또한 “티웨이항공은 단거리 노선 위주의 국내 LCC와 달리 유럽 등 중장거리 노선까지 보유한 만큼 조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