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최근 서울시에서 1인 가구 실태를 조사한 결과 사망·전출 등으로 제외된 6천여 가구를 빼고 서울에서만 5만2천여 가구가 '고독사 위험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독사 문제는 서울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전국적으로 나타나는 이슈다. 보건복지부 '2022년 고독사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 2017년부터 2021년까지 고독사 발생 건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고독사가 증가하는 원인으로 1인 가구 중심의 가족 구조 변화와 주 변인들과의 단절 등을 원인으로 뽑았다. 2021년 기준 고독사 연령별 비중은 50~60대 비율이 매년 52.8%~60.1%로 전체 고독사 중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전체 사망자는 고연령자일수록 사망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져 80대 이상의 비중이 높으나, 고독사는 50~60대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특징이 있다. 1년에 대략 3만 명 정도 고독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일본은 고독 고립 담당 장관을 따로 임명해 고령화, 자살 증가 문제를 함께 다루며 추진하고 있고 영국은 2018년도에 고독사 문제를 전담하는 고독부를 세계 최초로 신설하기도 했다. 고독사는 사회적 이슈로 나타난 지 오래되지 않았기에 아직
【 청년일보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관련해 해안방류의 시운전에 착수한 일본은 2주 정도의 기간 동안 시운전을 진행한 후, 올 여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후쿠시마 오염수 처리 후 방류의 한국 영향에 관해 한국원자력학회는 "우리 국민이 오염수 방출로 인해 받을 수 있는 방사서 피폭은 무시할 만한 수준이므로 우리나라 수산업과 자영업자가 부당한 피해를 입지 않도록 과도한 방사능 공포 조장 행위를 자제하도록 요청한 바 있다"며 "실증적 자료와 다양한 과학적 분석에 따르면 후쿠시마 원전에서 처리된 오염수의 방출은 우리 국민의 건강과 우리나라 해양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없으며, 우리 국민은 안심하고 식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 근거 중 하나로 2011년 후쿠시마 사고 진행 과정에서 많은 양의 오염수가 태평양으로 방출됐으나, 12여 년간 우리나라 해역에 유의미한 방사능 증가가 관측되지 않았다고 한다. 하지만 아직 다양한 기사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가 아직 불안정하다는 기사를 볼 수 있다. 이를 보는 시민들은 여전히 방류에 대한 걱정이 유지될 수밖에 없다. 또한 이러한 걱정과 함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대한 이슈와 소금값에 대한 이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