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국토교통부는 기아, 현대차, 한국GM, 혼다코리아에서 제작하거나 수입·판매한 22개 차종 30만7천517대에서 제작 결함이 발견돼 자발적 시정조치(리콜)한다고 17일 밝혔다. 기아 K7 13만7천553대는 전자제어유압장치(HECU) 내구성 부족으로 화재 가능성이 발견돼 전날부터 시정 조치에 들어갔다. 현대차 넥쏘 등 4개 차종 3만6천122대는 화재 시 수소탱크 내 수소를 배출하는 부품인 '온도 감응식 압력 해제 밸브' 제조 불량으로 20일부터 시정조치에 들어간다. 기아 쏘렌토 하이브리드 등 2개 차종 10만23대, 현대차 아이오닉5 2천517대는 주간주행등이 정상 작동하지 않아 각각 18일, 24일부터 리콜 대상이 된다. 한국지엠 트랙스 크로스오버 등 13개 차종 3만1천57대는 연료펌프 컨트롤 모듈 내구성 부족 문제로 시동이 꺼질 가능성이 제기돼 23일부터 리콜된다. 혼다 PILOT 245대는 연료탱크 파이프와 연료 주입구의 체결 불량에 따른 연료 누출 가능성으로 20일부터 시정조치에 들어간다. 차량의 리콜 대상 여부와 구체적인 결함 사항은 자동차리콜센터에서 차량번호·차대번호를 입력하고 확인할 수 있다. 【 청년일보=최철호 기자 】
【 청년일보 】 중국의 BYD(비야디)가 한국 승용차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17일 BYD코리아는 BYD 승용차의 판매를 담당할 딜러 파트너사로 DT네트웍스, 삼천리이브이, 하모니오토모빌, 비전모빌리티, 지엔비모빌리티, 에스에스모터스 등 6개사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딜러로 선정된 6개사는 내년 초 BYD 승용차 브랜드 출범 후 국내에서 BYD 승용차에 대한 판매 및 AS 서비스, 고객 관계 등을 담당하게 된다. BYD는 현재까지 진출한 전세계 99개 국가와 지역에서 모두 딜러 체제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전기차를 처음 접하는 고객들에게 대면 방식을 통해 전기차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전달해 정확한 이해를 돕고, 전기차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등 고객 체험의 질과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조인철 BYD코리아 승용 사업부문 대표는 "한국 고객분들에게 최고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충분한 역량을 갖추었는가를 우선 가치로 두고 6개사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는 딜러 선정이 완료된 단계로, 권역별 전시장 및 서비스센터 개소 등에 대한 상세 내용은 추후 안내해 드릴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BYD코리아는 승용차 브
【 청년일보 】 올해 국내 신차 등록 대수가 11년 만에 가장 적을 것으로 보인다. 17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올해 1∼11월 국내 신차 등록 대수는 총 149만8천331대로, 작년 동기(159만6천4대) 대비 6.1% 감소했다. 올해 연간 등록 대수는 164만대 정도로 예상되는데 이는 지난 2013년 154만3천565대 이후 가장 적은 수치다. 이 경우 올해 국내 신차 등록 대수는 11년 만에 최소를 기록할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자동차 업계 탈탄소화 여파로 기존 내연기관차(휘발유차·경유차) 등록은 크게 준 반면 그 자리를 메꿔야 할 친환경차(하이브리드차·전기차 등) 등록은 그만큼 늘지 못한 것이 전체 등록 대수를 끌어 내렸다고 분석했다. 신차 등록 중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는 휘발유차는 올해 1∼11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8.5%(76만9천919대→62만7천835대) 줄었다. 경유차는 27만4천252대에서 11만7천931대로 57.0% 급감했다. 두 차종의 등록대수 감소량은 무려 30만대에 이른다. 반면 올해 1∼11월 하이브리드차 등록 대수는 45만5천468대로 역대 최다였지만 작년 같은 기간(35만3천637)과 비교
【 청년일보 】 지난 11월 자동차 수출액이 미국 현지 공장 가동과 기상악화에 따른 선적량 감소 등 영향으로 작년 11월보다 10% 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올해 11월까지 누적 자동차 수출액은 작년보다 0.4%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16일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가 발표한 '2024년 11월 자동차 산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의 자동차 수출액은 56억달러로, 1년 전과 비교해 13.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대 11월 중 최대였던 지난해에는 못 미치지만, 두 번째로 높은 실적이다. 물량 기준 수출은 22만8천827대로, 작년 11월보다 6.6% 줄었다. 업체별로는 현대차 수출이 9만5천427대로 5.8% 감소했으며 기아 수출은 7만1천587대로 24.5% 줄었다. 이에 반해 한국지엠(4만8천232대), KG모빌리티(5천540대), 르노코리아(7천879대) 등 중형 3사의 수출은 각각 9.1%, 219.3%, 197.5%씩 증가했다. 산업부 관계자에 따르면 11월 수출 감소는 현대차의 미국 조지아주 전기차 전용 공장이 본격 가동되고, 지난달 말 폭설 등 기상악화로 인천항과 평택항에서 수출 차량 선적이 지연된 것 등이 영향을
【 청년일보 】 전기차업체 테슬라가 내년 상반기 저가형 전기차(EV) 출시 계획을 밝혔다. 저가 전기차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중국 업체들과의 경쟁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16일 인사이드EV 등 외신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는 이달 초 도이치방크와의 기업설명회(IR)에서 저가형 EV 출시 일정을 공개했다. '모델 Q'(가칭)라는 차종 명으로 알려진 이 차량은 내년 상반기 출시될 예정이다. 소형 해치백인 차량은 전장(길이)이 4m가 안 되고, 저렴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탑재해 1회 주행 가능 거리가 500㎞ 수준인 것으로 전해졌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3분기 테슬라 컨퍼런스콜에서 내년 상반기에 저가형 차량을 내놓는 계획에 변함이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모델 Q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전기차 세액공제가 폐지될 경우에도 실구매가가 3만7천499달러(5천370만원)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보급형 '모델 3'의 가장 낮은 가격인 4만4천130달러(6천320만원)보다도 6천달러 이상 저렴하다. 만약 미국 정부로부터 7천500달러의 세액공제를 받으면 실구매가는 2만9천999달러로, 3만달러 아래로 구매가 가
【 청년일보 】 현대자동차는 지난 14일 경기 의왕시에 위치한 현대 N 아카이브(가칭)에서 '현대 N 페스티벌' 2024시즌 종합시상식을 개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시상식에는 현대 N 페스티벌 출전 팀과 선수를 비롯해 300여명의 관계자들이 참석했으며 올해 가장 뛰어난 성적을 거둔 팀과 선수에게 트로피를 전달했다. 현대 N 페스티벌은 모터스포츠 팬 모두가 즐기고 체험할 수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원메이크 레이스로 동일한 차종 및 사양의 경주차로 경쟁하는 자동차 경주 대회다. 올 시즌 현대 N 페스티벌은 프로 대회인 ▲eN1 ▲N1과 아마추어 대회인 ▲N2 ▲N TT 등 총 4개의 클래스로 구분해 지난 4월 인제 스피디움에서 열린 1라운드를 시작으로 8개월 동안 경기를 운영했다. 올해 팀 부문 종합 우승은 클래스별로 eN1은 금호 SL 모터스포츠팀, N1은 DCT 레이싱팀이 차지했다. 선수 부문에서는 eN1은 박준의 선수, N1은 김규민 선수가 우승했고 N2 및 N TT는 각각 김효겸, 최유준 선수가 우승했다. DCT 레이싱팀 김영찬 선수는 '현대 주니어 드라이버'에 선정돼 '2025 뉘르부르크링 24시 내구 레이스'에 출전 기회를 얻었다. 현대차는 20
【 청년일보 】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싱가포르에서 타운홀미팅을 열며 현지 직원들과 소통했다. 정 회장은 12일(현지시간) 그룹의 대표 혁신 거점인 '현대차그룹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이하 HMGICS)'에서 진행된 타운홀미팅에서 임직원들에게 리더로의 성장에 필요한 덕목 등을 조언했다. 타운홀미팅에는 장재훈 사장, 정준철 제조부문 부사장, 박현성 HMGICS 법인장, 알페시 파텔 HMGICS CIO(Chief Innovation Officer) 등 경영진들과 300여 명의 임직원이 참석했다. 정 회장이 직접 제안한 타운홀미팅은 HMGICS 전 직원들로부터 취합한 질문과 현장 즉석 질문들로 진행됐다. HMGICS의 전략적 역할, 미래 비전, 싱가포르에 HMGICS를 설립한 배경부터 직원들에 대한 조언, 일상적 내용까지 다양한 질문들이 쏟아졌다. HMGICS는 그룹 최초 모빌리티 혁신 글로벌 허브로서, 가동 후 1년간 혁신적인 제조 기술을 발빠르게 검증하고 실제 공장에 적용될 수 있도록 실체화하는 등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 정 회장은 "빠른 변화 속에서 HMGICS의 정확한 역할이 무엇이며, 현대차그룹 비전과는 어떻게 연결돼 있는지 등 궁금해하는 사안
【 청년일보 】 기아는 오토랜드 광주가 글로벌 응용안전 과학분야 선도기업 UL 솔루션스의 '폐기물 매립 제로' 검증에서 최고 등급인 플래티넘을 획득했다고 13일 밝혔다. 폐기물 매립제로 검증은 폐기물 자원순환 관리 수준을 평가하는 제도다.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재활용 비율에 따라 ▲플래티넘(99.5%~100%) ▲골드(95%~99.5%미만) ▲실버(90%∼95%미만) 등 3개 등급으로 나뉜다. 기아 오토랜드 광주는 공정상 발생하는 폐기물을 재활용해 자원 효율적 생산 체계를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지난 8월에는 광주광역시와 '산업 폐플라스틱 재활용전환 업무협약'을 맺기도 했다. 기아 관계자는 "앞으로도 기아는 친환경 경영을 실천하고 자원 순환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 청년일보=최철호 기자 】
【 청년일보 】 아시아나항공은 대한항공의 유상증자 납입대금을 활용해 차입금 1조1천억원을 조기 상환한다고 13일 밝혔다. 1조1천억원은 채권은행·기간산업안정기금이 보유하고 있던 영구전환사채 6천800억원과 채권단으로부터 차입한 운영자금대출 4천200억원을 합한 금액이다. 이에 따라 아시아나항공의 부채비율은 올해 3분기 말 연결 기준 1천847%에서 1천%포인트 이상 낮아진 700%대로 내려갈 전망이다. 아시아나항공은 "이번 차입금 상환은 대한항공과의 기업결합 완료를 통해 아시아나항공의 재무구조가 실질적으로 개선되는 첫걸음"이라고 설명했다. 아시아나항공은 전날 한국기업평가 기업신용등급이 기존 'BBB-' 에서 'BBB0'로 상향 조정됐다고도 전했다. BBB0를 받은 것은 2017년 이후 7년 만이다. 앞서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의 신주 1억3천157만8천947주(지분율 63.88%) 취득을 위한 총 1조5천억원의 제삼자 배정 유상증자 대금을 납입하고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완료했다. 【 청년일보=최철호 기자 】
【 청년일보 】 대한항공이 지난 2020년 11월 16일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결의한지 4년여 만에 아시아나항공을 인수를 완료했다. 12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전날 아시아나항공의 신주 1억3천157만8천947주(지분율 63.88%) 취득을 위한 총 1조5천억원의 제삼자 배정 유상증자 대금 납입을 마무리했다. 이에 따라 대한항공은 납입 다음 날인 이날 아시아나항공을 자회사로 편입했다. 신주 상장 예정일은 내년 1월 3일이다. 아시아나항공의 저비용항공사(LCC) 자회사인 에어부산과 에어서울도 이날 대한항공의 손자회사로 편입됐다. 아시아나항공은 내년 1월 16일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신임 이사진을 선임할 계획이다. 신임 대표이사 내정은 이르면 연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대한항공은 오는 2026년 말까지 약 2년의 준비기간을 거쳐 순차적으로 통합 절차를 밟으며 아시아나항공과 '화학적 결합'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국토교통부 등 정부 기관 및 산업은행 등 채권단과 긴밀히 협의한다는 계획이다. 우선 소비자 관심이 큰 마일리지 전환 비율 등 통합 방안은 늦어도 내년 6월 중순까지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출해 승인받은 이후 고객 대상으로 공지할 계획이다. 【