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뇌사 시 장기기증이란 불의의 사고나 질병으로 뇌의 기능이 완전히 소실되어 회복될 가능성이 없을 때 심장, 신장, 간장, 폐 등 장기를 기증하여 이식이 필요한 환자에게 새 생명을 얻게 하는 것을 말한다. 2017년 장기기증 후 유족이 직접 시신을 수습한 일이 전국에 보도되며 자리 잡게 된 장기기증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서부터 여전히 회복 중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장기이식 대기자는 4만4천27명이었으며 평균 대기시간은 2천115일로 장기이식을 5년 이상 기다려야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렇게 5년 이상 기다린다고 해도 모두가 장기이식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장기이식 대기자는 지난 5년간 빠르게 증가하는 반면 뇌사 장기 기증자 수는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차례로 442명, 405명, 483명, 397명으로, 400명 안팎이며 많은 장기이식 대기자에 비해 뇌사장기기증자는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실제로 2023년 이식 대기 중 사망자 수는 총 2,907명이었으며, 하루에 약 8명꼴로 사망하였다. 2020년 기준으로 미국과 스페인의 뇌사 기증률(명/인구백만명당)은 각각 38.03%, 37.40%이지만 한국은 9.22%로 현저
【 청년일보 】 급성심장정지(sudden caridac arrest)란 심장의 활동에 심각한 저하가 있거나 멈춘 상태로, 대부분 즉각적인 의식소실이나 허탈 상태 등이 유발되고 즉시 치료되지 않으면 환자가 사망하게 된다. '급성심장정지조사(2023년 12월 공표)'에 따르면, 119구급대 이송 건수 기준 병원 밖에서 발생한 급성심장정지 환자 수는 2022년 기준 3만5천18명(인구 10만명당 68.3명)으로, 역대 가장 높다. 이 중 남자가(63.9%)가 여자(36.1%)보다 많았고 연령이 높을수록 환자가 많이 발생하는데 특히 70세 이상의 발생이 전체의 53.9%를 차지하였다. 대부분 아동의 심정지는 질식에 의한 심정지인 것과 달리, 성인의 심정지는 대부분 심실세동(심장의 박동에 의해서 심실의 각 부분이 불규칙적으로 수축하는 부정맥)에 의한 심정지이므로 심폐소생술 못지않게 자동심장충격기(AED, 자동 제세동기) 사용이 중요하다. 자동심장충격기(AED)는 심전도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제세동이 필요한 심장정지를 구분해 주며, 제세동이 필요한 심실세동(부정맥)이 발생한 환자에게 극히 짧은 순간에 강한 전류를 심장에 통과시켜 심실세동을 종료시키고 심장이 다시 정상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